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길복” 에 대한 검색결과 32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26)

사전(84)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상례(常例)에 의해 ()으로 갈아입게 된다. 즉 흑단령(黑團領)ㆍ오사모(烏紗帽)ㆍ흑각대(黑角帶) 차림이나 흑두건(黑頭巾)에 흑호의(黑號衣) 등 각자의 평상시 복장을 가리킨다. 한편 발인 때라도 길의장(吉儀仗) 주변의 행렬인들은 ()을 착용한다. 攝左通...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명부복(命婦服), 치의(緇衣), 포의(布衣) 상복(常服), 상복(喪服), 조복(朝服), 천담복(淺淡服), 최복(衰服) 생활 풍속의생활/의복 의복 대한민국 조선 태조~순종 이민주
    하위어명부복(命婦服), 치의(緇衣), 포의(布衣) | 관련어상복(常服), 상복(喪服), 조복(朝服), 천담복(淺淡服), 최복(衰服)
  • 요시조에 사콘(左近)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6161 인물 요시조에 사콘(左近) 요시조에 사콘 左近 ? ? 조선 중기의 쓰시마인. 길부좌근(左近). 1599년 쓰시마도주 소 요시토시(宗義智)가 임진왜란으로 무역관계가 단절된 조선과의 관계를 수복하기 위...
    유형분류인물
  • 가케하시 시치다유(梯七太夫)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기 위해 요시조에 사콘(左近)과 함께 가케하시 시치다유를 파견하였다. 1602년 6월 중순에는 오노 신주로(小野新十郞)와 함께 온 일이 있다.   『通航一覽』; 田代和生,『近世日朝通交貿易史の硏究』, 創文社, 1981 ; 田代和生,『新 ‧ 倭館: 鎖国時代の...
    유형분류인물
  • 담제(禫祭)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담제 담제 禫祭 담사(禫祀) 상례(喪禮) (), 담복(淡服) 문화의례/상례 의식 행사 대한민국 조선 안정윤 [정의] 3년의 상기(喪期)를 마친 뒤 상복을 벗고 평상으로 돌아감을 고하는...
    상위어상례(喪禮) | 관련어길복(吉服), 담복(淡服)

고서·고문서(209)

신문·잡지(27)

  • 7 쁘·아·부듸낀 평양시 □□리1번지 조선신문사 윤시는 소년시절부터 □중한 동력의 멍에를 어깨에 지고 고생과 빈궁한 생활을 체험한 사람들중의 한사람이다. 그는 189□년에 평안남도 강서군 적성명 솔촌 빈농의 가정에서 출생한 독자로써 이 가정의...
    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6_1017_03(날짜추정)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 7 쁘·아·부듸낀 평양시 □□리1번지 조선신문사 사진은 평양시인민위원회 위원후보 윤
    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6_1017_03(날짜추정)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 414 김봉훈 평북노동신문사 허 【구성】 애국심을 발휘하여 증산에 매진하는 삼성광산 로동자들은 오늘도 인민경제부흥에 우렁찬 함마소리를 올렸다. 오후 다섯시가 되자 로동자들은 손에손에 항등과 함마를 들고 민주선전실로 모이기 시작하여 어느덧 130여명...
    대표표제어평북로동신문_1948_0121_03 | 책임주필김봉훈
  • 428 김봉훈 평북로동신문사 허 김일성, 리동삼, 오용성, 김상준 【구성】 회장 정면에 우리 민족의 영명한 지도자 김일성 장군의 초상을 모시고 양족 벽에는 년간의 투쟁 속에서 얻어진 성과들을 표시한 도표와 구라후 또는 증산투쟁 속에서 찾어낸 우...
    대표표제어평북로동신문_1948_0206_01 | 책임주필김봉훈
  • 리석진 21 리선응 22 리시호 23 리영복 24 리의준 25 리정제 26 리종묵 27 리종호 28 리주복 29 민범식 30 박동철 31 박병태 32 박용하 33 박중규 34 박호석 35 박용히 36 서병기 37 심 38 심종욱 39 안종학 40 오민근 41 위종각...
    대표표제어황해일보_1951_0803_01 | 책임주필원용준

멀티미디어(1)

  • 북한 어부 기자회견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6월 9일 북한 어선을 통해 남한에 침투했다 해군 경비령에 납포된 선장 서복길의 기자회견 영상이다. 서은 기자회견을 통해 북한의 선전이 거짓이었으며 북한 어민들은 엄격한 통제 하에 살고 있다고 말하였다.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5년 6월 9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기타자료(5)

  • ;高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高 개성부 고려정 870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金 개성부 남본정 515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3471 북한 평북 신의주공립고등보통학교 3-07 회지 제2호 1934―03―25 103면 9. 제8회 졸업생 (48) 이;李 안동현 2
    학교소재지역평북 | 학교명신의주공립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발해압말갈사 양이 와서 조공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발해압말갈사 양이 와서 조공하다. 교역물품 792년(壬申/신라 원성왕 8/발해 문왕 大興 56/唐 德宗 貞元 8/日本 桓武天皇 延曆 11) 발해 ...
    대표표제어발해압말갈사 양길복이 와서 조공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92년(壬申/신라 원성왕 8/발해 문왕 大興 56/唐 德宗 貞元 8/日本 桓武天皇 延曆 11)
  • 발해압말갈사 양이 와서 조공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발해압말갈사 양이 와서 조공하다. 교류담당 792년(壬申/신라 원성왕 8/발해 문왕 56, 大興 56/唐 貞元 8/日本 延曆 11) 발해 발해→당...
    대표표제어발해압말갈사 양길복이 와서 조공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92년(壬申/신라 원성왕 8/발해 문왕 56, 大興 56/唐 貞元 8/日本 延曆 11)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

    상을 마친 후 입는 평상시의 복식. 국상의 경우 발인 때에는 포단령, 포직령, 최질복, 삼베융복, 백두건에 백호의 등 각자의 신분과 역할에 맞는 상복을 착용하였다가, 반우 때에는 상례에 의해 으로 갈아입게 된다. 즉 흑단령ㆍ오사모ㆍ흑각대 차림이나 흑두건에 흑호의

  • 담제 / 禫祭 [정치·법제]

    상제 때입었던 담복을 으로 갈아입는데 국왕은 현포에 익선관 오서대 백피화를 입고, 백관은 검은색의 원령을 입는다.

  • 도교 / 道敎 [종교·철학/도교]

    금에 도교와 도가사상을 혼동하는 예가 많다. 도교와 도가사상은 밀접한 관계가 있지만, 도교는 어디까지나 종교이므로 근본적으로는 도가사상과 뚜렷하게 구별되어야 한다. 도교는 본래 피안(彼岸)의 관념이 의외로 희박하고, 오히려 현세의 을 추구하는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