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극일” 에 대한 검색결과 5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5)

사전(2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효자. [개설]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용협(用協), 호는 모암(慕庵). 할아버지는 항(伉)이고, 아버지는 의흥현감(義興縣監) 서(?)이며, 부인은 한성부윤 이간(李?)의 딸이다. [내용] 어릴...
    이칭별칭 용협(用協)| 모암(慕庵)| 효절(孝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22년(중종 17)∼1585년(선조 18). 조선 중기의 문신ㆍ학자. [개설]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백순(伯純), 호는 약봉(藥峰). 경상도 안동 출신. 증 통례 만근(萬謹)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증 좌승지 예범(禮範)이고, 아...
    이칭별칭 백순(伯純)| 약봉(藥峰)
  • TD_L14_D_4307 인물 孝子, 至孝, 吮疽, 嘗痢, 廬墓六年, 虎, 家畜, 賤妾, 旌門 天順甲申 金海 孟 D_18_04_18 대동운부군옥 18권 4장 18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8권 4장 1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7_D_0125 남자 虎乳墓傍, 居廬, 家畜 孝子 D_06_03_175 대동운부군옥 6권 3장 175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6권 3장 17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이광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6) 헌납(獻納)ㆍ장령ㆍ사간ㆍ지평 등을 거쳐 1565년 좌부승지에 이르렀고, 그 뒤 고향에 돌아가 산수를 즐기며 학문에 전념하였다. 어려서 아버지를 잃고 어머니를 지성으로 모셔 효자로 알려졌고, ()ㆍ이정(李楨)ㆍ노정(盧楨) 등과 도의로써 사귀었다....
    이칭별칭 여임(汝任)| 금시당(今是堂)

고서·고문서(20)

  • 1574년 () 시(詩)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시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시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1564년 () 처(妻) 이씨(李氏) 화회문기(和會文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경제-상속/증여-분재기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1564년 () 처(處) 이씨(李氏) 화회문기(和會文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경제-상속/증여-분재기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1559년 이(李) 별급문기(別給文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경제-상속/증여-분재기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는 색깔이 나빠 방문(方文)을 살펴 벽에 바르는 흙에 물을 섞어 주며 마시게 했다. 밥을 먹지 못하고 물만 마신다. 양잠(養蠶) □□□, 아내는 남쪽 방으로 옮겨 잤다. 방이 좁아 숙희(淑禧)가 올라와 내 곁에서 잤다. ○도사(都事) ()이 성주(星州)에 들...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주제어사전(10)

  • / [역사/조선시대사]

    1522년(중종 17)∼1585년(선조 18). 문신·학자. 자는 백순(伯純), 호는 약봉(藥峰). 본관은 의성이다. 1546년(명종 1)에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교서관정자에 임명되었다. 이후 승문원정자·저작·박사·승정원주서·형조좌랑·사헌부감찰 등을 역임하였다. 저

  • 대관재난고 / 大觀齋亂藁 [문학/한문학]

    「서대관재집고풍 書大觀齋集古風」, 그리고 박민헌(朴民獻)의 「대관재난고서 大觀齋亂藁序」가 있고, 권말에 ()의 「서대관재후 書大觀齋後」와 권응인의 발문이 있다.

  • 사빈서원 / 泗濱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사의리에 있는 서원. 681년(숙종 7)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진(金璡)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81년에 ()·김수일(金守一)·김명일(金明一)·김성일(金誠一)·김복일(金復一)을 추가 배향하여, 선현

  • 자계서원 / 紫溪書院 [교육/교육]

    ) 중건하고 ()과 김대유(金大有)를 추가 배향(配享)하였다. 1661년(현종 2) ‘자계(紫溪)’라고 사액(賜額)되어 선현 배향과 지방 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1871년(고종 8) 대원군의 서원 철폐로 훼철(毁撤)되었으며, 그 뒤 1984년에 복원하

  • 김맹 / 金孟 [종교·철학/유학]

    1410(태종 10)∼1483(성종 14). 조선 전기의 문신. 김항의 증손, 할아버지는 김서, 아버지는 , 어머니는 한성부윤 이간의 딸이다. 1441년(세종 23)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감찰·김천도찰방·예조좌랑이 되었다. 이후 오위도총부경력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