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계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3)
사전(4)
- 동문휘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숭우(李崇祐)‧정창성(鄭昌聖)‧홍양호(洪良浩)‧이재학(李在學)‧홍병찬(洪秉纘)‧이도묵(李度默) 등이 번갈아 임명되었고, 역관(譯官) 김계환(金啓桓)‧김윤서(金倫瑞)‧최기령(崔麒齡) 등이 참여하였다. 그 뒤로 여러 차례의 속찬을 거쳐 최종적으로 1881년(고...
- 동문휘고(同文彙考)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학(李在學)ㆍ홍병찬ㆍ이도묵(李度默) 등이 번갈아 임명되었고, 역관(譯官) 김계환(金啓桓)ㆍ김윤서(金倫瑞)ㆍ최기령(崔麒齡)이 참여했다. [서지 사항] 79권 60책으로 구성되어 있고, 운각인서체자본(芸閣印書體字本)이다. 크기는 세로 25.5cm, 가로 16.9...
- 대한테니스협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김계환, 문교부, 1975) 韓國體育史硏究(羅絢成, 敎學硏究社, 1981) 대한체육회70년사(대한체육회, 1990)
- 테니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여자테니스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켰다. 韓國運動競技史(羅絢成, 文泉社, 1963) 테니스(金季煥, 文敎部, 1975) 테니스의 理論과 實際(金東進, 同和文化社, 1983) 테니스경기장...
고서·고문서(35)
- 丁亥年 10月 3日에 金啓煥이 보낸 簡札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009 1064_01 丁亥年 10月 3日에 金啓煥이 보낸 簡札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이시선 종가, 일상생활, 사회관계, 서간통고류, 서간류, 간찰 한자 고문서 SL024.JPG 丁亥年 10月 3日에 金啓煥이 보낸 簡札 簡...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戊子年 8月 4日에 사위 金啓煥이 장인에게 보낸 簡札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1987 1048_01 戊子年 8月 4日에 사위 金啓煥이 장인에게 보낸 簡札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이시선 종가, 일상생활, 사회관계, 서간통고류, 서간류, 간찰 한자 고문서 SL008.JPG 戊子年 8月 4日에 사위 金啓煥이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戊子年 10月 5日에 사위 金桂煥이 丈人에게 보낸 簡札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1988 1049_01 戊子年 10月 5日에 사위 金桂煥이 丈人에게 보낸 簡札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이시선 종가, 일상생활, 사회관계, 서간통고류, 서간류, 간찰 한자 고문서 SL009.JPG 戊子年 10月 5日에 사위 金桂煥...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景祐宮(1896)_평안도 定州郡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154367 22033_0169 奎22033 景祐宮(1896) 평안도 定州郡 伊彦面 三里大垌 평안도 定州郡 伊彦面 三里大垌 40 40결 김계환(金啓煥) 김계환(金啓煥)자료번호22033_0169 [奎22033]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어음전(於音錢) 청구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용산방(龍山坊) 신촌리(新村里) 21통 4호 김계환(金桂煥) 한성부(漢城府) 중부(中部) 전동(?洞) 보성학교(普成學校) 내(內) 원고의 신청은 이를 각하함. 083 일문 闕席判決書 漢城府 西部 龍山坊 新村里 二十一統 四戶 原告 康公弼 漢城府 中部...재판기관경성구재판소(京城區裁判所) | 판결일자1909년 07월 27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기초학문(1)
- 21世紀 韓國의 대통령像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계환, 게재일 : 199702786 김계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민국 헌정회 1997 21世紀 韓國의 대통령像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2유형논문 | 게재일1997
신문·잡지(10)
