[전체] “김대중”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6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62)
사전(94)
- 김대중납치사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73년 8월 8일 일본 도쿄의 한 호텔에서 당시 야당 지도자 김대중이 한국 중앙정보부의 주도 하에 괴한들에 의해 납치된 사건. [역사적 배경] 1971년 대통령선거에서 신민당 대통령 후보로 박정희에 맞서 선전했던 김대중은 1972년
- 대북화해협력정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김대중정부(1998년 2월 이후)의 대북포용정책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것. ‘햇볕정책’이라고도 한다. [개설] 김대중정부의 대북포용정책(3대 원칙은 무력도발 불용, 흡수통일 반대, 평화협력 및 교류 추진)의 기본적인 틀이며, 이전 정부가...이칭별칭햇볕정책
- 민주화추진협의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84년 5월에 결성된 재야 정치인들의 민주화운동 조직체. [설립목적] 김영삼과 김대중은 야권의 핵심 인물이었지만 신군부정권에 의해 제도권 정치 참여가 배제되어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김영삼과 김대중 진영은 신군부독재에 저항하고 양이칭별칭민추협
- 신도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남지사 재직 당시에는 3‧15부정선거와 김주열 사망 사건에 연루되어 4‧19혁명 성공 이후 구속되기도 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야당시절 대북정책 자문역으로 활동하며, 평화민주당 고문을 지냈다. ...
- 박용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때 그도 이에 합류하여 김영삼(金泳三) 총재, 김대중(金大中) 고문 밑의 7인 부총재 가운데 한 명으로 선임되었다. 1987년 6월항쟁과 6‧29선언을 거친 뒤 민정‧민주당 간에 8인 개헌협상이 열렸을 때는 민주당 대표의 한사람으로 참여하였다. 민주화개헌 후 열...이칭별칭 영암(嶺巖)
단행본(2)
- 한국의 선거 60년사 ⑤ - 김대중․노무현 정부 시기의 선거 [한국의 선거 60년사-이론과 실제- | 한국정치학회]저자 : 지병근... | 출판사 : 마인트탭 | 출판일 : 20161120분야정치‧법제 | 유형단행본
- 한국 정치의 이해 [캄보디아 빠나쌋뜨라대학 한국학 교육프로그램 개발사업 | 신라대학교]저자 : 강경태(신라대학교 해외한국학지원센터 센터장), 전동진(신라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 출판사 : 세종출판사 | 출판일 : 2011.08.25분야교육 | 유형단행본우 정권(1988-1993) (2)김영삼 정권(1993-1998) (3)김대중 정권(1998-2003) (4)노무현 정권(2003-2008) (5)이병박 정권(2008-현재)
고서·고문서(91)
- 김대중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대중 김 남자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2 2 김대중, 명분, 제일야당, 령도자, 대통령, 현임대통령, 전두환선생님...대표표제어김대중 | 성씨김
- 김대중선생님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대중선생님 김 남자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9 5 김대중선생님, 미국, 귀국, 감옥살이, 조국, 존경, 미국보안인...대표표제어김대중선생님 | 성씨김
- 김대중선생님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대중선생님 김 남자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4 1 김대중선생님, 방송, 김영삼선생님, 당권, 총재직, 파국, 로태...대표표제어김대중선생님 | 성씨김
- 김대중선생님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대중선생님 김 남자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4 2 김대중선생님, 전두환, 연금, 단식투쟁, 내각제, 정치투쟁, 지...대표표제어김대중선생님 | 성씨김
- 김대중정권 척결하자!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김대중정권 척결하자! 대한민국(남북한) 인터넷자료 인터넷 삐라는 남북한 심리전의 한 수단으로 항공기나 기타 수단에 의해 적지에 산포 김대중, 평화,대표표제어김대중정권 척결하자! | 저작권자인터넷자료 | 자료구분인터넷 | 키워드김대중, 평화, 사대매국, 파쇼독재자, 파괴자, 부정부패
구술자료(34)
- 김대중 대통령의 당선 예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서 박정희 대통령에 관한 이야기가 끝나자 조사자가 김대중 대통령에 대해서도 언급하자 제보자는 다음 이야기를 이어갔다. 1차에 이어 2차로 제보자를 찾아가서 조사가 진행되었는데, 여전히 연세에 비해 열의가 넘쳤고, 적극적이었다.조사일시2011.01.14 | 조사장소전남 담양군 월산면 월산리 도개마을 마을회관 | 제보자정회원
