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경유” 에 대한 검색결과 2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3)

사전(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98(숙종 24)∼1773(영조 49).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군철(君哲), 호는 노은(老隱). 아버지는 공조참판 지일(之鎰)이며, 어머니는 진주강씨로 참봉 진(珒)의 딸이다. 초서와 문장에 뛰어...
    이칭별칭 군철(君哲)| 노은(老隱)
  • 사례정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가 사례의 발달과정을 편술한 예서. [편찬/발간 경위] 1836년(헌종 2) 편저자 의 손자인 김형로(金衡魯)가 이를 간행하였으나 그 목판(木板)이 화재로 소각되어 널리 보급되지 못하였다. 그 뒤 김...
  • 노은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의 시문집. [내용] 2권 2책. 석인본. 1939년 그의 7세손 장환(章煥)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장환과 김명연(金命淵)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김상지(金相摯)와 김회연(金會淵)의 발문이
  • 홍영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활동사항] 공민왕 때 음보(蔭補)로 관계에 나와 여러 벼슬을 지내고 판소부시사(判小府寺事)‧안동부사를 거쳐 판전객시사(判典客寺事)가 되었으나 ()의 말을 빼앗은 것이 문제되어 파직되었다. 뒤에 신돈(辛旽)에 의하여 감찰대부(監察大夫)와 밀직부사...
    이칭별칭 안민(安愍)
  • 김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징적인 원 혹은 공동(空洞)이 중후한 추상구조와 지적 수법의 화면질감 속에 부각되곤 하는 내밀한 형상작업이었다. 『김경(金耕)』(작전, 조선화랑, 1982) 『한국현대미술전집(韓國現代美術全集)』17(한국일보사, 1977) ...
    이칭별칭김만두(金萬斗)

고서·고문서(16)

  • 1718년 () 호구단자(戶口單子)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1903년 재종형(再從兄) 김종유(金宗儒)∙경유(敬儒) 위장(慰狀)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위장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위장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內需司]庄土文績_제11책 : 圖書文績類 304. 乾隆五十年-乙巳-七月二十二日金聲協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 한지, 관인 무, 수결 1785년(정조 9) 7월 22일 漢城府 재주 漢城府 재주 金聲協 金聲協 宋寅祿 전라 능주 전라도 능주(군/현) (면/방) 도장권 90000결 전문 전문 500냥 용동...
    자료명[內需司]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全羅道庄土文績_제13책 : 全羅南道莞島郡所在庄土金俊炫提出圖書文績類 128. 光武八年甲辰十一月初十日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무, 수결 1904년(광무 8) 11월 10일 梁會得 가대주 梁會得 가대주 伯父伯環 전라 청산도 서면 邑里 전라도 청산도(군/현) 서면(면/방) 邑里 토지 1 官 ...
    자료명全羅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18980 B018980 검모포 黔毛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30年 2月 25日_017 ... 呂島萬戶, 以金斗弼爲南桃浦萬戶, 以金福淵爲金甲島萬戶, 以崔重禹爲靑水萬戶, 以具台鼎爲助羅萬戶, 以爲金烏山城別將, 以李昌碩爲禿用山城別將, 以白信圭爲黃龍山城別將, 以李啓...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1)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698년(숙종 24)∼1773년(영조 49).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1762년(영조 38) 어영군기수보로 첫 출사한 이래 첨지중추부사 겸 순장, 1765년 용호영군기수보·동지중추부사·오위장 등을 역임하였다. 1772년 조관으로서 70세에 이르러 특별히 가선대부의

  • 사례정변 / 四禮正變 [사회/가족]

    조선 후기의 학자 ()가 사례의 발달과정을 편술한 예서. 14권 7책. 인본(印本). 1836년(헌종 2) 편저자 의 손자인 김형로(金衡魯)가 이를 간행하였으나 그 목판(木板)이 화재로 소각되어 널리 보급되지 못하였다. 그 뒤 김영수(金盈洙)가 이를

  • 노은유고 / 老隱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9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2책. 석인본. 1939년 그의 7세손 장환(章煥)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장환과 김명연(金命淵)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김상지(金相摯)와 김회연(金會淵)의 발문이 있다. 국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