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건” 에 대한 검색결과 174,57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4,559)

사전(608)

  • 미촌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활자본. 1961년 10세손 원재(元在)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원재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수에 목록이 있고, 권1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49(명종 4)∼1610(광해군 2).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언양(彦陽). 자는 공계(公啓). 효진(效震)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희수(熙壽)이고, 아버지는 첨지 의숙(義叔)이다. [내용] 15...
    이칭별칭 공계(公啓)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6‧17, 대한민국예술원, 1977) (1912-?) 1912-?. 극작가.
    이칭별칭창기(昌基)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벼슬이 정자이다. 유유의 한 동리 출신으로 어렸을 적에 친히 지낸다. 조정에서 천유용으로 행세하던 인물이 유유인지 확인하기 위해 조사할 때 나아가 그가 진유(眞柳)임을 증언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김지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신라 중대 일본에 파견된 사신. [내용] 당시 관등은 파진찬(波珍飡)이다. 685년(신문왕 5) 11월 대아찬(大阿飡) 훈(勳)과 함께 국내사정을 일본에 알리기 위한 청정사(請政使)로 파견되었다. 686년 1...

단행본(2)

  • 대한제국의 양전 [근대전환기의 국가와 민 | 성균관대학교]
    저자 : 김건태 ... | 출판사 : 경인문화사 | 출판일 : 20180907
  • 장서각 소장 고문서 대관 1 - 왕명, 상주-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이민원(원광대학교 역사교육과 초빙교수), 김...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0.03.31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朝鮮王朝篇 1. 敎旨 2. 敎書 3. 封書 4. 敎命 5. 敎文 6. 傳敎 7. 提論 8. 論書

고서·고문서(173,626)

  • 6 第六統統首里男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95년_대현면(大峴面) 1795년 대현면(大峴面) 第二十六城內里 6 第六統統首里男 第一戶 舟師砲手里男年參拾玖丁丑本金海父就点祖注乙同二祖不知率人女金召史年參拾肆壬午率女召 史年拾柒己亥等壬子戶口相准 第二戶 良水軍李時德年伍拾陸庚辰本慶州父世替祖成貴曾...
    연도_면이름1795년_대현면(大峴面) | 면이름대현면(大峴面) | 마을이름第二十六城內里
  • 7 第七統統首里男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65년_대현면(大峴面) 1765년 대현면(大峴面) 第十二也音里 7 第七統統首里男 第七統一戶長水道驛吏里男年肆拾參甲辰本金海父驛吏金立祖驛吏次立曾祖驛吏日雲外祖正兵鄭進 星本延日率母鄭召史年柒拾柒己巳率人女婢萬今年參拾捌戊申率子厚邑時年柒戊寅今加等壬午戶...
    연도_면이름1765년_대현면(大峴面) | 면이름대현면(大峴面) | 마을이름第十二也音里
  • 을미년 락(洛)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1910년 배(培) 칙명(勅命)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관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관고
  • 1831년 수(壽)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831년 9월 10일, 수가 여러 근황을 전하고 면례 참석에 대한 일을 알리기 위해 보낸 편지이다. 먼저 무덤을 이장하시는 중에 있는 상대방과 그 식구들은 모두 편안한지 묻고 있다. 이어서 자신은 병으로 괴로운 상황이며 류치윤 형제의 안부를 묻고 再娶가 늦어져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구술자료(3)

  • 04_007 충남 충청남도 공주시 충청남도 공주시_얼러를 가세 얼러를 가세 올러를 가세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청룡리 1989.1.17 素89-1-17①B 대(1917년생. 남. 토민) 이소라 이소라 얼러가세 류 멕받형(선후창) 오호하, 얼러를, 가세 해는
    녹음지역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청룡리 | 녹음날짜1989.1.17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04_008 충남 충청남도 공주시 충청남도 공주시_얼카덩이야 대허리야 얼카덩이야 대허리야 얼카덩어리 계통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청룡리 1989.1.17 素89-1-17①B 대(1917년생. 남. 토민) 이소라 이소라 얼카덩어리 파생형 멕받형(선후창) 얼카
    녹음지역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청룡리 | 녹음날짜1989.1.17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경기민요 이연화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F-095 B면이다. 3) 음질 상 이연화 이소혜 희 이범석 이창배 경기민요 12잡가 노랫가락 산타령 사설지름시조 가야금 민요 1997-08 서울특별시 서초동 이연화 선생님 전수실 00:00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연화

기초학문(48)