- 나석호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최근 근황 및 선거 입문기 판사를 하게 된 이유 및 부정선거, 유권자들 반응 김대중과의 관계 사법부 파동 및 대정부 폭로 계파 갈등 및 본받을 정치인 성남 폭동 사건 및 내무장관 해임결의 정치 자금 관련사항 유신 전후 사정 및 유신헌법, 야당 계파 갈등유무 중앙당과분야정치‧법제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정당정치
- 류제연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술자의 최근 근황 활동 및 김대중 내외와의 관계 신민당 전당대회 전당대회 PR 7대 대통령 선거 8대 국회의원 야당의 분열 9대 총선 및 화요회 DJ와 YS 김대중 대통령과 이희호 여사와의 관계 야권 정치세력 통합 12대 국회의원총선거 정치적 모함 , 신민당 사무분야정치‧법제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정당정치
- 이택돈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신민당으로의 정치 입문 사법파동 7대 대통령 선거와 양 김씨 야권의 정당통합운동 75년 김옥선 파동 YH여공 사건과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 이민우 파동 용팔이 사건과 7.2쿠데타 정가 풍토 60, 70년 정당 당원의 양상 정당과 사회단체 중점 의정활동분야정치‧법제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정당정치
- 윤재명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현재 생활 및 출생, 대학시절 현대 평론사 설립과 공화당과의 만남 김대중 폭팔물 사건 삼선개헌 및 유신에 대한 생각, 선거 및 국회에서의 역할 박대통령의 부총무 권유 및 활동사항 김성곤 불신임 등 이야기 공화당 시절: 8대 국회 원내 부총무 재직 기간 10대 국분야정치‧법제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정당정치
기초학문(15)
- 김대중 정부 사회복지정책의 평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237881 한국연구재단 한국산업사회학회 2002 김대중 정부 사회복지정책의 평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유형논문 | 게재일2002
- 김대중 정부의 행정개혁에 대한 공무원 반응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천오, 게재일 : 200200901 박천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행정연구원 2002 김대중 정부의 행정개혁에 대한 공무원 반응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유형논문 | 게재일2002
- 김대중정부 복지개혁의 성격: 신자유주의로의 전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손호철, 게재일 : 200537427 손호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정치학회 2005 김대중정부 복지개혁의 성격: 신자유주의로의 전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05
- 민주화 이후 한국 민족주의 담론의 전개: 6월 항쟁~김대중 정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수자, 게재일 : 200634015 김수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6 민주화 이후 한국 민족주의 담론의 전개: 6월 항쟁~김대중 정권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유형논문 | 게재일2006
- 김대중과 마하티르의 동아시아공동체 구상 비교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재현, 게재일 : 200602978 이재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동남아연구소 2006 김대중과 마하티르의 동아시아공동체 구상 비교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147)
- 김대중 석방의 결단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4) 정치활동정화와 정치풍토쇄신 김대중 석방의 결단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82년 12월 17일 동아일보사 동아일보 기사/사설 3 이 글은 김대중 석방이라는 정치적 결단을 내려서 갈등을 이기는 정치적화합의 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대표표제어김대중 석방의 결단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동아일보사 | 출처동아일보 | 키워드김대중, 정치적 화합, 정치 풍토의 쇄신, 정치적 결단, 구시대 청산
- 김대중·김영삼·김종필씨 해금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4) 정치활동정화와 정치풍토쇄신 김대중·김영삼·김종필씨 해금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85년 3월 6일 동아일보사 동아일보 기사/사설 4 이 글은 김영삼・김대중・김종필 등 3김씨를 포함한 14명의 정치 인사들이 해금된 것에 대한대표표제어김대중·김영삼·김종필씨 해금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동아일보사 | 출처동아일보 | 키워드김영삼, 김대중, 김종필, 전두환, 민의수렴, 12대 총선 쟁점
