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담” 에 대한 검색결과 46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54)

사전(6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統曆太陽太陰通軌) 등에 대하여 그 계산법을 밝히고, 약간의 은괄(檃括:교정)을 가해서 ≪칠정산내편 七政算內篇≫을 만들었다고 한다. 현존하는 규장각본인 ≪칠정산내편≫과 ≪태양통궤≫‧≪태음통궤≫ 등이 모두 이순지와 의 편찬으로 되어 있는데 이 두 사람이 ≪칠정산...
    이칭별칭 거원(巨源)| 무송헌(撫松軒)| 문절(文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60(명종 15)∼1626(인조 4). 조선 중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상산(商山). 자는 구원(久源). 호는 급고재(汲古齋). 상주(尙州) 법물리(法勿里)에서 출생하였으며, 아버지는 한림(翰林) 수돈(守敦)이다. 어려서부터 재예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78(숙종 4)∼1743(영조 29)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사관(士寬). 진해(振海)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시성(是城)이고, 아버지는 우화(遇華)이다. [내용] 1708년(...
    이칭별칭 사관(士寬)
  • TD_L14_D_4096 인물 再登第, 溫雅, 淡簡, 喜怒不形, 天文, 吏曹判書 禮安 巨源, 我英廟, 文節 D_17_06_10 대동운부군옥 17권 6장 10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6장 1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치∙행정가관료/문신 인물 한국 조선 태종~세조 정일영 박종국 2013 거원(巨源) 무송헌(撫松軒) 문절(文節) ...

고서·고문서(376)

  • 3 第三統統首沙里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14년_농소면(農所面) 1714년 농소면(農所面) 第十施禮里 3 第三統統首沙里 第一戶 柳浦面穴巖里來府案付閑良束伍軍沙里年參拾柒戊午本蔚山父武 善祖良人大元曾祖孝知外祖全士立本蔚山妻良女金召史年參拾參壬戌本蔚 山父尙根祖正兵云方曾祖通政大夫春男外祖正兵金得...
    연도_면이름1714년_농소면(農所面) | 면이름농소면(農所面) | 마을이름第十施禮里
  • 5 第五統統首沙里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10년_동면(東面) 1810년 동면(東面) 第五牧場里 5 第五統統首沙里 第一戶 牧子軍鰥夫沙里年伍拾貳己卯本金海父訓弼祖世良曾祖憲之外 祖堅厚時本海州子萬一年參拾壹庚子子命孫年拾玖壬子女年拾肆丁巳 等丁卯戶口相准 第二戶 業武金時昌年伍拾柒甲戌本金海父業武...
    연도_면이름1810년_동면(東面) | 면이름동면(東面) | 마을이름第五牧場里
  • 1 第一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59년_유포면(柳浦面) 1759년 유포면(柳浦面) 第十三楮田浦 1 第一統統首金 第一戶 新硫黃軍光華君奴金年貳拾伍乙卯本金海父私奴禮哲祖私奴大千曾祖良人大男外 祖私奴千伊本晉州妻私婢正化年貳拾肆丙辰本蔚山父昌好祖率伊曾祖不知外祖不知率女召 史年參丁丑今加等...
    연도_면이름1759년_유포면(柳浦面) | 면이름유포면(柳浦面) | 마을이름第十三楮田浦
  • 1 第一統統首音金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65년_유포면(柳浦面) 1765년 유포면(柳浦面) 第十三楮田里 1 第一統統首音金 第一統一戶 光海君奴音金年貳拾參癸亥本金海父私奴禮哲祖私奴大天曾祖大男外祖私奴千伊本晋州妻私婢李正化年 參拾丙辰本蔚山父昌胡祖率伊曾祖龍立外祖不知率女召史年陸庚辰率女召史年貳甲...
    연도_면이름1765년_유포면(柳浦面) | 면이름유포면(柳浦面) | 마을이름第十三楮田里
  • 5 第五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89년_동면(東面) 1789년 동면(東面) 第三牧場里 5 第五統統首沙 第一戶 牧子軍沙年參拾壹己卯本金海父順必祖世良曾祖思之外祖業武堅厚時本海州妻鄭姓年參拾壹 己卯本東萊父正兵太才祖岳只曾祖不知外祖柳有德本文化率母堅姓年伍拾參丁巳女召史年玖辛丑次女召史 年伍...
    연도_면이름1789년_동면(東面) | 면이름동면(東面) | 마을이름第三牧場里