  • 『御製嚴堤防裕昆錄』의 저술경위와 辨誣사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건우, 게재일 : 2008
    06890 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2008 『御製嚴堤防裕昆錄』의 저술경위와 辨誣사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2eb1a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의존명사 구문의 양태적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건희, 게재일 : 2009
    02406 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학회 2009 의존명사 구문의 양태적 고찰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2f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한국과 독일의 문화간 속담비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건환, 게재일 : 2004
    12602 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2004 한국과 독일의 문화간 속담비교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248784101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세계도핑금지 국제정상회의;세계 「도핑」 금지 국제기구(WADA) 발족의 의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건열, 게재일 : 1999
    07152 열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체육회 1999 세계도핑금지 국제정상회의;세계 「도핑」 금지 국제기구(WADA) 발족의 의의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
    유형논문 | 게재일1999
  • 1910-1930년대 활자본 고소설의 몇 가지 문법적 특징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건희, 게재일 : 2007
    10292 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학회 2007 1910-1930년대 활자본 고소설의 몇 가지 문법적 특징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
    유형논문 | 게재일2007

신문·잡지(152)

  • 경제·산업 사건 근대 興(興) 서울 興 堂山町 234 식료품 - 쌀 및 잡곡 소매 16.8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建興(金建興)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쌀 및 잡곡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中(-) 개성 中 - 北本町 396 - - 금전대부업 - - - 開城商工名錄, 1936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建中(-) | 지역개성 | 품목- | 영업종목금전대부업 | 자료출처開城商工名錄, 1936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植(東興商店) 서울 植 東興商店 梨泰院町 359 식료품 - 쌀 및 잡곡 소매 60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健植(東興商店)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쌀 및 잡곡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榮(啓昌洋服店 ) 수원 榮 啓昌洋服店 本町 2町目 17 - - 양복/기성복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健榮(啓昌洋服店 )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 양복/기성복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 明(松都貨物自動車部)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明(松都貨物自動車部) 개성 明 松都貨物自動車部 京町 697 - - 운송취급업 - - - 開城商工名錄, 1936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健明(松都貨物自動車部) | 지역개성 | 품목- | 영업종목운송취급업 | 자료출처開城商工名錄, 1936년

기타자료(120)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9516 북한 평남 숭실학교 3-05 회원명부(1938년 9월調) 牟義理 숭실교우회 1938―10―15 34면 1. 숭전·숭실 졸업생;1) 가行部 ; 경성부 연지정 1-7;경성 儆新중...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숭실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3637 북한 평남 숭인상업학교 3-06 崇仁(창간호) 숭인학우회 1926 103면 1. 본교졸업생씨명(숭덕고등과);14) 제14회 1917년 ;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숭인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朝鮮예수敎長老會神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주;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4445 북한 평남 耶稣敎長老會神學校 耶蘇敎長老會神學生名簿表 n.r. 4면 주;柱 평안북도 용천부 양하면 양시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耶稣敎長老會神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6772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校友 제1호 1926―04―30 153면 호;虎 칠곡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8)

주제어사전(6)

  • / [예술·체육/연극]

    1912-미상. 극작가. 본명 창기(昌基). 서울 출생. 개성에서 중등교육을 받고 도일, 동경(東京)에서 연극수업을 했다. 귀국 후인 1930년대 중반부터 주로 상업극단을 상대로 희곡을 쓰기 시작하여, 〈섬색시〉(1935.7.)를 시발로 〈거리의 등불〉·〈쌍동이 행진곡

  • 수 / [종교·철학/유학]

    1804년(순조 4)∼1866년(고종 3). 조선 후기 성리학자. 학봉 김성일의 후손, 부친은 김백찬이다. 부인은 전주유씨이다. 정재 유치명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837년(헌종 3) 식년시 진사 3등 67위로 합격하였다. 1847년(헌종 13)에 스승 유치명과 함

  • 배특증문서 / 培特贈文書 [정치·법제]

    1910년(융희 4) 8월 25일. 학생 고 배(培)를 정3품 통훈대부 규장각직각에 특증하는 임명장. 경술국치 4일 전의 문서이다. 배는 벼슬을 하지 않고 죽은 사람으로 인물정보가 상세하지 않다.

  • 김득추 / 金得秋 [종교·철학/유학]

    1562(명종 17)∼1660(현종 1). 조선 중기의 무신. 아버지는 부사과 , 어머니는 김수문의 딸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영양·창암·노항 등지에서 적과 싸워 많은 공을 세웠다. 이때의 공으로 훈련주부에 임명되었다. 훈

  • 첩해신어문석 / 捷解新語文釋 [언어/언어/문자]

    1796(정조 20) 왜학 역관 서(瑞)가 일본어를 배우기 위한 학습서인 『중간첩해신어』의 일본어 전문을 초가명(草假名)으로 바꾸어 쓰고 한글주음과 번역문을 달지 않고 편찬한 책. 『중간첩해신어』의 일본문자 본문대자(本文大字)를 왜서의 초자(倭書草字), 즉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