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녹주” 에 대한 검색결과 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

사전(1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황, 백록출판사, 1976) 『판소리소사』(박황, 신구문화사, 1974) 『조선창극사』(정노식, 조선일보사출판부, 1940) (1896-1923) 18...
  • 김록주()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판소리연희담당 가 김록주() 김록주(, 1898-1928)는 경남 김해(현재 경남 김해시)에서 태어나 20세기 전반에 활동한 판소리 여성 명창이다.(도판 1) 10세(1907년)에 김정문(金正文, 1887-1935) 문하에서 소리를 배우기 시작했으며,
    대분류판소리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박석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향리에 초당을 짓고 명인‧명창들을 초빙하여 사범으로 삼고 젊은 음악학도들을 모아 전통음악을 교육하여 민족항일기에 인멸되어가는 전통음악 전승에 기여하였다. 이때 박동실(朴東實)을 판소리 사범으로 초빙하여 김소희(金素姬)‧한애순(韓愛順)‧()에게 판소리를...
  • 최옥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洞庭月 : 本名 金德)‧() 등이 났다. 그의 가야금산조는 함동정월에 의하여 널리 퍼졌다. 그의 산조는 성음이 분명하고 음악적으로 정연하고 농현이 깊고 간결하며 묵직하고 품위가 있어 예술적 향기가 높은 것로 평가되고 있다. 광복 직전까지 청진에서 살았...
  • 살풀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보유자인 권명화(權明花)는 대구 대동권번 출신으로 6‧25때 가족과 함께 대구 남산동에 정착하여 8‧15해방 후 집부근에 있는 권번에서 박기홍(朴基洪)에게서 살풀이춤‧승무‧입춤‧검무와 ()의 여창을 사사 받았다. 그뒤를 이어 협률사인 국극단 단원으로 전국 순...

고서·고문서(1)

  • 정선조선가요집 朝鮮歌謠選集 서문. 목차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宋萬甲 ‧ 李東伯 ‧ 金昌龍 ‧ 劉公烈 ‧ 金昌煥 ‧ 沈相健 ‧ 丁貞烈 ‧ 李善有) (上右로부터 故 金楚香 金正文 吳太石 林방울 金宗基 金昌鎭 韓成俊) (右列) 白牧丹 ‧ 李暎山紅 ‧ 李眞鳳 ‧ 金玉葉 (中央) 孫眞紅 ‧ 金香蘭 ‧ 張鶴仙 ‧ 故 吉眞紅 (左列)...
    구분잡가 | 편저자듸-‧제-‧핸드포-드

구술자료(12)

  • 창극 흥보전 형제친목(놀부개심) SP 음반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창극 흥보전 형제침목 놀부개심 판소리 미상 미상 07:34 00:00 A면 3) 창극 흥보가 전집 제 24 형제친목(놀부개심)(06:35)소리 임방울 이화중선 오수암 반주 오케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녹주
  • 김록주 대담조사 ③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김록주 대담조사 ③ 예술·체육 작품 현대 A-021 1724 미상 대담조사자료 1) 김록주가 증언한 장흥 신청에 대해 현지 답사하며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록주
  • 김록주 대담조사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김록주 대담조사 ① 예술·체육 작품 현대 A-025 1722 전남 대담조사자료 1) 김록주(본명 김양임) 본인의 학습과정과 음악활동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록주
  • 정광수 대담조사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언이 녹음된 자료이다. 2) 음질 상 정광수 김봉학 김창환 신재효 김봉이 김정문 오수암 성원목 강남준 임방울 박지홍 정금옥 춘향가 심청가 수궁가 적벽가 흥보가 중타령 제비노정기 화랑극단 목포권번 판소리 1988-07-0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정광수
  • 주선희 음악조사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대해서 증언한 자료이다. 2) 음질 상 주선희 주순례 지당 가야금 산조 풍류 판소리 박석기 김소희 박동실 한애순 신관용 성금연 박상근 편재준 산조 1986-05-25 전라북도 정주시 장명동 195
    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산조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주선희

주제어사전(6)

  • / [예술·체육/국악]

    항일기의 판소리 명창(1896-1923). 김정문(金正文)에게 판소리를 배웠으며 여류판소리명창 중 으뜸으로 꼽혔으나 요절하였다. 축음기 음반에 〈화초사거리〉를 취입했다고 하지만 전해지지 않는다.

  • 박석기 / 朴錫基 [예술·체육/국악]

    젊은 음악학도들을 모아 전통음악을 교육하여 민족항일기에 인멸되어가는 전통음악 전승에 기여하였다. 이때 박동실(朴東實)을 판소리 사범으로 초빙하여 김소희(金素姬)·한애순(韓愛順)·()에게 판소리를 가르치도록 하였고, 거문고사범은 스스로 맡았다. 중요무형문화재

  • 살풀이 / 살풀이 [예술·체육/무용]

    보유자인 권명화(權明花)는 대구 대동권번 출신으로 6·25전쟁 때 가족과 함께 대구 남산동에 정착하여 8·15해방 후 집부근에 있는 권번에서 박기홍(朴基洪)에게서 살풀이춤·승무·입춤·검무와 ()의 여창을 사사 받았다. 그뒤를 이어 협률사인 국극단 단원으로 전

  • 장한 / 長恨 [예술·체육/무용]

    서해(曙海) 최학송(崔鶴松, 1901~1932)이 했다. 주요한 기생 필자는 김월선(金月仙, 대정권번), 전난홍(全蘭紅, 대정권번), (, 한남권번), 전산옥(全山玉, 한성권번), 이월향(李月香, 대정권번), 박녹주(朴綠株, 한남권번), 김계화(金桂花, 광주

  • 진주교방굿거리춤 / 晉州敎坊─ [예술·체육/무용]

    였던 최완자 그밖에도 김옥민· 등에 의해 사사받아 전승보존되어져 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