- 삼월 담갑으로 국보급 본금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셩운 죠문식 김창신 최광산 최봉학 박슈창 홍무쇠 박봉슌 盧자근돌 오쥬슌 안명산 죠금산 姜창복 하일쳥 홍산이 박경셕 리완긔 죠흥산 김계환 리긔범 최윤죵 박영산 졍창근 홍흥 박슌갑 김홍슉 盧쳔쇠 졍슌셕 최만용 최션봉 윤봉길 쟝씨릉 윤인쳘 오한셩 田션츌 윤셩헌 김삼봉 박영...게재일1907년 4월 11일 | 기사분류광고
- 慶南國債報償義募金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鳳 千應七 吳國見 김永瑞 各五拾젼 尹京八 卅젼 卓碩其 八拾젼 安斗元 張漢彦 各拾젼 李俊瑞 四拾四젼中安一洞 강昌世 徐珍旭 김冀鉉 各貳圓 鄭周源 金桂煥 강尙俊 嚴胃永 各壹圓 김京浩 朴泰驥各六拾젼 趙永準 鄭儀鍾 趙孝俊 김鍾文 李興用 各四拾젼 捧留所國債報償聯合會議所長 金 宗...게재일1907년 9월 17일 | 기사분류광고
- 참위 민필호로 친위뎨일련 뎨이대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위뎨일련 뎨일부를보고 참위 김졍현으로 진위뎨이련 뎨삼부를보고 차필우로 진위뎨련 뎨일대부를 보고 참위 김계환 김셕으로 진위뎨오련 뎨이대부를 보고 참위 남쥰희 쟝규형으로 진위뎨오련 뎨삼대부를보고 참위김동원으로 진위뎨륙련 뎨일대부를 보...게재일1902년 11월 12일 | 기사분류관보
- 스포오츠_1971_03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영화배우 이수련군 탁구로 히트 24 경기에는 졌지만 배운건 많아 김계환 26 헤라크레스가 있는 산...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1
- 스포오츠_1971_02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34 실력향상의 계기로 삼겠다-데배전 한국대표티임 감독 김계환씨 37 리크리에이션과 지도 김현태 40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1
기타자료(3)
- 김계환;金啓煥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7914 남한 경성 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 1-45 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 <<진명>> 1934 137면 ㅁ1. 회원명부(1934년 5월 현재);ㅁ21) 제19회(1929년 3월 20일) 42명 김계환;金...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계환;金桂煥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0262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214면 김계환;金桂煥 제17회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계환;金桂煥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1119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同窓會名簿 1941―12―28 49면 김계환;金桂煥 제17회 1930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5)
-
김계환 / 金啓煥 [역사/근대사]
1909-1930. 일제 강점기 노동운동가. 다른 이름은 김계환(金桂煥)이다. 출신지는 함경남도 단천군(端川郡) 복귀면(福貴面)이다. 1930년 삼림정책의 방향 제시 및 삼림자원 약탈을 목적으로 일제에 의해 조직된 삼림조합(森林組合)에 의해 과다한 조합비가 부과되자
-
이원호 / 李元鎬 [종교·철학/유학]
1897년(광무 1)∼1930년 7월 21일.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단천군수와 면담하면서 구속자 석방을 요구하였으나 일본 경찰에 의해 쫓겨나고 말았다. 이 일로 김계환·김득수·김을룡·김응철·김창언·심정붕·안경룡·안길현·안병환·유경을·이선식·장종형·최두필·최종협
-
최두필 / 崔斗弼 [역사/근대사]
이 군중을 향해 쏜 총에 맞아서 김계환(金啓煥)·김득수(金得洙)·김을룡(金乙龍)·김응철(金應喆)·김창언(金昌彦)·심정붕(沈正鵬)·안경룡(安京龍)·안길현(安吉炫)·안병환(安丙煥)·유경을(劉京乙)·이선식(李善植)·이원호(李元鎬)·장종형(張宗亨)·최종협(崔鐘協)·허병률(許丙
-
최종협 / 崔宗協 [역사/근대사]
석방하라는 요구를 하던 중 일본 경찰이 군중을 향해 쏜 총에 맞아서 김계환(金啓煥)·김득수(金得洙)·김을룡(金乙龍)·김응철(金應喆)·김창언(金昌彦)·심정붕(沈正鵬)·안경룡(安京龍)·안길현(安吉炫)·안병환(安丙煥)·유경을(劉京乙)·이선식(李善植)·이원호(李元鎬)·장종형(
-
허병률 / 許丙律 [역사/근대사]
이 군중을 향해 쏜 총에 맞아서 김계환(金啓煥)·김득수(金得洙)·김을룡(金乙龍)·김응철(金應喆)·김창언(金昌彦)·심정붕(沈正鵬)·안경룡(安京龍)·안길현(安吉炫)·안병환(安丙煥)·유경을(劉京乙)·이선식(李善植)·이원호(李元鎬)·장종형(張宗亨)·최두필(崔斗弼)·최종협(崔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