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광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7)
사전(27)
- 김광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顯宗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병자록(丙子錄)』 김광찬...이칭별칭 사회(思晦)
- 김광찬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김상헌의 아들로, 전 정랑이다. 호란 때 아버지가 목을 매자구하지 않고 울며 운명하기를 기다린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송상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어머니는 동지(同知) 김광찬(金光燦)의 딸이다. [내용]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1684년(숙종 10)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승문원에 등용되었다. 홍문관저작을 지내면서 문장에 능하고 학식이 풍부하여 홍문관에서 상주하는 글은 대개 그가 지었다. 박사...이칭별칭 옥여(玉汝)| 옥오재(玉吾齋)| 문정(文貞)
- 이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아버지는 군수 중휘(重輝)이며, 어머니는 김광찬(金光燦)의 딸이다. [내용] 1668년(현종 9)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 설서가 된 이래, 헌납ㆍ정언ㆍ지평ㆍ교리ㆍ수찬ㆍ응교 등을 거쳐 1680년(숙종 6) 경신대출척으로 서인이 재집권하자...이칭별칭 자우(子雨)| 녹천(鹿川)| 혜정(惠定)
- 음모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소식. 一年垂盡 音耗莫憑 .戀徒切, 김광찬(金光燦), 36-34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46)
- 5 第五統統首金光贊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699년_농소면(農所面) 1699년 농소면(農所面) 第十一烏長里 5 第五統統首金光贊 統第一戶 敬順大王後裔出身金光贊年肆拾陸甲午本金海父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起龍祖訓鍊主簿泰仁曾祖宣武原從功臣守門 將春馥外祖訓鍊院奉事禹億淵本丹陽妻李氏年肆拾伍乙未籍慶州父通政大夫善男...연도_면이름1699년_농소면(農所面) | 면이름농소면(農所面) | 마을이름第十一烏長里
- 6 第六統統首金光贊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29년_농소면(農所面) 1729년 농소면(農所面) 第十二烏晶里 6 第六統統首金光贊 第一戶 出身金光贊年柒拾陸甲午本金海父納粟嘉善大夫起龍祖學生泰仁曾祖宣武 原從二等功臣春福外祖學生禹億淵本丹陽妻徐氏年伍拾伍乙卯籍達城父學生尙 明祖學生夢龍曾祖權知訓鍊院奉事應澤外祖...연도_면이름1729년_농소면(農所面) | 면이름농소면(農所面) | 마을이름第十二烏晶里
- 동지(同知) 김광찬(金光燦) 만사(輓詞)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만사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만사 | 현소장처논산 노성 파평윤씨 명재 종가
- 1762년 김광찬(金光燦)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안동 금계 의성김씨 학봉 종가
- 12 第十二統統首金光贊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59년_범서면(凡西面) 1759년 범서면(凡西面) 第二尺果里 12 第十二統統首金光贊 第十二統一戶 鰥夫業武金光贊年參拾柒癸卯本金海父業武世雲祖業武弼周曾祖通政自準外祖業 武金莫立本慶州率女召史年貳拾伍乙卯等丙子戶口相准 第二戶 校生金鳳來年參拾伍乙巳本...연도_면이름1759년_범서면(凡西面) | 면이름범서면(凡西面) | 마을이름第二尺果里
신문·잡지(5)
- 조선인민군_1950_0713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오기찬 【○○전선에서 특파기자 지영봉발】 안병걸 구분대 운전수 김광찬 동무는 용감한 운전수이다 서울 남쪽을 진격하여 나가는 아군 보병들은 파죽지세로 적을 추격하며 한강도하작전을 감행하였다. 습격이 격심하여 용이한 도하는 아니였으나 아군 보병들은 용감하게...대표표제어조선인민군_1950_0713_03 | 책임주필오기찬
- 가톨릭청년_1960_14_0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성모여, 당신 앞에 홍준오 96 어머니 김광찬 97 깊어가는 봄밤에 김데레사 98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0
- 승리를위하여_1950_0717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7 김명덕 김광찬 인민군대 우리 인민군대는 최신식 정예의 무장을 갖추고 있다. 우리는 수많은 전투에서 검열된 훌륭한 무기! 보총, 기관총, 박격포, 대포를 가지고 있다. 인민들은 적에 대한 완전하고 급속한 승리를 달성하기에 필요되는 모든 것을...대표표제어승리를위하여_1950_0717_01 | 책임주필김명덕
