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노응”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
사전(6)
- 김노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57(영조 33)∼1824(순조 24).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유일(唯一), 호는 일와(一窩). 영의정 흥경(興慶)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한정(漢禎)이고, 아버지는 문화현령 태주(泰柱)이며, 어머니는...이칭별칭 유일(唯一)| 일와(一窩)| 정헌(正獻)
- 김노응(金魯應)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1228 인물 김노응(金魯應) 김노응 金魯應 1757 1824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유일(唯一), 호는 일와(一窩). 1786년 진사시에, 1805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지평‧부응교‧대사성을...유형분류인물
- 익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연보 일부를 덧붙이고 습유를 첨가하여 간행하였다. 이 간본에는 김노응(金魯應)의 지(識)를 붙였다. ≪익재집≫은 1911년 조선고서간행회(朝鮮古書刊行會)에서 ≪파한집≫‧≪보한집≫‧≪아언각비 雅言覺非≫‧≪동인시화 東人詩話≫와 합책하여 간행하였다. 1913년에는...
- 도와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노응(金魯應)에게 올린 편지는, 그의 선조 최진립(崔震立)이 병자호란 때 용인에서 항전하다가 전사할 때, 그와 함께 죽은 기별(奇別)과 옥동(玉同)이라는 두 종에게 포상할 것을 요청한 것이다. 잡저에는 월성(月城) 향음주례(鄕飮酒禮)의 목적과 규칙을 정한 약속문...
- 익재난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문집중간지 益齋先生文集重刊識>, 김노응(金魯應)의 <익재선생연보후서 益齋先生年譜後敍>, 이규석(李圭錫)의 <익재선생문집중간지>가 권말에 수록되어 있다. ≪익재난고≫에 수록된 글을 통하여 이제현이 중국에 건너가서 그 곳 문사들과 교유한 자취를 알 수 있다. ≪고려...
고서·고문서(21)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1425 B071425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純祖 12年 4月 19日_012 ○備邊司薦望, 以金魯應爲東萊府使。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6333 B076333 동래 東萊 정치행정 純祖實錄 十二年(1812) 夏四月 순조실록_11204019_001 ○辛酉 / 以金魯應爲東萊府使。출처전거純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해현령(南海縣令)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6140 B036140 남해현령 南海縣令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純祖 13年 4月 10日_028 ○以慶尙監司金魯應狀啓, 因暗行御史移文, 南海縣令洪重鉉, 封庫爲先罷黜事, 傳于沈奎魯曰, 今日政差出, 催促下送。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1666 B071666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純祖 12年 7月 22日_025 ○尹鼎烈, 以備邊司言啓曰, 東萊前府使金魯應, 移拜本道監司矣。 除朝辭赴任之意, 發關分付, 何如? 傳曰, 允。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1674 B071674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純祖 14年 3月 4日_018 ○鄭文始, 以備邊司言啓曰, 頃因東萊前府使趙貞喆所報, 倭館西行廊, 待春修改之意, 覆啓行會矣。 卽見慶尙監司金魯應狀啓, 則枚擧東萊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김노응 / 金魯應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57∼1824). 영의정 김흥경 증손, 할아버지는 김한정, 아버지는 문화현령 김태주, 어머니는 이명경의 딸이다. 1786년(정조 10)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관직은 한성부판윤, 병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1807년에는 동지사 서장관으로 연경에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