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행가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9)
사전(61)
- 교주별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20년(순조 20) 구강(具康)이 지은 기행가사. [개설] 가사집 『북새곡(北塞曲)』에 수록되어 전한다. 지은이가 1819년 강원도 회양부도호사(淮陽府都護使)의 관직을 받고 회양 현지에 부임하여 1년여간 머물게 되었던 것...
- 기행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기행문학의 한 형태로, 여행을 통하여 얻은 견문과 소감 등을 적은 가사. [내용] 현전 기행가사 중 가장 오래된 것은 조선 명종 때에 백광홍(白光弘)이 평안도평사(平安道評事)를 제수받아 관서지방을 두루 돌아다니고서, 1556년(명종 11...
- 낙산사유람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21년 전의이씨(全義李氏)가 지은 규방기행가사. [개설] 김선풍(金善豐)이 소장하고 있다. 작자는 1855년(철종 6)에 강원도 명주군(지금의 강릉시) 주문진읍 향호리 호벌가(豪閥家)의 선전관댁(宣傳官宅)에서 출생하여,
- 금강산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16년(순조 16)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기행가사. [구성 및 형식] 서울대학교 가람문고의 『장편가집(長篇歌集)』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가 50세 되던 1816년 3월 7일 서울을 떠나 금강산과 관동팔경을 두루 구경하고
- 북새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에 구강(具康)이 지은 기행가사. [구성 및 형식] 자수율의 형식은 4‧4조가 주조를 이루며, 전체 분량은 2율각 1구로 헤아려 1,986구인데, 이 중에는 판독이 안 되는 것이 16구가 있다. [내용] 저자가 1...
고서·고문서(12)
- 소산관록 언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원문 0ㄱ 昭和十三年十月日小白山大觀錄 원문 8ㄴ 소산관록 언가 원문 9ㄱ 여봅시요 친구번임 이말 드러보소도산도유 구연후의 고궐셩읍 우니라명山大川 一부셩노 사마쳔...가사유형기행가사 | 소장처경북대학교 | 시대해방이전
- 풍토순람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원문 1 풍토순람(경상북도편) 원문 2ㄱ 이 풍토순람을 노정가사로 엮었기에 처남 金在石군의 결혼기념으로 드립니다.임인년 섣달 申鎭奎 원문 2ㄴ 올해는 풍년올지 태양이 따사로...가사유형기행가사 | 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시대해방이후
- 금강산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사진 1 어와낙양 유 유: 유사(儒士). 유생(儒生).들아 츈풍이 쇼슬하나고향만 슬허 슬허: 슬퍼[悲]. ‘슳다[悲]’의 어간 ‘슳-’에 모음이 연결될 때 연철 표기된 형태이다.말고 이말 들어보소인 쳔디 쳔디: 천지(天地). 제2음절이 구개음화 ...가사유형여행가류 | 소장처조춘호 | 시대해방이전
- 북쳔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원문 2ㄴ 어와셰샹 사람들아 이동 구경합소과거를 거들낭 쳥춘의 아니고오십의 등과여 슈홍진 슈홍진: 백수홍진白首紅塵. 백수 풍진風塵이라고도 하며, 늙어서 벼슬살이에 분주함을 말한다. 무이고공명 공명: 공명功名. 공을 세워서 이름을 나타내는 것...가사유형유배가류, 여행가류 | 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시대해방이전
- 여행녹답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사진 1 나는 진외가이고 너는 외가인 원촌 가사 질부게 잇난 것 벗겨 벗겨: 베껴[抄]. 모음 간 경음 ‘ㄲ’을 ‘ㅅㄱ’으로 표기한 형태이다.왓다 글시 괴〃나 괴〃나: 괴괴(怪怪)하나. 이상야릇하나. 정으로 두고보아라(여행녹답가)잇는 어느고 갑인 ...가사유형여행가류 | 소장처조춘호 | 시대해방이전
기초학문(6)
- 17,18세기 기행가사와 풍경의 미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형대, 게재일 : 200435888 이형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4 17,18세기 기행가사와 풍경의 미학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04
- 개화기 기행가사에 나타난 일본과 일본관_preprint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송재용05285 송재용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개화기 기행가사에 나타난 일본과 일본관_preprint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a163유형논문
- 1930년대 금강산 기행가사에 투영된 여행체험의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유정선, 게재일 : 201816621 유정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이화어문학회 2018 1930년대 금강산 기행가사에 투영된 여행체험의 의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유형논문 | 게재일2018
- 1930년대 여성 기행가사와 구여성의 여행체험 -〈경성노정기인력거〉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유정선, 게재일 : 201655479 유정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전연구학회 2016 1930년대 여성 기행가사와 구여성의 여행체험 -〈경성노정기인력거〉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유형논문 | 게재일2016
- 〈갑오열친가〉와 〈답가〉의 작품 특성 및 전승 양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최은숙, 게재일 : 2016=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62708&local_id=10077406 영남지역 기행가사에 나타난 ‘유산(遊山)’의 문화적 의미와 권역별 비교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유형논문 | 게재일2016
주제어사전(44)
-
기행가사 / 紀行歌辭 [문학/고전시가]
기행문학의 한 형태로, 여행을 통하여 얻은 견문과 소감 등을 적은 가사. 구성은 기사(起詞)·승사(承詞)·전사(轉詞)·결사(結詞) 등 4단계로 짜여진 작품들이 있는가 하면 서사(序詞)·본사(本詞)·결사(結詞) 등 3단계로 구성된 작품들도 있다.
-
관서별곡 / 關西別曲 [문학/고전시가]
1555년(명종 10)백광홍(白光弘)이 지은 기행가사. 지은이가 평안도 평사(評事)가 되었을 때 그곳의 자연풍물을 두루 돌아다녀 보고, 그 아름다움을 노래한 작품이다. 우리나라 기행가사의 효시로, 작자의 문집 『기봉집(岐峰集)』에 실려 있다. 이 작품의 영향을 받아
-
사군별곡 / 四郡別曲 [문학/고전시가]
1732년경에 이유(李渘, 1675∼1753)가 지은 기행가사. 작자 미상의 『고시헌서가사집(古時憲書歌辭集)』에 수록되어 전한다.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총 148구의 기행가사이다. 총 260구인 장편 기행가사인 서문택(徐文澤, 1657∼1706)의 「사군별곡(四郡別
-
금강별곡 / 金剛別曲 [문학/고전시가]
1739년(영조 15)박순우(朴淳愚)가 지은 기행가사. 단권. 한글필사본.. 시조 6수가 수록된 「동유록(東遊錄)」과 함께 작자의 문집 『명촌유고(明村遺稿)』에 실려 있다. 1739년 작자가 금강산을 구경하며 지은 작품으로, 구성은 본문이 6장 200구로서 그 중
-
봉래별곡 / 蓬萊別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고종 때 정현덕(鄭顯德)이 지은 기행가사. 국한문필사본. 작자가 동래부사를 지내고 벼슬이 갈리어 서울로 올라오던 해인 1869년(고종 6) 12월에 동래부내의 명승지와 사적지를 두루 구경하고 지은 작품이다.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117구이다. 음수율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