구술자료(10)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리(01:37) 소리 장경덕2) 세우자소리(10:48) 소리 김상심3) 방아타령(17:48) 소리 김상심 이양례 김기봉 김덕심 심4) 아이고 데이고 설움이야(26:10) 소리 미상 L-1508.pdf pdf
    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담심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리(01:37) 소리 장경덕2) 세우자소리(10:48) 소리 김상심3) 방아타령(17:48) 소리 김상심 이양례 김기봉 김덕심 심4) 아이고 데이고 설움이야(26:10) 소리 미상 L-1508.pdf pdf
    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미상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리(01:37) 소리 장경덕2) 세우자소리(10:48) 소리 김상심3) 방아타령(17:48) 소리 김상심 이양례 김기봉 김덕심 심4) 아이고 데이고 설움이야(26:10) 소리 미상 L-1508.pdf pdf
    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상금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리(01:37) 소리 장경덕2) 세우자소리(10:48) 소리 김상심3) 방아타령(17:48) 소리 김상심 이양례 김기봉 김덕심 심4) 아이고 데이고 설움이야(26:10) 소리 미상 L-1508.pdf pdf
    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남림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리(01:37) 소리 장경덕2) 세우자소리(10:48) 소리 김상심3) 방아타령(17:48) 소리 김상심 이양례 김기봉 김덕심 심4) 아이고 데이고 설움이야(26:10) 소리 미상 L-1508.pdf pdf
    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정순

신문·잡지(4)

  • 僧侶務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문경군 대승 승도권화응 금통 김월현 상쥬군 남쟝 김취션 례쳔군 롱문 윤초운 풍긔 명봉 리월운 안동 광흥 화 등졔씨가 불도에 잠심지 오더니 근일관습을 고쳐 신진업에 쥬의야 쳥년승도의 교육을 발달기로 문경대승의 큰학교를 창셜야 광흥학교라 칭고...
    게재일1907년 1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 수수꺽이 (1) 24 호원사 鹿苑 25 재식의 의미를 뭇읍니다-결의 제63회문답 연 3...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1
  • 高氏와紀念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강화솔뎡리 보창학교 지교교감 고셩근씨와 교 고원 셔상칠 제씨가 본월륙일 학교 긔념식을 거고 학원을 시험시상 얏 찬셩원 쟝셩완씨가 다슈물품을 긔부얏스며 우등의 셩명은 여좌니 갑반에 고학조 식 류범호 리귀셩 리병흔 을반에 류흥츈 함영문 류홍
    게재일1907년 6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기울었음 備忘錄 105 세부기사 歐米の殖民敎育, 幣原博士講演, 105. ジョルダン博士朝鮮觀, 105. 教育費問題, 106. 臺灣郵便貯, 107. 朝鮮問答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2

기타자료(1)

  • 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5066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회원명부 1939―06―30 9면 배;培 강원도 횡성군 屯內面 1925년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3)

  • / [종교·철학/유학]

    1416(태종 16)∼1464(세조 10). 조선 세종 때의 천문학자. 할아버지는 고려 때 중랑장 김로, 아버지는 현감 김소량, 어머니는 평해황씨이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독서를 좋아했으며, 1435년(세종 17) 정시에 병과로 급제하여 홍문관정자로 임명되었다. 저서

  • 구강서원 / 龜江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영주시 휴천동에 있었던 서원. 1615년(광해군 7)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69년에 박승임(朴承任)·김륵(金玏)·김영조(金榮祖)를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맡아오던 중,

  • 칠정산내편 / 七政算內篇 [과학/과학기술]

    1444년(세종 26)에 이순지(李純之)와 ()이 편찬한 역서(曆書). 3책. 활자본. 원나라의 수시력(授時曆)에 대한 해설서이다. 칠정(七政)이란 일·월과 오성(五星), 즉 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의 5개 행성(行星)을 가리킨 것으로, 이

  • 칠정산외편 / 七政算外篇 [과학/과학기술]

    1444년(세종 26) 이순지(李純之)·()이 간행한 역서(曆書). 5책. 활자본. 왕명에 따라 서역(西域)의 회회력법(回回曆法)을 연구하여 해설, 편찬한 책이다. 원나라는 이 회회력 이외도 중국력을 크게 개량한 ≪수시력 授時曆≫을 만들었으며, 당시 중국에는

  • 급고재문집 / 汲古齋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5년에 간행한 시문집. 1855년(철종 6)에 의 9대손 김인섭(金麟燮)이 편집·간행하였으며, 1897년에 의 11세손 김진호(金鎭祜)가 중간하였다. 김인섭의 서문과 권계형(權繼亨)·김진호의 발문이 있다. 권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