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계” 에 대한 검색결과 3,17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137)

사전(335)

  • 운강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의 시문집. [내용] 불분권 1책. 목활자본. 1911년 후손 낙진(洛鎭)‧봉술(鳳述)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용학(金用鶴)의 서문과 권말에 김준상(金駿相)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28(중종 23)∼1574(선조 7). 조선 중기의 문신ㆍ학자. [개설] 본관은 부안(扶安). 자는 회숙(晦叔), 호는 운강(雲江). 사온서직장 회윤(懷允)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언 직손(直孫)이고, 아버지는 석옥(錫沃)이며, 어머...
    이칭별칭 회숙(晦叔)| 운강(雲江)
  • 오헌사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온(溫)의 시문집. [서지적 사항] 불분권 31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필사 연대는 알 수 없다. 국립중앙도서관에 귀중본으로 있다. [내용] 제1∼17책은 음아록(吟哦錄)으로 시 약 2,0...
  • 노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운(運)의 시문집. [내용] 7권 3책. 목활자본. 1930년 아들 유기(裕基)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1925년에 이치호(李治鎬)가 쓴 서문과 1930년에 송병관(宋炳瓘)이 쓴 서문이 있고, 권...
  • 무을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주(朱)가 창시한 종교. [내용] 증산교 계통의 한 종파로 대한불교미륵종(大韓佛敎彌勒宗)의 전신이다. 주는 1896년 9월전라남도 나주에서 태어나 일찍이 보천교(普天敎)에 입교하여 적극적인 신앙활동을 하였고, 또 모악교회(母岳...
    이칭별칭무교(戊敎)|대한불교미륵종

고서·고문서(2,394)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군 박 여자 전라북도 김제시 길림성(吉林省) 용정현(龙井悬) 광개향(光开乡) 광소6촌 2 2 군, 월성...
    대표표제어김계군 | 성씨
  • 32393 B032393 潞 인물 京畿道邑誌 喬洞郡邑誌 喬洞郡 人物 ... p【孝子德天之子, 適當父病, 求藥延安, 氷澌滿江不能渡. 仰天禱祝, 須更合氷如涉平地, 秀魚登氷, 試藥饋魚, 病乃得痊, 報營】, 高聖胤【事親以孝, 侍墓終身, 錄之孝行】, 徐判大【孝親以誠...
    출처전거京畿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謹書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
    문화‧생활 작품 조선 燕巖集 卷之三 潘南朴趾源美齋著 孔雀舘文稿○書 答謹書 答謹書 去秋仲存袖傳一書, 繼又聖緯來留, 五一亦來會. 雙池水淸, 氷梨火棗, 磊落盈庭, 況復滿園高種柹, 不減越中紅, 雲社日夜娓娓者, 半是松園. 是時, 雖未奉謝一字, 足想足下兩耳癢癢. 伊後,...
    대표표제어答金季謹書 | 목차孔雀舘文稿○書
  • 萬物門3_放赦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放赦 夜半, 陽氣動, 鷄必鼓翼而唱, 以報喜也. 國之有赦, 囚徒蒙放, 故天鷄星動, 則必有赦, 其理卽然也. 故北方殿門外, 建以象之, 所謂“放赦”, 是也. 然赦者, 不善人之望, 又何能動天象? 唐宗云: “一歲再赦, 好人喑啞.”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六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漢이 쓴 輓詞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0026 0016_01 漢이 쓴 輓詞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행 종가, 의례, 상례, 시문류, 만사 한자 고문서 BK016.JPG 漢이 쓴 輓詞 詩文類, 詩, 輓詞 漢 미상 134 36.6 1...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구술자료(16)

  • 화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화 대담조사 예술·체육 작품 현대 A-001 3499 미상 대담조사자료 1) 대담자 화(본명 김순례)의 국악학습 과정과 판소리와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산조;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계화
  • 화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화 방송녹음 예술·체육 작품 현대 A-001 3500 미상 방송녹음자료 1) 화의 방송녹음자료이다. 2) 화가 방송 중에 부른
    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계화
  • 묵계 행의 청백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훌륭한 인물에 관한 이야기를 청하자 과거에는 훌륭한 선비가 많았다며 이야기를 시작했다. 최병문이 이야기를 시작하자 박장호가 이야기를 받아 마무리 했다.
    조사일시2009.03.07(토) | 조사장소경상북도 청송군 현서면 구산리 119-6 순이식당 | 제보자최병문
  • 금계포란(抱卵) 명당과 한산 이씨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자정이 넘어서야 자리가 파해, 이 분과 함께 자리에 누워 이야기 몇 마디를 더 들었다. 이 지역에 대한 이러저러한 이야기를 계속하다가 자연히 여기까지 관심이 미친 듯했다. 이것은 다른 면 자료로서도 채록했는데 이것도 마저 제시하기로 한다. 한산이씨 족보에도 나와 ...
    조사일시1982-01-09 | 조사장소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 제보자윤천금
  • 호 미상 남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서울대학교
    자료구분상세유적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계호

