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교신” 에 대한 검색결과 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

사전(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6호부터는 이 동인지를 이 주필로 단독 간행하였으나 동인들의 투고는 계속되었다. 이 책은 1942년 3월호의 권두언 ‘조와(弔蛙)’가 한국민족의 영혼을 찬양했다는 이유로 불온잡지로 지목되어 폐간당하였다. 그리고 그를 비롯하여 함석헌‧송두용‧유달영(柳達永)...
  • 유영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탐구하여 나갔다. 1914년 최남선(崔南善)과 교류하며『청춘』지에 「농우(農牛)」ㆍ「오늘」 등을 1918년까지 기고하였다. 1921년 조만식(曺晩植)의 후임으로 오산학교 교장에 부임하여, 1년 재직하는 동안 ()ㆍ함석헌(咸錫憲) 등 제...
    이칭별칭 다석(多夕)
  • 성서조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 등 한국의 무교회주의자들이 1927년 7월에 창간한 동인지(同人誌). [내용] 창간 당시의 진용은 일본의 예언적ㆍ반국수주의적ㆍ반외국교파적 무교회주의자인 우치무라 간조(內村鑑三)의 신앙적인 문하생으로, 그의 감화를 받은 ...
  • 함석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송두용(宋斗用)‧정상훈(鄭相勳) 등과 함께 무교회주의신앙클럽을 결성하였다. 1927년 동인지 ≪성서조선 聖書朝鮮≫ 창간에 참여하여 글을 발표하기 시작하였다. 1928년 4월 귀국하여 모교인 오산학교의 교사로 부임하였다가 1938년 3...
  • 최태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도원으로 2년간 근무하며 신앙활동을 계속하다가 1920년 일본에 건너가 동경영어학교에 입학하였다. 그 곳에서 무교회주의자인 우치무라(內村鑑三)에게 사사하면서 성서연구에 몰두하였다. 이 때 뜻을 같이한 동지 중에는 ≪성서조선 聖書朝鮮≫의 ()‧함석헌(咸...
    이칭별칭 시남(是南)

고서·고문서(1)

  • 대촌양원(손양원) 판결문( 大村良源(孫良源) 判決文)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
    회자가 없는 교회를 순회하며 설교를 하거나 부흥사경회를 인도하거나 교회 개척 전도를 했다. 손양원은 1929년 3월 6일 경남성경학원을 졸업하고 나서도 부산지역에서 전도사로서 목회활동을 계속했다. 그 무렵 그는 이 발행하던 성서조선의 애독자였던 것 같다. 기성 교...
    제목대촌양원(손양원) 판결문( 大村良源(孫良源) 判決文) | 사건유형치안유지법 위반 | 소장처국가기록원

기초학문(3)

  • , 함석헌 그리고 우찌무라 간죠(內村鑑三)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양현혜, 게재일 : 2006
    07618 양현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교회사학회 2006 , 함석헌 그리고 우찌무라 간죠(內村鑑三)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한국기독교사에서 퀘이커주의와 함석헌의 위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성수, 게재일 : 2005
    Id=4b76f6dc1249b97c011249e496c744a6 서구사상의 주체적 수용에 관한 연구: 유영모, 함석헌, 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metaDataId=4b7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동양사상의 우주론에 입각한 유영모의 신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진희, 게재일 : 2005
    b76f6dc1249b97c011249e45de3443a 서구사상의 주체적 수용에 관한 연구: 유영모, 함석헌, 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metaDataId=4b76f6d
    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13)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商工商會) 서울 商工商會 和泉町 121 식료품 - 쌀 및 잡곡 중개 75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敎信(商工商會)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쌀 및 잡곡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조선출판경찰월보 067호 성서조선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67호 성서조선 성서조선(聖書朝鮮) 제62호 미기재 () 경기 고양군(高陽郡) 조선_1934년 03월 15일 불허가 미기재 한국어 성서조선 성서(城西)통신...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67호 성서조선 | 출판물명성서조선(聖書朝鮮) 제62호
  • 조선출판경찰월보 116호 성서조선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116호 성서조선 성서조선(聖書朝鮮) 112호 미기재 () 경기도(京畿道) 고양군(高陽郡) 숭인면 정릉리 378 조선_1938년 4월 27일 불허가 안녕 한국어 ...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116호 성서조선 | 출판물명성서조선(聖書朝鮮) 112호
  • 조선출판경찰월보 071호 성서조선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71호 성서조선 성서조선(聖書朝鮮) 미기재 () 경기 고양군(高陽郡) 조선_1934년 7월 3일 불허가 미기재 한국어 성서조선, 조선 역사, 오산학교 1....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71호 성서조선 | 출판물명성서조선(聖書朝鮮)
  • 조선출판경찰월보 082호 성서조선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82호 성서조선 성서조선(聖書朝鮮) 제77호 미기재 () 경성(京城) 조선_1935년 6월 17일 삭제 미기재 한국어 성서조선, 조선역사 (발췌) 1.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82호 성서조선 | 출판물명성서조선(聖書朝鮮) 제77호

기타자료(3)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2791 남한 경성 양정고등보통학교 1-35 양정 제6호 1930 71면 1. 양정교우회 회원명부;1) 특별회원 ; 경기 고양군 용강면 공덕리 130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양정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3996 남한 경성 양정고등보통학교 1-35 양정 제8호 1931 87면 1. 양정교우회 회원명부;1) 특별회원 ; 경기 고양군 용강면 공덕리 130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양정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연재교양) 우리 교육 선각자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연재교양) 우리 교육 선각자 (연재교양) 우리 교육 선각자 (연재교양) 우리 교육 선각자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론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은목 | 사료철명문교행정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개신교]

    1901-1945. 함경남도 함흥 출신. 종교인. 교육자. 1918년 함흥농업학교를 졸업, 일본에 건너가 동경세이소쿠영어학교(東京正則英語學校)에 들어갔다. 1922년 동경고등사범학교 영문학과에 입학, 그뒤 지리·박물과로 전과하여 1927년에 졸업하였다. 동경유학 당시

  • 성서조선 / 聖書朝鮮 [종교·철학/개신교]

    기독교잡지. 1927년 7월에 창간, 무교회주의를 표방하였다. 창간 당시 발행인은 유석동, 편집인은 정상훈이었다. 그 밖에 , 함석헌, 송두용, 양인성 등이 참여하였다. 이들은 민족위기를 성서연구를 통해 극복할 것을 주장하였다. 기성교회를 비판하는 글들을 발표하

  • 최태용 / 崔泰瑢 [종교·철학/개신교]

    본에 건너가 동경영어학교에 입학하였다. 그곳에서 무교회주의자인 우치무라(內村鑑三)에게 사사하면서 성서연구에 몰두하였다. 이때 뜻을 같이한 동지 중에는 《성서조선 聖書朝鮮》의 ()·함석헌(咸錫憲) 등이 있었다. 1923년 관동대지진사건이 일어나자 《일본에 보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