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규진” 에 대한 검색결과 13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8)

사전(4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에 항거하여 민폐를 없애려고 『읍폐교구(邑弊矯捄)』라는 통문을 돌려 읍민들을 선동하다가 현감 김후근(金厚根)에게 체포되었다. 이에 격분한 촌민들이 옥을 부수고 을 구출한 뒤, 당시의 이방 우학능(禹學能), 수교(首校) 우해룡(禹海龍), 서리 문진기(文...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金海岡遺墨(友一出版社, 1980) 近代 韓國畵의 흐름(李龜烈, 미진사, 1983) 1868(고종 5)∼1933. 서화가. 해금강 총석정...
    이칭별칭 용삼(容三)| 해강(海岡), 만이천봉주인(萬二千峰主人), 무기옹(無己翁)
  • 망천동임당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구미시 하평면 일선리 에 있는 조선후기의 주택. [내용]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59호. 영조 51년(1775) 종서(宗瑞) ()이 창건, 누대를 세거하다가 1964년 이재천(李在千...
    연계항목망천동임당댁(輞川洞林塘宅)
  • 가학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지를 모두 볼 수 있으며, 동으로는 문수산‧일월산, 남으로는 학가산(鶴駕山), 북으로는 소백산 연봉을 바라볼 수 있고, 가까이는 남원천을 중심으로 양쪽에 펼쳐진 들판을 내려다볼 수 있어 주위와 경관이 매우 아름답다. 누각 현판의 남면은 ()이, 북면은 강벽...
  • 개령민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많이 거두어들여 현민들로부터 신망을 크게 잃고 있었다. 그런 가운데 반민(班民)인 ()이 읍폐(邑弊)를 바로잡을 목적으로 민중 봉기를 선동하는 통문을 몰래 돌렸다. 그 내용은 “이 운동에 가담하지 않는 자는 그 집을 습격, 파괴하고, 마을도 파괴할 것...

고서·고문서(32)

  • 1884년 () 상서(上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1884년 () 상서(上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1885년 () 준호구(準戶口)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壬子 3월 18일에 이 귀양살이 하는 사돈에게 보낸 간찰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0229 0101_01 壬子 3월 18일에 이 귀양살이 하는 사돈에게 보낸 간찰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남경훈 종가, 사회관계, 공동체생활, 서간통고류, 간찰 한자 고문서 NN004.JPG 壬子 3월 18일에 이 귀양...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壬子 3월 18일에 이 귀양살이 하는 사돈에게 보낸 간찰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0230 0101_02 壬子 3월 18일에 이 귀양살이 하는 사돈에게 보낸 간찰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남경훈 종가, 사회관계, 공동체생활, 서간통고류, 간찰 한자 고문서 NN004-1.JPG 남경훈 종가 한국국학진흥원...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기초학문(9)

  • 체코문학의 슬라브주의와 민족주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규진, 게재일 : 2002
    09014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2 체코문학의 슬라브주의와 민족주의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
    유형논문 | 게재일2002
  • 체코 축제 문화와 여가 문화의 의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규진, 게재일 : 2006
    48395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6 체코 축제 문화와 여가 문화의 의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체코 출생 의례에 나타난 민속 신앙 및 종교적 요소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규진, 게재일 : 2005
    50569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5 체코 출생 의례에 나타난 민속 신앙 및 종교적 요소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체코인의 전통 식생활 문화와 식생활이 생활 습관에 끼친 영향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규진, 게재일 : 2004
    47997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4 체코인의 전통 식생활 문화와 식생활이 생활 습관에 끼친 영향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밀란 쿤데라의 문학세계와 체코문학의 국제성 (희곡 〈야곱과 그 주인〉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규진, 게재일 : 2006
    37784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외국문학연구소 2006 밀란 쿤데라의 문학세계와 체코문학의 국제성 (희곡 〈야곱과 그 주인〉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
    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31)

기타자료(9)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2921 남한 경성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1-33 교우회원주소급명부 1934―10 46면 ; 전북 南原;경성부 도염동 13 재학생 제3학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3957 남한 경성 욱의학전문학교 동창회명부(1943년 4월 현재) 1943 40면 ; 평남 제14회 1936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9138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1942년 11월 현재, 제20호) 1942―12 37면 ; 함남 함흥부 본과 제2회 1925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8079 남한 경성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1-33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일람 1934 105면 1. 제6편. 생도일람;1) 1. 在籍생도 명부;(2) 제3학년 ; (원적)평남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7603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7 100면 2. 제8. 졸업자;56) 제29회 법과 78인 (1936년 3월 (19일) ; (원적)경기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5)

  • / [예술·체육/서예]

    1868-1933년. 서화가. 본관은 남평(南平). 자는 용삼(容三), 호는 해강(海岡)·만이천봉주인(萬二千峰主人)·무기옹(無己翁) 등 많은 별호를 썼다. 평안남도 중화(中和)의 농가에서 태어나 외숙인 이희수(李喜秀)로부터 서화의 기초와 한문을 공부하다가, 18세 되

  • 해강난죽보 / 海岡蘭竹譜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예술류(藝術類) () 화, 김춘배(金春培) 각, 목판본(음각), 회동서관, 1916, 2권 2책(상권 31장, 하권 27장). 일제시대 대표 서화가 해강 의 작품에 당대의 인사들이 제문을 붙인 것을 목판에 음각하여 찍은 첩(帖), 상

  • 가학루 / 駕鶴樓 [예술·체육/건축]

    수산·일월산, 남으로는 학가산(鶴駕山), 북으로는 소백산 연봉을 바라볼 수 있고, 가까이는 남원천을 중심으로 양쪽에 펼쳐진 들판을 내려다볼 수 있어 주위와 경관이 매우 아름답다. 누각 현판의 남면은 ()이, 북면은 강벽원(姜璧元)이 쓴 것이다.

  • 기명절지도 / 器皿折枝圖 [예술·체육/회화]

    ), (1868-1933), 김용진(1882-1968), 유숙(1827-1873), 정학교(1832-1914) 등이 있다.

  • 구룡폭포 / 九龍瀑布 [지리/자연지리]

    이라는 거대한 글자가 새겨져 있다. 이 글씨는 근세에 해강의 서체로, 세 자의 글자 길이는 80척, 너비 2척 2촌, 깊이 7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