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길재” 에 대한 검색결과 53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11)

사전(17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유학사초고(資料韓國儒學史草稿)』(이병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사연구실, 1959) 「()」(박성봉, 『한국의 인간상』 4, 신구문화사, 1965) 영정 1353(공민왕...
    이칭별칭 재보(再父)| 야은(冶隱), 금오산인(金烏山人)| 충절(忠節)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삼영정실(三楹靜室)의 사선생(四先生) 중 한 사람이다. 각건에 양구(羊裘 도포를 입고 있다. 금생에게 성현의 도는 일상생활을 벗어나지 않는다며, 근본을 버리고 먼 곳으로 나아가려 함을 경계토록 한다. 정시중[정몽주]이 찾아오니제자의 예로 반기고 상좌에 모신다. 정시중과...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고려 말의 명현으로, 호는 야은(冶隱)이다. 정몽주의 식견에 탄복하고높은 지조와 깊은 도학을 칭찬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TD_L14_D_2839 인물 學粹, 質美, 好義, 崇 續蒙求 D_13_04_60 대동운부군옥 13권 4장 60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3권 4장 6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3008 인물 獨步, 承學 冶隱, 陽村 行錄 D_14_01_103 대동운부군옥 14권 1장 103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4권 1장 10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304)

  • 三綱行實圖 三綱行實忠臣圖 抗節 권채(權採), 설순(偰循) 105 洪武己巳冬注書棄官歸家歲在庚辰恭定大王在東宮召之再至啓于恭靖大王授奉常博士再啓東宮辭職恭定大王曰子之所言實關綱常但召之者吾而官之者殿下也宜辭於殿下再乃上書曰再擢苐辛朝爲門下注書臣無二主乞放歸田里終養老母以遂臣不事二姓...
    서명三綱行實圖 | 저자권채(權採), 설순(偰循)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下己四 彰厥有常 【梅云:“明九德之常。”】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860 與猶堂全書補遺○尙書知遠錄 洌水 丁鏞 述 ITKC_MP_0597A_1860_030_0050 下己四 彰厥有常 【梅云:“明九德之常。”】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尙書知遠錄 洌水 丁鏞 述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黃)【(允吉)】, 以書狀朝天, 致簡求詩, 不見三年矣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拾遺 卷之一 【拾遺】賦 178 (黃)【(允吉)】, 以書狀朝天, 致簡求詩, 不見三年矣 39_121_114.jpg (黃)【(允吉)】, 以書狀朝天, 致簡求詩, 不見三年矣 埽雪推蓬戶, 開緘對故人。 三年分嶺月, 萬里動征輪。 薊樹寒無影, 灤河闊有津。 歸來擬相...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下酉九 其惟克用常人 【蔡云:“皐陶曰,‘彰厥有常,!’”】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860 與猶堂全書補遺○尙書知遠錄 洌水 丁鏞 述 ITKC_MP_0597A_1860_070_0260 下酉九 其惟克用常人 【蔡云:“皐陶曰,‘彰厥有常,!’”】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尙書知遠錄 洌水 丁鏞 述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內需司]庄土文績_제4책 : 金晟粲提出圖書文績類 22. 咸豊七年-丁巳-十一月初五日宋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_02726 奎 19307 [內需司]庄土文績 제4책 : 金晟粲提出圖書文績類 04-022 22. 咸豊七年-丁巳-十一月初五日宋前明文 토지매매문기 1 3...
    자료명[內需司]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구술자료(3)