- 3김씨와 대화 (3) 김대중 행동하지 않는 양심은 악의 편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16) 민주화 투쟁, 계엄철폐, 정치일정 완결요구 3김씨와 대화 (3) 김대중 행동하지 않는 양심은 악의 편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80년 4월 5일 동아일보사 동아일보 기사/사설 7 김대중 전신민당 대통령후보는 행동하지 않는대표표제어3김씨와 대화 (3) 김대중 행동하지 않는 양심은 악의 편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동아일보사 | 출처동아일보 | 키워드김대중, 이원적집정부제, 중선거구제, 대통령제, 소선거구제
- "민주주의하면 못이룰 일없다" 장기연금서풀린 김대중 의장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17) 정치 민주화 관련 "민주주의하면 못이룰 일없다" 장기연금서풀린 김대중 의장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87년 6월 25일 동아일보사 동아일보 기사/사설 4 이 글은 김대중 민추협 의장이 연금에서 풀려난 뒤 즉석회견 한 내용을...대표표제어"민주주의하면 못이룰 일없다" 장기연금서풀린 김대중 의장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동아일보사 | 출처동아일보 | 키워드김대중, 민추협 의장, 장기가택봉쇄조치, 6‧10 규탄대회, 김영삼
- 적중한 예언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13) 10월유신, 유신헌법 적중한 예언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85년 김대중 『행동하는 양심으로』(서울:금문당)(pp.177-193) 회고/전기 16 김대중은 이 글에서 박정희의 유신에 대해 강한 비판을 함. 박정희는 유신이라...대표표제어적중한 예언 | 자료유형회고/전기 | 집필자김대중 | 출처『행동하는 양심으로』(서울:금문당)(pp.177-193) | 키워드김대중, 박정희 유신헌법, 한국적 민주주의, 새마을운동, 행동하는 양심으로
멀티미디어(166)
- 한국의 현대 실학 이경구 김결 김은영 김대중 진빙빙 하우봉 김선희 노대환 노관범 이경구 교수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김결 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태학사 김은영 교수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 김대중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진빙빙 교수 북경제20외국어강좌제목근대 여명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이경구 김결 김은영 김대중 진빙빙 하우봉 김선희 노대환 노관범
- 한국의 현대 실학 이경구 김결 김은영 김대중 진빙빙 하우봉 김선희 노대환 노관범 이경구 교수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김결 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태학사 김은영 교수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 김대중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진빙빙 교수 북경제21외국어강좌제목근대 여명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이경구 김결 김은영 김대중 진빙빙 하우봉 김선희 노대환 노관범
- 한국의 현대 실학 이경구 김결 김은영 김대중 진빙빙 하우봉 김선희 노대환 노관범 이경구 교수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김결 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태학사 김은영 교수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 김대중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진빙빙 교수 북경제22외국어강좌제목근대 여명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이경구 김결 김은영 김대중 진빙빙 하우봉 김선희 노대환 노관범
- 한국의 현대 실학 이경구 김결 김은영 김대중 진빙빙 하우봉 김선희 노대환 노관범 이경구 교수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김결 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태학사 김은영 교수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 김대중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진빙빙 교수 북경제23외국어강좌제목근대 여명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이경구 김결 김은영 김대중 진빙빙 하우봉 김선희 노대환 노관범
