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5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0)
사전(44)
- 죽봉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 김간(金侃)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활자본. 1931년 10대손 헌재(憲在)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상호(李祥鎬)의 서문과 세계도, 권말에 김용규(金龍圭)와 후손 종탁(宗鐸)‧헌재의 발문이 있다. 국립...
- 김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46(인조 24)∼1732(영조 8).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청풍(淸風). 자는 직경(直卿), 호는 후재(厚齋). 참봉 수(洙)에게 입양되었다. 박세채(朴世采)ㆍ송시열(宋時烈)의 문인이다. [내용] 학행으로...이칭별칭 직경(直卿)| 후재(厚齋)| 문경(文敬)
- 김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53(효종 4)∼1735(영조 11).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사행(士行), 호는 죽봉(竹峯). 아버지는 필신(弼臣)이며, 어머니는 예안이씨로 통덕랑 천표(天標)의 딸이다. 이유장(李惟樟)의 문인이다. ...이칭별칭 사행(士行)| 죽봉(竹峯)
- 김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수 있다. 할아버지 상명(尙明)은 각로(閣老)‧대신(大臣), 아버지 삼보(三保)는 무비원경(無備院卿), 누이동생은 건륭제(乾隆帝)의 귀비(貴妃), 동생 휘(輝)는 병부시랑, 아들 온포(縕布)는 호부상서 등을 지냈다. 이 중 김상명과 김간은 ≪영조실록≫‧≪정조실록...이칭별칭 가정(可亭)
- 김간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황원상이 벼슬에서 물러나며 고종에게 천거한 인물 중의 하나이다. 89) ‘번수’는 번을 드는 사령. 대궐 또는 지방 관아에서 번을 들으면서 밤새 지키는 사람.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115)
- 1877년 김간수(金侃壽) 상서(上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1734년 김간(金侃) 서간(書簡)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1717년 김간(金侃) 서간(書簡)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1735년 김간(金侃) 서간(書簡)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1732년 김간(金侃) 서간(書簡)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신문·잡지(68)
- 中小商工業者에게 商議에서 資金斡旋 旱害救濟 對策으로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中小商工業者에게 商議에서 資金斡旋 旱害救濟 對策으로 1939년 10월6일 인천 인천 인천상공회의소는 한해구제대책의 하...대표표제어中小商工業者에게 商議에서 資金斡旋 旱害救濟 對策으로 | 연월일1939년 10월6일 | 지역인천
- 본월 십오일 오뎡에 일곱살된 녀아 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본월 십오일 오뎡에 일곱살된 녀아 김간난이가 분홍져고리 무명다홍치마에 미명고장이입고 머리뒤 헐고 발노 나가셔 집을 일어스니 누구던지 죵묘압 장뎐웃골 드러가셔다리건너 숑션달집으로 지시시면 후사쇼 숑진익 고게재일1901년 5월 9일 | 기사분류광고
- 본월 십오일 오뎡에 일곱살된 녀아 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본월 십오일 오뎡에 일곱살된 녀아 김간난이가 분홍져고리 무명다홍치 마에 미명고장이입고 머리뒤 헐고 발노 나가셔 집을 일어스니 누구던지 죵묘압 장뎐웃골 드러가셔다리건너 숑션달집으로 지시시면 후사쇼 숑진익 고게재일1901년 5월 8일 | 기사분류광고
- 즌고 마루기 우물압헤 쾌치당은 만...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밧게도 품약이 만소 또本局에셔電氣로鍍金銀法을發明야銀物其他鐵物이라도從所願야廉價로銀金間鍍光야들일터이오니來臨심을切望 快治堂 松本儀助 告白게재일1900년 11월 28일 | 기사분류광고
- 즌고 마루기 우물압헤 쾌치당은 만...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밧게도 품약이 만소 本局에셔電氣로鍍金銀法을發明야銀物其他鐵物이라도從所願야廉價로銀金間鍍光야들일터이오니來臨심을切望 快治堂 松本儀助 告白게재일1900년 10월 26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23)
- 김간근;金幹根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0838 일본 東京 東京高等工業學校 東京高等工業學校一覽 大正14年~大正15年 1925―10―15 54면 김간근;金幹根 조선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高等工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간근;金幹根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0861 일본 東京 東京高等工業學校 東京高等工業學校一覽 大正15年~大正16年 1926―09―01 54면 김간근;金幹根 조선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高等工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간억;金澗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5565 일본 東京 일본대학 일본대학조선유학생동창회 회원명부(1928년) 1929―04―05 95면 1. 졸업생 177명(과별) 김간억;金澗抑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일본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간훈;金侃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2132 남한 경남 통영수산학교 2-54 統營水産高等學校卒業臺帳 n.r. 3면 김간훈;金侃壎 충무시 道泉洞 제1회 1922년 3월 25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통영수산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건진;金乾鎭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16015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31 153면 46. 졸업생;9) 1914년 졸업생 (38명) 김건진;金乾鎭 (원적)평남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7)
-
김간 / 金榦 [종교·철학/유학]
1646(인조 24)∼1732(영조 8). 조선 후기의 문신. 참봉 김수에게 입양되었다. 박세채·송시열의 문인이다. 학행으로 천거되어 1694년(숙종 20) 전설사별검·청양현감을 거쳐 지평·집의 등을 지냈고, 1720년 호조참의, 1726년(영조 2) 찬선·대사헌·우참
-
김간 / 金侃 [종교·철학/유학]
1653(효종 4)∼1735(영조 11).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김필신, 어머니는 예안이씨로 통덕랑 이천표의 딸이다. 이유장의 문인이다. 1693년(숙종 19)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이수익의 천거로 사재주부에 임명되었다가 예조좌랑·예조정랑이 되었다. 1732년
-
구천유고 / 龜川遺稿 [종교·철학/유학]
여 최석정(崔錫鼎)·이희조(李喜朝)·김간(金幹)·김창흡(金昌翕)·박필주(朴弼周)·남학명(南鶴鳴) 등과 『대학』·『예기유편(禮記類編)』 등의 의문점을 토론하거나 선인들의 학설에 대하여 치밀한 분석과 해설을 시도한 내용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
김태로 / 金泰魯 [종교·철학/유학]
1668년(현종 9)∼1692년(숙종 18). 조선 후기 유학자. 조부는 참봉 김수, 부친 우참찬 증 영의정 문경공 김간과 모친 증 참판 박호원의 딸 음성박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교관 강석하의 딸 진양강씨이다. 학자로 명망이 높았던 부친의 영향을 받아서 학문
-
신의명 / 申義命 [종교·철학/유학]
1654년(효종 5)∼1716년(숙종 42). 조선 후기 유학자·문신. 부친 신양세와 모친 김직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1684년(숙종 10) 문과에 급제, 가주서·전적·예조좌랑·직강·강령현감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김간·이동표·권두경 등의 문인들과는 도의로써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