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교헌” 에 대한 검색결과 10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3)

사전(3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종교총본사, 1971) 「대종교(大倧敎)의 독립운동(獨立運動)에 관한 연구(硏究)」(박영석, 『사총(史叢)』 21‧22합집, 1977) (1858-1923) 1868(고종 5)...
    이칭별칭 백유(伯猷)| 무원(茂園), 보화(普和)|헌(獻)
  • 매석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김광백(金光柏)의 시집. [내용] 불분권 1책. 목활자본. 1908년 아들 연우(然雨)ㆍ연호(然灝)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종한(金宗漢)ㆍ정인승(鄭寅昇)ㆍ이기(李沂)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의
  • 신단민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대종교(大倧敎) 제2대교주 ()이 쓴 단군민족에 관한 역사책. [내용] 국한문활자본. 1권. 1904년과 1923년에 각각 인쇄, 출판되었다고 하나, 현존하는 책은 1946년에 출판된 인쇄본이다. 저자가 “이 책은 국대...
  • 이범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09년에 규장각부제학에 임명되었으며, 그해 9월 정만조(鄭萬朝)ㆍ김윤식(金允植)ㆍ김학진(金鶴鎭)ㆍ박제순(朴齊純)ㆍ김덕한(金德漢)ㆍ() 등과 함께 만 1년 동안의 찬집 노력 끝에 『국조보감』 편찬사업을 성공리에 완수하였다. 그해 10월 『국조보감』 찬집에...
    이칭별칭 사의(士儀)| 치재(恥齋)
  • 묘적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지의 역사는 미상이며, 조선 중기에 폐허화되었다. ()이 쓴 묘적사 산신각창건기(山神閣創建記)에 의하면, 수백 년 동안 소규모의 사찰로 명맥만 이어오던 것을 1895년 봄 규오(圭旿)가 이 절에 와서 시주를 얻어 산신각을 짓고, 오랫동안 이 절에 있었...

고서·고문서(25)

  • 1910년 () 칙명(勅命)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관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관고
  • 정해년 제문(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제문 | 현소장처의성 아주신씨 오봉 가문‧호계 가문
  • 풍수설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이 자료는 조선총독부 중추원이 기록한 자료로 자료명은 “풍수설(風水說)”로 표기되어 있으며 작성자 ()이며 생산년도는 알 수 없다. 조선총독부 중추원에서 풍수와 관련하여 조사한 책으로 46매로 구성되어 있다.
    분류일상생활 |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출판사없음
  • 71267 B071267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純宗 1年 9月 8日_013 ○東萊府尹, 朔州郡守金潤根, 原州郡守金泳圭免本官。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正三品秦熙晠任度支部水道局事務官, 度支部主事金泰翊, 沃溝監理依願免本官, 閔元植任度支部主事。 東萊監理李懋榮任沃溝監理, 正三品任東萊監理, 內部主事嚴柱澤起復行公被命事, 內部主事金纘濟起復行公被命事, 价川郡守朴正來, 身故事。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4)

  • 한국판 도박 중독 임상면접 도구(K-SCI-GA)타당화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교헌, 게재일 : 2015
    17898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건강심리학회 2015 한국판 도박 중독 임상면접 도구(K-SCI-GA)타당화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도박행동의 자기조절모형: 상심모형의 확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교헌, 게재일 : 2006
    18527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심리학회 2006 도박행동의 자기조절모형: 상심모형의 확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태안 주민들의 재난 적응 과정에 대한 토착 심리학적 이론 구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교헌, 게재일 : 2009
    42254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심리학회 2009 태안 주민들의 재난 적응 과정에 대한 토착 심리학적 이론 구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태안 주민들의 재난 후 스트레스 반응: 사고 후 2개월과 8개월 시점의 지역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교헌, 게재일 : 2009
    44682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환경사회학회 2009 태안 주민들의 재난 후 스트레스 반응: 사고 후 2개월과 8개월 시점의 지역별 비교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
    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27)

