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계광” 에 대한 검색결과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

사전(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21(광해군 13)∼1675(숙종 1).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경겸(景謙), 호는 구재(鳩齋). 안동 출생. 극(克)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좌찬성 희맹(希孟)이고, 아버지는 학(壆)이며, 어머니는 전...
    이칭별칭 경겸(景謙)| 구재(鳩齋)
  • 구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석인본. 1943년 그의 8대손 동진(東鎭)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유동준(柳東濬)‧이제상(李濟相)의 발문과 동진의 후지(後識) 등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 백담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구봉령(具鳳齡)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본집은 1645년(인조 23) 풍기군수 ()이 편집‧간행하였고, 속집은 1691년(숙종 17) 이유수(李裕垂)와 김성구(金成九)가 간행하였다. 본집에는 권두...
  • 명곡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ㆍ신선온(申善溫)ㆍ()ㆍ신유(申濡) 등 당시 문신과 교우들에 대한 만시(輓詩)가 많이 있다. 시풍은 당송(唐宋)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기상이 뛰어나고 화려하면서도 수식이 없는 충담(冲澹)한 품격을 지녔다. 기의 「요산서원기(遼山書院記)」는 1636...

고서·고문서(8)

  • 1669년 ()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669년 11월 15일, 이 집안 혼사일에 관한 의견을 제시하기 위해 보낸 편지이다. 먼저 상대의 안부를 알게 되어 위로되고 자신의 근황을 알리고 병사가 자신의 관할지역을 평가하고 있다고 하고 있다. 이어서 12월 19일을 길일이라고 하나 이장하는 일, 청기의...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구재선생문집(鳩齋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僉使朴起星, 同知宋文徵, 僉知李遐, 宣傳官盧鍉, 典籍韓翊周·金斗翼, 泗川縣監李炯, 僉知朴濠, 成均博士柳梴, 學錄, 都承旨李慶億, 大靜縣監李以時, 茂山僉使朴昌後。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 第一統統首김性範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周郁年參拾捌戊申婦成姓年貳拾捌戊申等壬午戶口相准 第五戶 黃山道驛吏李元三年陸拾參癸未本全州父금男祖正佑曾祖尙憲外祖本김海 妻崔姓年伍拾伍辛卯本慶州父順采祖運春曾祖守連外祖崔演秀本慶州等壬 午戶口相准
    연도_면이름1825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六百椧里
  • 集 10권 6책을 비롯하여 追遠 錄‧辯誣錄‧四禮問答 등이 있다. 이 편 지에서는 부친처럼 돌봐주고 아들처럼 따르던 둘 사이의 관계를 말한 다음, 한 번 찾아뵈려 해도 집안 사정 때문에 여의치 못하였다고 하면서 용서를 구하였다. 與金景謙鳩齋書(啓光) 18 (162...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621(광해군 13)∼1675(숙종 1). 조선 후기의 문신. 극의 증손, 할아버지는 좌찬성 희맹, 아버지는 학, 어머니는 전주유씨로 우잠의 딸이다. 어려서 외할아버지로부터 배웠고, 그 뒤 김상헌·김응조에게도 수학하였다. 1660년(현종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 백담문집 / 栢潭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구봉령의 시문집. 14권 6책. 목판본. 본집은 1645년(인조 23) 풍기군수 이 편집·간행하였고, 속집은 1691년(숙종 17) 이유수와 김성구가 간행하였다. 본집에는 권두에 홍여하의 서문과 권말에 유동준의 발문이 있고, 속집에는 김

  • 구재문집 / 鳩齋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43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석인본. 1943년 그의 8대손 동진(東鎭)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유동준(柳東濬)·이제상(李濟相)의 발문과 동진의 후지(後識) 등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