- 황해로동신문_1947_0713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지 완납할 것을 결정하였다. 회의는 면 인민위원장 이정기(李停基) 동무의 사회로 시작되여 먼저 군 인민위원장 김승권 동무로부터 도 인민위원장 김웅기동무의 격려문 랑독과 우리 당 군당 선전선동부부장 김광찬 동무로부터 우리 당 도당부의 격려문 랑독이 있었다. 이에 대하야...대표표제어황해로동신문_1947_0713_03 | 책임주필이영조
- 황해로동신문_1947_0731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당선 전 선동부에서 주력하고 있는 사업 중의 하나이다. 특히 은홍면 농민들에게 보내는 분도인민위원장 김응기씨와 우리 당 도당부의 격려편지가 실린 자유황해 황해로동신문이 7월 10일 오후 4시에 도착하자 군당에서는 즉시 선전선동부 부부장 김광찬 동무를 은홍면에 파견하여...대표표제어황해로동신문_1947_0731_02 | 책임주필이영조
기타자료(9)
- 김광찬;金光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1863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1942년 11월 현재, 제20호) 1942―12 12면 김광찬;金光瓚 함남 정평군 문산면 풍양리 제3회 1919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광찬;金光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16374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31 164면 46. 졸업생;24) 1924년 舊본과 졸업생 (19명) 김광찬;金光瓚 (원적)함남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광찬;金光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17218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32 164면 9. 졸업생;24) 1924년 舊본과 졸업생 (19명) 김광찬;金光瓚 (원적)함남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광찬;金光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19595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26 116면 37. 졸업생;24) 1924년 舊본과 졸업생 (19명) 김광찬;金光瓚 (원적)함남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광찬;金光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18894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25 110면 37. 졸업생;24) 1924년 舊본과 졸업생 (19명) 김광찬;金光瓚 (원적)함남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6)
-
김광찬 / 金光燦 [정치·법제/법제·행정]
1597(선조 30)∼1668(현종 9).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아버지는 부사 상관(尙寬)이며, 작은아버지인 좌의정 상헌(尙憲)의 양자로 들어갔다. 광해군 때는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있다가 1627년(인조 5)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음서(蔭敍)로
-
송상기 / 宋相琦 [정치·법제/법제·행정]
1657(효종 8)∼1723(경종 3).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학유(學諭) 희원(希遠)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국전(國銓)이고, 아버지는 예조판서 규렴(奎濂)이다. 어머니는 동지(同知) 김광찬(金光燦)의 딸이다. 대표적인 관직으로는 홍문관저작,
-
이유 / 李濡 [종교·철학/유학]
1645(인조 23)∼1721(경종1). 조선 후기의 문신. 여 후손, 후재 증손, 할아버지는 형, 아버지는 중휘, 어머니는 김광찬의 딸이다. 1668년(현종 9)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 경상도관찰사, 대사헌, 병조판서,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송시열의 문인으로
-
홍만조 / 洪萬朝 [종교·철학/유학]
1645(인조 23)∼1725(영조 1). 조선 후기의 문신. 이상 증손, 할아버지는 탁, 아버지는 주천, 어머니는 김광찬의 딸이다. 1678년(숙종 4)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경상도관찰사, 대사간, 형조참판, 한성부판윤, 좌참찬 등을 역임하였다.
-
김수항 / 金壽恒 [종교·철학/유학]
1629(인조 7)∼1689(숙종 15). 조선 후기의 문신. 김극효의 증손, 할아버지는 김상관,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김광찬, 어머니는 목사 김래의 딸이다. 1646년 진사시와 1651년(효종 2) 알성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 전적이 되었다. 이어 병조좌랑·사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