  • 마경선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증언한 자료이다. 2) 음질 상 수덕사 거문고 마경선 공민왕 흥선대원군 만공스님 기타 1984-02-10 30:53 00:00 A면 미경선 대담(00:00~06: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마경선
  • 최복실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활동 - 대북정책, 탈북자, 통일에 대한 인식과 전망 월남민 구술 연구사업의 자료로서 구술자의 녹취문과 동영상 음성 자료 공로명, 기시 노부스케, 호, 길전식, 김기병, 김생려, 김일성, 김정일, 김종필, 다나까 이사무,
    구술자최복실 | 직업교사 | 지역함경도
  • 이 그 밑에 라고 있어. 는 우리 2년 선배거든. 그란디 거그는 또 인민군에 지원해 갖고 가갖고 행방불명이 됐지, 지금까지. 어째 살았는지 죽었는지를 모르제. 그래갖고 율포 동네서는 그 기태, 덕진서 목진이, 거그 또 저 만수동 가면 강대자라고 있어, 거그. 모
    조사지역전남 보성 | 조사일2013년 5월 22일(1차)

기초학문(4)

  • 조선조 초기 정몽주‧ 표창과 그 의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남욱, 게재일 : 2012
    43183 조남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유교학회 2012 조선조 초기 정몽주‧ 표창과 그 의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곡용과 활용의 어간재구조화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 나주 지역어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길재, 게재일 : 2004
    08779 이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언어학회 2004 곡용과 활용의 어간재구조화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 나주 지역어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등겨’의 방언형과 그 어원 : 전라방언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길재, 게재일 : 2005
    05293 이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학회 2005 ‘등겨’의 방언형과 그 어원 : 전라방언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언어변이와 사회계층에 대한 일고 : 나주지역어의 마찰음화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길재, 게재일 : 2005
    08288 이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언어문학회 2005 언어변이와 사회계층에 대한 일고 : 나주지역어의 마찰음화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
    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11)

  • 하고 있는 철도 경무장 리동무는 단숨에 ○○교량에로 뛰여나갔다. 선로부근에 백힌 시한탄은 이따금씩 폭음을 울리며 폭발하였다. 폭탄은 수다히 투하되였으나 선로와 교량은 아무러한 피해도 없었다. 이상하다고 생각한 그는 세심한 눈초리로 선로를 살펴보았다. 그는 교량...
    대표표제어조선인민군_1951_0930_03_02 | 책임주필리춘백
  • 이. 농‧어민도 알아야 할 헌법상식: 헌법은 국민을 위해 있는 것이다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3) 1962년·1969년 개헌관련 이. 농‧어민도 알아야 할 헌법상식: 헌법은 국민을 위해 있는 것이다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69년 호 『웃음이 활짝필 때』(대지사, 1969) pp.51-88 저술 34 이 글은 필자가
    대표표제어이. 농‧어민도 알아야 할 헌법상식: 헌법은 국민을 위해 있는 것이다 | 자료유형저술 | 집필자길재호 | 출처『웃음이 활짝필 때』(대지사, 1969) pp.51-88 | 키워드헌법 개정, 3선개헌, 박정희 지도력, 헌법 개정 조사위원회, 국민 계몽운동, 길재호
  • 개헌안 질의·답변단상의 뜨거운공방 지상방청 〈상〉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있음. 신민당의 김재광, 정상구, 박기출, 송원영 등이 질문을 했고, 공화당의 백남억, 윤치영, 호, 김진만, 최희송, 김장섭, 김규용, 김정렬, 이만섭 등이 답함. 신민당은 삼선개헌이 민주주의를 부정하고 헌법을 암살하는 행위이며 박정희가 내세운 공약마저 모두 무시...
    대표표제어개헌안 질의·답변단상의 뜨거운공방 지상방청 〈상〉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동아일보사 | 출처동아일보 | 키워드삼선개헌, 신민당, 공화당, 박정희, 백남억, 윤치영, 길재호, 김진만
  • 육. 지도자 박정희씨를 말한다-옳은 일을 하는데서 강한 「리더쉽」은 나온다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20) 박정희 정치관 육. 지도자 박정희씨를 말한다-옳은 일을 하는데서 강한 「리더쉽」은 나온다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69년 호 『웃음이 활작 필 때』(서울:대지사)(pp.193-223) 저술 31 이 글은 독자들이 박정희...
    대표표제어육. 지도자 박정희씨를 말한다-옳은 일을 하는데서 강한 「리더쉽」은 나온다 | 자료유형저술 | 집필자길재호 | 출처『웃음이 활작 필 때』(서울:대지사)(pp.193-223) | 키워드박정희 대통령, 5·16, 지도이념, 혁명과업, 조국 근대화
  • 공화당의 항명과 유신헌법 제정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상세히 서술하고 있음. 필자는 박정희가 당시 유신이라는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에는 직전 선거에서의 신민당의 우세 뿐 아니라 공화당 내에서도 자신의 설 자리가 좁아지고 있다는 판단 때문일 것이라고 봄. 당시 백남억, 김서곤, 호, 김진만의 4인은 신민당이 발의한 3부...
    대표표제어공화당의 항명과 유신헌법 제정 | 자료유형회고/전기 | 집필자서병조 | 출처『개헌시비』(서울:현대문예사)(pp.305-354) | 키워드10월 유신, 3부 장관 해임안, 공화당 4인체제, 항명파동, 서병조

