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구주” 에 대한 검색결과 3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42)

사전(4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40(영조 16)∼1786(정조 10). 조선 후기의 척신(戚臣).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두광(斗光)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선경(選慶)이고, 아버지는 오흥부원군(鰲興府院君) 한구(漢耉)이며, 어머니는 원명직(元命稷)의 딸이다...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1198 인물 () ? ? 조선 중기의 무인(武人). 통신사행 당시 한량(閑良)이었다. 1607년 정사 여우길(呂祐吉) ∙ 부사 경섬(慶暹) ∙ 종사관 장희춘(蔣希春) 등 삼사신이 양국의
    유형분류인물
  • 송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 3, 4만냥씩이나 되니, 조정과 재야가 재물을 물쓰듯하면 하루의 즐김에도 지나지 못하며, 한 백성의 게으름으로 한 가족이 굶주린다는 폐론(弊論)을 상소하였다. 또 벽파(僻派) ()의 탄핵을 주장하여 기강을 바로 세워야 조정을 욕되지 않게 하고, 아...
  • 이이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32(영조 8)∼?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연안(延安). 아버지는 순좌(舜佐)이다. 1774년(영조 50)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홍문관부수찬에 부임하였으나 정조가 즉위한 해에 척신(戚臣) ()를 토죄하라는...
  • 문묘향사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ㆍ구상(具庠) 등에 의해 편찬되었다. 권두에 어제(御製) 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ㆍ국립중앙도서관ㆍ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문묘향사도(文廟享祀圖)ㆍ계성사도(啓聖祠圖)ㆍ숭절사도(崇節祠圖)와 각 도표별로 향사록(享祀錄)이 수록되어 있다. 「문...

고서·고문서(295)

  • 주역대전 : 해제_35. 김귀주()의 주역차록(周易箚錄)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 58 해제 35. 김귀주()의 주역차록(周易箚錄)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서산 출신이다. 그의 증조는 두광(斗光)이고, 할아버지는 선경(選慶)이며, 아버지는 영조의 장인인 오흥부원군(鰲興府院君) 김한구(金漢耉)이고, 어머니는 원명직(元命稷)의...
    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 50583 B050583 덕포첨사 德浦僉使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42年 6月 10日_013 ○傳于曰, 德浦僉使鄭允說, 使之今日謝恩。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50663 B050663 덕포첨사 德浦僉使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42年 6月 9日_011 ○傳于曰, 德浦僉使口傳擧行。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50666 B050666 덕포첨사 德浦僉使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42年 6月 10日_013 ○傳于曰, 德浦僉使鄭允說, 使之今日謝恩。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54064 B054064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正祖 1年 8月 19日_135 ... 17]黑山島定配罪人, 卽其地賜死。 國榮曰, , 旣非大官, 則初不拿鞫, 直爲賜死, 似甚如何矣。 上曰, 非不知拿鞫正法之爲宜, 而其在仰體慈意之道, 有所不忍而然也。 上曰...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2)

기타자료(2)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0026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211면 ; 제12회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0879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同窓會名簿 1941―12―28 32면 ; 부산부 범일정 2002 제12회 1923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의 관리(1740∼1786). 영조의 계비였던 정순왕후(貞純王后)의 오빠이다. 1772년 공조참판으로 있을 때 탕평정책을 위협한다는 명분으로 정조의 외가 인물이었던 홍봉한(洪鳳漢)을 모함하였다. 정조 즉위 후 흑산도에 유배되었다. 사도세자의 죽음과도 관련이

  • 홍봉한 / 洪鳳漢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3∼1778). 사도세자의 장인이다. 백골징포, 환곡작폐엄금 등으로 국고를 늘렸다. 노론의 영수로 죽어가는 사도세자를 방관해 비난 받았으나 영조가 사도세자의 시호를 내리자 돌연 세자를 죽게 한 일파와 벽파의 탄압기회로 삼았다.

  • 이구 / 李球 [종교·철학/유학]

    ?∼1822(순조 22). 조선 후기의 종실. 아버지는 병원, 아들이 이하응이다. 정조의 이복동생 은신군 진에게 입양하여 남연군에 봉해졌다. 부인은 여흥민씨이다. 1771년(영조 47) 양부 은신군이 등의 모함으로 관작을 빼앗기게 되어 제주도에 위리안치된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