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구현” 에 대한 검색결과 1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0)

사전(2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20(순조 20)∼? 조선 말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경락(景洛). 아버지는 재현(在顯)이나, 재헌(在獻)에게 입양되었다. 1874년(고종 11) 증광별시문과에서 병과로 급제하여 바로 홍문관교리에 임명되었다. 그...
    이칭별칭 경락(景洛)
  • 금구현()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금구현 금구현 전라도(全羅道) 구지지산(仇知只山), 봉산(鳳山) 이의방(李義方)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조선 정성일 1170년(고려 의종 24) 1895년(고종 32) ...
    상위어전라도(全羅道) | 동의어구지지산(仇知只山), 봉산(鳳山) | 관련어이의방(李義方)
  • TD_C6_D_0143 鎭山 산림 飛鳳形, 術家, 梧葉, 彫落, 懷想 , 鳳頭, 楊翅山, 卵山 騎牛子 勝覽 D_07_02_05 대동운부군옥 7권 2장 5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7권 2장 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4273 朴氏 인물 烈女, 喪夫, 圖形掛壁, 四時衣服, 懸架, 朝夕奠, 蠲役 柳九淵 D_18_03_30 대동운부군옥 18권 3장 30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8권 3장 3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양정여자교육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10년 5월 1일에 설립된 여성교육단체. [내용] 판서 ()의 첩 김혜경(金惠卿), 친위부장관 이병무(李秉武)의 첩 최성경(崔誠卿) 등이 설립하였다. 설립 취지는 첩이 사회적으로 천대받는 것이 원통하므로...

고서·고문서(66)

  • 世宗實錄地理志 卷第一百五十一 全羅道 56 令一人本百濟 仇知只山縣新羅改爲全州領縣高麗 毅宗二十四年庚寅以李義方外鄕陞爲縣令別號鳳山古屬縣一巨野本百濟 也西伊縣新羅改野西縣爲太山領縣高麗改巨野 爲全州任內後來屬鄕一從政所一櫟陽部曲一大栗鎭山鳳頭【在縣東】四境東北距全州東六里北十...
    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1900년 김재돈(金在敦)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35155 B035155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25年 10月 28日_002 ○謝恩, 孝陵參奉尹昌來, 部將柳以培, 司宰僉正洪萬選, 學諭吳命增, 南海縣監金志道, 監尹志任。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5220 B035220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25年 10月 28日_002 ○謝恩, 孝陵參奉尹昌來, 部將柳以培, 司宰僉正洪萬選, 學諭吳命增, 南海縣監金志道, 監尹志任。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8668 B038668 다대포 多大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14年 9月 9日_002 ○下直, 靈光郡守申致雲, 令兪肅基, 柒浦萬戶張漢柱, 位羅萬戶李碩佐, 多大浦僉使朴道勉。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4)

  • 경제·산업 사건 근대 (-) 해주 - 海州面 南本町 - - 물품판매업 - - - 西鮮三道商工人名錄: 黃海道 外, 193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龜鉉(-) | 지역해주 | 품목- | 영업종목물품판매업 | 자료출처西鮮三道商工人名錄: 黃海道 外, 1932년
  • (도적실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젼 웅쳔군슈 씨가 군에 잇슬 가두웟던 도적 송긔현을 실포 고로 고등판소에셔 증판 로 김씨를 잡다더라
    게재일1899년 4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 (군슈징역)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젼웅쳔 군슈 씨가 임 엿슬에 도젹놈 가둔것슬 일흔고로 근일 법에셔 김씨를 죠률여 중역 일년반에 쳐엿다  죄슈일흔 군슈들이 오륙명이라 니 일쳬로 징역을 리라고들 다더라
    게재일1899년 4월 28일 | 기사분류잡보
  • 천도교회월보_1926_18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6 성사의 유훈 일기자 9 심고 12 지성이면 감천 정호 14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6
  • 預△郡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금번특파리지용씨가 일젼발야 슈원뎡거장에가 이십분동안 지쳬에 슈원 옥길리 거 젼의관 씨가 미리식료품을 예비얏다가 대졉즉 리지용씨가 대단희열야 관곡히우며 내가회환날에 군슈임과 졍령코셔임노라죠좌즁에발론얏다고 김씨 도쳐에 랑며 대...
    게재일1906년 12월 1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5)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7143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23―10―30 103면 ; 함북 제8회 1915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7746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1―09―10 165면 ; 함북 본과제8회 1915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8369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4―10―28 138면 ; 함북 제8회 1915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8545 남한 충남 공주고등보통학교 2-06 동창회회원명부 1941―12―20 31면 ; 제9회 1934년
    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공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4417 남한 충남 공주고등보통학교 2-06 졸업대장(충남공주고등학교) n.r. 39면 ; 제9회 1934년 3월
    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공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20∼?). 증광별시 문과에서 병과로 급제하여 바로 홍문관교리에 임명된 후 한성부판윤에 이어서 형조판서·공조판서·궁내부특진관 등의 요직을 두루 거쳤다.

  • 금구현읍지 / 邑誌 [지리/인문지리]

    조선후기 정조 연간에 전라북도 금구현(현 김제시 금구면)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편찬한 지방지. 1책. 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호남읍지』에 수록된 것이 있다. 내용 구성은 방리(坊里)·도로(道路)·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형승(

  • 지남집 / 砥南集 [종교·철학/유학]

    김남일의 문집. 2권1책. 목판본. 권두에는 조종필의 서문이 있으며, 권말에 권상대, 김성진, 등의 발문이 있다. 권1에는 시 72수가 실려 있으며, 권2에는 서 8편, 제문 1편, 잡저 1편, 그리고 부록으로 가장, 행장, 묘갈명, 묘지명 각 1편, 제문

  • 김제월전리산성 / 金堤月田里山城 [예술·체육/건축]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성곽.산성. 시도기념물. 전라북도 기념물 제85호. 금구면에서 동쪽으로 2km쯤 떨어진 해발 250m 정도 되는 봉두산(鳳頭山)의 정상부를 에워싸고 있으며, 이 봉두산이 옛 금구현()의 진산이다.남쪽으로는 벼락바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