기타자료(11)

  • ;任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0117 남한 경성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 1-38 梨高 창간호 1934 90면 ㅁ1. 졸업생 주소록;ㅁ11) 제11회 졸업생(1929년 3월 14일) 임;任 동경제국여자의학전문학교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任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0670 남한 경성 이화여자전문학교 1-39 이화이보동창회원록 1940 9면 ㅁ2. 전문부 문과졸업생(1927년);ㅁ7) 제7회 임;任 이화여자전문학교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이화여자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任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22626 남한 경성 이화여자전문학교 1-39 이화여자전문이화보육학교일람 1937 121면 2. 제8. 졸업자;1) 1. 이화여자전문학교졸업자;(2) 이화여자전문학교;m. 문과 제7회(1933) 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이화여자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학습 지도 자료-국민학교국어교육의 암을 치료하자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과교육 교육과정 학습지도 잡지 김 1960 9 교육평론 ...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길재 | 사료철명교육평론
  • 생활지도 개선을 위한 조사연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잡지 설 1971 3 교육충남 93호 충청남도교육연구원 36-43 8 ...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길재설 | 사료철명교육충남

주제어사전(20)

  • / [종교·철학/유학]

    1353(공민왕 2)-1419(세종 1). 여말선초의 성리학자. 이색, 정몽주와 함께 삼은이라 불렸다. 1386년 과거급제 하였다. 그의 학풍은 정주학에 바탕을 두고 충효를 위주로 하였다. 이단배척과 실천을 강조하였다. 학통은 문인 김숙자에게 전수되고 김종직, 김굉필,

  • 야은선생언행습유 / 冶隱先生言行拾遺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전기류(傳記類) () 저, 목판본, 미상, 3권 1책. 표제는 야은집(冶隱集), 판심제는 야은언행습유(冶隱言行拾遺)이다. 야은 의 시문집 및 제문, 그를 찬영(讚詠)한 시문 등을 실은 책이다.

  • 청풍서원 / 淸風書院 [교육/교육]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불이리에 있는 서원. 1678년(숙종 4)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의 청절(淸節)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었다. 그 뒤

  • 계룡산초혼각지 / 鷄龍山招魂閣址 [예술·체육/건축]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동학사에 있는 조선전기 에 설립된 정몽주·이색·를 배향하는 재실.제각. 시도기념물. 충청남도 기념물 제18호. 고려 말에 절의를 지킨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목은(牧隱) 이색(李穡), 야은(冶隱) ()를 배향하고 있다.이 각사

  • 망국애가 / [문학/고전시가]

    하며 읊은 노래인데, 이러한 소재와 내용은 고려 유신인 ()나 원천석(元天錫)의 「회고가 懷古歌」 들과 그 맥을 같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