- 한국의 현대 실학 이경구 김결 김은영 김대중 진빙빙 하우봉 김선희 노대환 노관범 이경구 교수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김결 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태학사 김은영 교수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문화연구소 김대중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진빙빙 교수 북경제7외국어대강좌제목근대 여명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이경구 김결 김은영 김대중 진빙빙 하우봉 김선희 노대환 노관범
기타자료(13)
- 김대중;金大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3965 남한 전남 목포상업학교 2-26 卒業記念寫眞帖 제22회(1943년 12월) 1905―06―10 3면 김대중;金大中 제22회 1943년 12월학교소재지역전남 | 학교명목포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태중;金台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5835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54면 김태중;金台中 전남도청 제16회 1938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면담록 내용 보고문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놓은 보고서임. 김대중 사건을 뒤로한 어려운 문제가 한 미 양국 간의 관계를 훼손시키지 않았음을 바란다고 주장함. 하비브 주한 대사로부터 상세한 보고를 받았다고 명시함. 우리 정부는 법무부 지휘 하에 특별수사본부를 설치하여 수사 중에 있음. 김대중의 진술, 선박 조사...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발신자대통령 각하 | 수신자외무부 장관
- 1973년 8월 주일대사가 외무부 장관에게 보내는 유엔 한국문제 관련 일본 산케이 신문의 보도내용 보고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내용 보고. 주요 유엔 한국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최종 방침에 관한 내용. 일본 정부는 언커크 해체에는 찬성하나, 주한 유엔군 철수에 반대한다는 내용. 일본 정부가 김대중 사건에 대한 각국의 반응을 보면서 최종적인 입장을 조정할 예정이라는 내용. 산케...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발신자주일대사 | 수신자외무부 장관
- 장관의 러쉬 미 국무장관 면담 요지에 관한 문서.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숙명여자대학교 한국 외무장관의 러쉬 미 국무장관 면담 요지에 관한 문서. 김대중 사건에서는 러쉬 차관이 김대중사건으로 한일 양국간의 관계가 악화되지 않기를 희망한다는 내용과 러쉬 차관이 한일 양국이 냉각기를 갖는 것을 환영...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연구과제(2)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송재소 | 다산학술문화재단 | 2009 | 국내 | 서울
-
인도 마하트마 간디 대학교에 ‘코리아 센터’ 설립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Jojin V John | Mahatma Gandhi University | 2022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4)
-
김대중 / 金大中 [정치·법제/정치]
1925~2009. 정치가. 전남 신안 출신. 1953년 건국대학 정치외교학과 3년 중퇴, 1969년 경희대학교 대학원 수료, 1950년 <목포일보>사장, 1960년 민의원에 당선된 후 1971년까지 제, 6,7,8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1998년부터 2003년까지 대
-
김태중 / 金台重 [종교·철학/유학]
1649년(인조 27)∼1711년(숙종 37). 조선 후기 유학자. 숭정처사 표은 김시온의 후손이다. 1693년(숙종 19) 갈암 이현일의 천거로 건원릉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은 채 후진 양성에 전념하였다. 1679년(숙종 5)에 병자호란 때 창의한 선조 김시온
-
김대중 납치사건 / 金大中拉致事件 [정치·법제/정치]
1973년 8월 8일 일본 도쿄에서 한국 야당지도자 김대중이 납치되어 한일간의 외교문제로까지 비화된 사건. 사건 당일 김대중은 통일당 당수 양일동을 만나러 그랜드 팔레스 호텔에 갔다가, 대기하고 있던 한국 정보기관 요원 5명에게 납치, 수장 직전 극적으로 구출되어 사
-
압해도 / 押海島 [지리/자연지리]
81.9㎞이다. 2013년 12월에 개통한 김대중대교를 통해 무안군과 연결되고, 2010년 9월에는 암태도를 잇는 새천년대교가 착공되었다.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6,318명(남 3,260명, 여 3,058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2,739세대이다. 면사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