  • 민세안재홍전집 : 茂園氏를悼함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150 1926 1 2 1 1 安民世 안재홍 茂園氏를悼함 신문 조선일보 1면5단 인물평 사회 직접자료 선집외 茂園 A19260102조선02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三氏免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동부운 삭쥬군슈 김윤근 원쥬군슈 김영규 삼씨 면본관이 되엿더라
    게재일1907년 10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이십칠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츈쳔부쥬 김뎡현 갈닌에 쥬셕흥으로 임고 녕변부 쥬 류경훈 갈닌에 김교셩으로 임고 비셔승 신휴 갈닌에 졍삼품 으로 임고 졍삼품 리붕으로 삼졍감리 무를 명다
    게재일1899년 2월 28일 | 기사분류관보
  • 월 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비셔원승 과 샤직셔 참봉 김희규 의원 면본관고 남규희 비셔원승을 임고 김영진은 샤직셔 참봉을 임고 태복쟝 윤뎍영은 쟝례원 쟝례 임다
    게재일1899년 4월 5일 | 기사분류관보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東萊府尹 朔州郡守金潤根 原州郡守金泳圭 免本官 以上十月十五日 兼任判敦寧司事 侍從院卿 閔丙奭 陞正二品 宗廟署提調金永典 陞正三品 警視副監具然壽 以上十月十五日
    게재일1907년 10월 20일 | 기사분류관보

기타자료(4)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0847 남한 경북 대구농업학교 2-15 졸업대장(1회~33회) n.r. 136면 ; 경상북도 성주군 용암동 사곡동 157번지 제28회 4273년 3월 5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1202 일본 東京 中央大學 中央大學우리同窓會 창간호 1933―06―25 86면 ; 경성부 岩根町 52 1924년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中央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1801 일본 東京 中央大學 中央大學우리同窓會 회원명부 1935―06―10 5면 ; 경성부 岩根町 52 1924년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中央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실리주의적 축산교육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잡지 1961 6 교육평론 33호 교육평론사 76-79 4 PD...
    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교헌 | 사료철명교육평론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6)

  • / [역사/근대사]

    1868-1923. 항일기의 독립운동가·대종교인. 자는 백유(伯猷). 호는 무원(茂園)·보화(普和). 1885년 정시문과에 급제한 뒤 예조참의·성균관대사성 등을 역임하면서 독립협회에 가입하여 대중계몽운동을 벌였다. 나철(羅喆)의 뒤를 이어 대종교의 제2대 교주에 취임

  • 승급문서 / 陞級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25일. 규장각부제학 ()을 종2품 가선대부에 특승하는 임명장. 경술국치 4일 전의 문서이다. 은 독립운동가이자 대종교 제2대 교주로 활동한 인물이다.

  • 신단실기 / 神檀實記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편년류(編年類) ()편, 신연활자본, 대종교청년회, 1923, 불분권 1책(52장). 1914년 대종교(大倧敎)의 2대 교주 이 쓴 고대사이다. 2단으로 구성 되었고, 한글 현토본으로 되어 있다.

  • 신리대전 / 神理大全 [종교·철학/대종교]

    대종교 경전의 하나. 나철이 <삼일신고>의 신훈편을 설명한 책이다. 신위, 신도, 신인, 신교의 4장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대종교의 신관을 여러 가지 차원에서 설명하고 있다. 서일이 한문으로 주를 달았으며, 1923년 이 간행하였다. 그 뒤 윤세복이 한글로 번역

  • 증보문헌비고 / 增補文獻備考 [종교·철학/유학]

    1903년부터 1908년 사이에 칙명으로 편찬, 간행된 장고 집성의 유서. 총 16고 250권. 1903년 1월 법무국장 김석규의 건의가 채택, 홍문관 안에 찬집소를 두고 박용대·조정구··김택영·장지연 등 33인이 찬집을, 박제순 등 17인이 교정을, 한창수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