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근행”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0)
사전(35)
- 김근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12(숙종 38)∼?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중보(仲甫), 호는 용재(庸齋), 아버지는 성균관 진사 시서(時叙), 어머니는 은진송씨(恩津宋氏)로 비안현감(比安縣監) 이석(彛錫)의 딸이다. 강규환(姜...이칭별칭 중보(仲甫)| 용재(庸齋)
- 김근행(金謹行)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1209 인물 김근행(金謹行) 김근행 金謹行 1610 ? 조선 후기의 왜학역관.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선회(鮮悔). 18세이던 1627년 식년시 역과에 합격하였다. 전공은 왜학(倭學)이다. 사역원 교회(司譯院敎...유형분류인물
- 윤성립(尹誠立)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6561 인물 윤성립(尹誠立) 윤성립 尹誠立 ? ? 조선 중기의 역관. 1651년 2월 쓰시마도주가 쓰시마로 돌아왔을 때 김근행(金謹行)과 함께 쓰시마로 건너가 도주를 문위하였다. 1661년 8월에는 수본(手本, 공...유형분류인물
- 이오현(李五賢)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행(金謹行)에 의하여 상인 이오현이 왜인에게 글을 보내어 조선의 사정을 누설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오현은 잡혀가서 심문을 받았으나 자백하지 않았다. 당시 동래의 백성 구학(九鶴) 등 10여 명도 같은 혐의를 받고 심문을 받은 후 변읍(邊邑)에 유배되었다. 『孝宗...유형분류인물
- 박승원(朴承元)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나 표류하여 쓰시마에 이르렀다. 1665년 1월 쓰시마도주가 송환을 인가하여 문위역관(問慰譯官) 김근행(金謹行)과 함께 귀국하였다. 조선 정부에서는 쓰시마로 선물을 보내어 사례하였다. 『顯宗實錄』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http://db.itk...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75)
- 김근행이 한원진에게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則與後世四世 必遷之制 亦有不同若云 神道之感應 必止於四世 則古禮祭禰 得無近於朱子所謂餒鬼者耶 伏望更賜鐫音 以破此惑焉 適因沈聖游來訪 聞有往便 草草仰稟 更竢後便備達 姑此不備 伏惟下鑑 謹再拜 上候書 戊午 九月 十五日 門下生 金謹行 再拜분야문학 | 유형문헌
- 김근행이 한원진에게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反覆思量 終未曉解 乞賜鐫音 以開此惑 如何 記聞錄 心統性情圖小註四七之發 有不屬人心而惡者云者 是指姑息殘暴之原仁義而反害仁義者耶 此乃近日 與士友論辨者 玆以仰稟耳 餘萬不備 伏惟下鑑 謹再拜上候書 戊午 十月 初七日 門下生 金謹行 再拜분야문학 | 유형문헌
- 김근행이 한원진에게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其間 已有幾番往覆言三冊 今拾訖工 玆並奉納耳 餘萬伏冀體候增相 不備 伏惟下鑑 謹再拜上候書 庚申 七月 二十七日 門下生 金謹行 再拜분야문학 | 유형문헌
- 김근행이 한원진에게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之餘 益多關惱之端 仰慮不已 然山裡風氣 自別於海上 老境頤養 允宜其所 是甚慰幸 餘萬不備 伏惟下鑑 謹再拜上候書 壬戌 正月 十四日 門下生 金謹行 再拜분야문학 | 유형문헌
- 김근행이 한원진에게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初十日 門下生 金謹行 再拜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1)
-
김근행 / 金謹行 [종교·철학/유학]
1712(숙종 38)∼?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성균관 진사 시서, 어머니는 은진송씨로 비안현감 이석의 딸이다. 강규환의 문인이다. 세자익위사 세마, 사어, 김포군수, 인천부사를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용재문집』15권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