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길쌈노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
사전(22)
- 길쌈노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부녀자들이 길쌈을 하면서 부르는 민요. [내용] 부녀자들이 길쌈을 하면서 부르는 민요. 여성들이 부르는 노동요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오랜 시간 일의 지루함을 덜기 위해 부르게 된 길쌈노래는 당연히 길게 이어지게 마련이고, 여성 생활을
- 서천저산팔읍길쌈놀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일대에 전승되는 민속놀이. [개설]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3호. 서천군 한산면을 중심으로 한 모시 주산지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전승되던 여성 중심의 길쌈노래를 놀이로 재구성한 것이다.연계항목서천저산팔읍길쌈놀이(舒川苧産八邑길쌈놀이)
- 물레노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여인들이 물레질하면서 부르는 민요. [내용] <삼삼기노래>‧<베틀노래>와 더불어 <길쌈노래>에 속하며 한국의 중요한 여성노동요이다. 물레질은 혼자서 지루하게 단조로운 일을 반복해야 되기 때문에 비교적 정제된 노래가 필수적으로 따르...
- 부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의욕을 환기한다. 부요 중의 중요한 여성 노동요의 종류를 들면 <김매는 노래>(밭매는 노래와 논내는 노래)‧<맷돌‧방아노래>‧<해녀노래>‧<양태노래>‧<탕건노래>‧<망건노래>‧<베틀노래>‧<길쌈노래>‧<물레노래>‧<빨래노래>‧<바느질노래> 등이 있다. 부...
- 길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림과 사랑의 갈등까지도 길쌈노랫가락에 실어 달래었던 것이다. 부녀자들이 길쌈을 하면서 일의 고통을 덜고 자신들의 설움을 표현하며 달래기 위해 부르는 노래를 길쌈노래라고 한다. 일노래는 일을 하면서 생겨났다고 볼 수 있으므로, 길쌈노래도 길쌈이 시작된 아주 오래...
구술자료(6)
- 길쌈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보자는 성격이 활달하고 적극적이어서 인근 마을인 자산리에서도 제보자의 이름을 알고 있었다. 이런 성격 때문인지 제보자는 자발적으로 노 래를 불러 주려고 하였다. 제보자는 밭매는소리를 부른 다음에, 자신이 생각나는 대로 계속 이어서 노래를 불렀다.조사일시2010. 2. 24(수) | 조사장소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대량리 상양지 2길 8 상양지마을회관 | 제보자박간출
- 전남 민요 현장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음질 상. 전라남도 구례군 밭매는소리 물레타령 아이어르는소리 모심는소리 베틀노래 강강술래 뽕따러가세 길쌈노래 달노래 개구리타령 민요 1988-04-21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구산리 27:16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강금순
- 전남 민요 현장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음질 상. 전라남도 구례군 밭매는소리 물레타령 아이어르는소리 모심는소리 베틀노래 강강술래 뽕따러가세 길쌈노래 달노래 개구리타령 민요 1988-04-21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구산리 27:16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장보배
- 전남 민요 현장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음질 상. 전라남도 구례군 밭매는소리 물레타령 아이어르는소리 모심는소리 베틀노래 강강술래 뽕따러가세 길쌈노래 달노래 개구리타령 민요 1988-04-21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구산리 27:16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장정자
- 전남 민요 현장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음질 상. 전라남도 구례군 밭매는소리 물레타령 아이어르는소리 모심는소리 베틀노래 강강술래 뽕따러가세 길쌈노래 달노래 개구리타령 민요 1988-04-21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구산리 27:16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정복례
기초학문(1)
- 충북 토속민요 〈길쌈노래〉의 전승실태와 음악적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순현, 게재일 : 201816952 조순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8 충북 토속민요 〈길쌈노래〉의 전승실태와 음악적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유형논문 | 게재일2018
주제어사전(3)
-
길쌈노래 / [문학/구비문학]
부녀자들이 길쌈을 하면서 부르는 민요. 여성들이 부르는 노동요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오랜 시간 일의 지루함을 덜기 위해 부르게 된 길쌈노래는 당연히 길게 이어지게 마련이고, 여성 생활을 다른 어떤 노래보다도 자세하게 나타낸다. ‘시집살이노래’라고 알려진 것들은 대체
-
서천저산팔읍길쌈놀이 / 舒川苧山八邑─ [생활/민속]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일대에 전승되는 민속놀이.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3호. 서천군 한산면을 중심으로 한 모시 주산지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전승되던 여성 중심의 길쌈노래를 놀이로 재구성한 것이다. 서천·부여·보령 등지는 옛부터 모시 주산지로, 여성들이 주로 실내에서
-
물레노래 / [문학/구비문학]
여인들이 물레질하면서 부르는 민요. 「삼삼기노래」·「베틀노래」와 더불어 「길쌈노래」에 속하며 한국의 중요한 여성노동요이다.물레질은 혼자서 지루하게 단조로운 일을 반복해야 되기 때문에 비교적 정제된 노래가 필수적으로 따르나, 혼자서 일정한 동작을 연거푸 되풀이하는 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