기초학문(20)

  •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서비스품질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계수, 게재일 : 2002
    00735 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경영학회 2002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서비스품질전략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
    유형논문 | 게재일2002
  • 인터넷 커뮤니티 서비스와 e-가치 창출 전략: 구조방정식모형분석:개인형 홈페이지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계수, 게재일 : 2005
    00082 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경영학회 2005 인터넷 커뮤니티 서비스와 e-가치 창출 전략: 구조방정식모형분석:개인형 홈페이지 서비스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근대 일본문단과 식민지의 문학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계자, 게재일 : 2011
    42718 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경원대학교/아시아문화연구소 2011 근대 일본문단과 식민지의 문학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1920년대 식민지조선의 일본어문학장에 각축하는 창작주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계자, 게재일 : 2014
    55574 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아시아문화연구소 2014 1920년대 식민지조선의 일본어문학장에 각축하는 창작주체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패전일기 -요코미쓰 리이치의 밤의 구두(夜の靴) 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계자, 게재일 : 2013
    55870 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패전일기 -요코미쓰 리이치의 밤의 구두(夜の靴) 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
    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228)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奉(奉) 서울 奉 三坂通 105 요리_음식점 - 식당 및 주문 배달 - 18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季奉(金季奉) | 지역서울 | 품목요리_음식점 | 영업종목식당 및 주문 배달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亮(-) 전주 亮 - 大和町 - - 금융업 - 16 전당포 겸업 商工の全州: 全州府商工人名錄, 1938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桂亮(-) | 지역전주 | 품목- | 영업종목금융업 | 자료출처商工の全州: 全州府商工人名錄, 1938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根(桂根精肉店) 서울 根 桂根精肉店 永登浦町 502 식료품 - 수육(獸肉) 소매 61.2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桂根(桂根精肉店)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수육(獸肉)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用(金村商店) 서울 用 金村商店 黃金町 2-159 복장품 - 신고 기성양복(新古旣成洋服) 소매 42.66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
    대표표제어金啓用(金村商店) | 지역서울 | 품목복장품 | 영업종목신고 기성양복(新古旣成洋服)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본인이 미동신졍 언쳐에 음역월회...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본인이 미동신졍 언쳐에 음역월회에 추차당평 이쳔냥 어음을유실얏스니 슈모습득야도 휴지시홈 동셔신동 안원근 고
    게재일1907년 5월 1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144)

  • 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현;鉉 경상남도 마산 소화15년 3월4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상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배;培 개성부 남산정 78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호;鎬 경상남도 마산 대정14년 3월9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상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찬;瓚 경상남도 마산 소화6년 3월6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상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6230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慶雲 1942―12―03 69면 (학과)본과신제도 순;順 경성부 청엽정 2정목 104 17회 1939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36)

  • / [종교·철학/유학]

    1527년(중종 22)∼1565년(명종 20). 조선 전기의 문신. 부친은 대호군, 족제 우후 김숭의의 아들이었던 그를 데려다 후사로 삼았다. 나이가 많도록 학문을 모르다가 초당 허엽의 가르침을 받아 분발하였다. 을사사화에 징계된 여러 노선생들이 모여서 강의하고 글을

  • 광 / [종교·철학/유학]

    1621(광해군 13)∼1675(숙종 1). 조선 후기의 문신. 극의 증손, 할아버지는 좌찬성 희맹, 아버지는 학, 어머니는 전주유씨로 우잠의 딸이다. 어려서 외할아버지로부터 배웠고, 그 뒤 김상헌·김응조에게도 수학하였다. 1660년(현종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 금 / [종교·철학/유학]

    1405∼1493. 조선 전기의 문신. 아버지는 효분이다.1445년(세종 27)에 생원이 되고, 1454년(단종 2)에 식년문과에 정과로 급제하여 지평·의성현령을 지냈다. 저서로는『장릉사보』·『강의제현록』·『무오유현록』·『서강일고』등이 있다.

  • 락 / [종교·철학/유학]

    1753년(영조 29)~1815년(순조 15). 조선 후기의 문신. 병조판서 김시형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상우이고, 아버지는 이조판서 김화진이며, 어머니는 정이검의 딸이다. 1783년 증광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병조좌랑이 되고 그 뒤 중앙과 지방의 여러 관직을 지냈

  • 렴 / [종교·철학/유학]

    1749년(영조 25)~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김시형, 조부는 김상우, 부친은 가선대부 경상도관찰사 김화진이다. 외조부는 정리검, 두 명의 부인 파평윤씨와 전주이씨를 두었으며, 동생 락이 있다. 1774년(영조 50) 식년시에 생원 3등 46위로 합격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