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패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3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34)
사전(105)
- 기패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리고 어영청과 금위영에는 천총소기패관(千摠所旗牌官)이라는 별도의 군관직이 2인씩 있어 지방에서 온 군사들의 훈련을 담당하였다. 훈련도감의 기패관은 모두 일반 병사들 중에서 진급시켜 임명하였고, 기타 군영에서는 병사출신ㆍ금군출신ㆍ무과출신ㆍ한산(閑散)출신 등을...
- 기패관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관리로, 양순무의 서신을 장사지현에게 전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기패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후기 여러 군영에 두었던 군관직.정의조선 후기 여러 군영에 두었던 군관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ipaegwan | MR표기kip’aegw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패관(旗牌官)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기패관 기패관 旗牌官 교련관(敎鍊官), 기효신서(紀效新書), 훈련도감(訓鍊都監), 『진관관병편오책(鎭管官兵編伍冊)』 정치군사·국방/편제 직역 조선후기 조선후기 서태원 1593년(선조 26) ...관련어교련관(敎鍊官), 기효신서(紀效新書), 훈련도감(訓鍊都監), 『진관관병편오책(鎭管官兵編伍冊)』
- 기패관(旗牌官)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1145 제도 기패관(旗牌官) 기패관 旗牌官 조선 후기 각 군영에 두었던 하급무관. 임진왜란 이후에 설치되었다. 훈련도감(訓鍊都監)에 20명, 금위영(禁衛營)에 10명, 어영청(御營廳)에 11명, 총융청(摠戎廳)에 2명, 수어청(...유형분류제도
고서·고문서(729)
- 2 第二統統首旗牌官朴而勛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05년_내상면(內廂面) 1705년 내상면(內廂面) 第一南門里 2 第二統統首旗牌官朴而勛 @5 統第一戶寡女金召史代陞兵營旗牌官朴而勛年參拾貳甲寅本月城父折衝將軍行龍驤衛 副護軍孝信祖通政大夫應彔曾祖學生彦輔外祖正兵金夢立本金海率母金召史 年伍拾伍辛卯妻良女金召史年參...연도_면이름1705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一南門里
- 격군(格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0564 B020564 격군 格軍 군사교통 輿地圖書 江都府誌 喬桐 水軍 ... 官二旗牌官二捕盜官二軍器監官一敎師二射手三十七名砲手三十六名格軍六十七名舵工十三名雜色軍四十七名合二百十二名以水軍作隊) 花梁鎭(水軍六百四十名在南陽軍兵所領哨官三旗鼓官一旗牌官一捕盜官軍器監官一敎師二射手四...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격군(格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9155 B019155 격군 格軍 군사교통 全羅道邑誌 務安縣邑誌 務安縣 軍額 官軍官十五監營除番軍官十五戰船代將一吏奴哨官一束伍哨官二旗牌官四火砲敎師一馬兵四十保人八十步兵隨率竝二百九十九保人二百九十九戰船旗牌官四兵船將一射夫十八砲手二十四火砲敎師十左石捕盜二舵工一格軍十四伺候船舵工二格...출처전거全羅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격군(格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9156 B019156 격군 格軍 군사교통 全羅道邑誌 務安縣邑誌 務安縣 軍額 官軍官十五監營除番軍官十五戰船代將一吏奴哨官一束伍哨官二旗牌官四火砲敎師一馬兵四十保人八十步兵隨率竝二百九十九保人二百九十九戰船旗牌官四兵船將一射夫十八砲手二十四火砲敎師十左石捕盜二舵工一格軍十四伺候船舵工二格...출처전거全羅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녹도(鹿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7599 B037599 녹도 鹿島 도서 전라남도 全羅道邑誌 興陽縣邑誌 興陽縣 鎭堡 ... 11202 馬島鹿島鉢浦突山浦等營○水軍僉節制使一人所屬軍官二十人旗牌官十七人防船將二人捕盜官四人訓導六人鎭撫二十名軍牢八名舟師四百七十七名鹿島營在縣東四十里里○水軍萬戶一人所屬軍官二十五人旗牌官...출처전거全羅道邑誌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5)
-
기패관 / 旗牌官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여러 군영에 두었던 군관직. ≪대전회통≫에 의하면 훈련도감에 20인, 금위영에 10인, 어영청에 11인, 총융청에 2인, 수어청에 19인, 그리고 강화도의 진무영(鎭武營)에 71인을 두었으나 시기에 따라 증감이 있었다.
-
관리사 / 管理使 [역사/근대사]
조선 숙종 때 개성부의 군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한 관리영의 우두머리. 개성유수가 겸임하는 종2품의 벼슬로서, 그 휘하에 중군 1인, 종사관 1인, 별장 2인, 천총 3인, 백총 4인, 파총 6인, 초관 32인, 교련관 8인, 기패관 36인, 당상군관 50인, 군관
-
북한치영 / 北漢緇營 [종교·철학/불교]
조선 후기 북한산에 있었던 의승군의 병영. 북한산성은 1711년(숙종 37) 4월 축성에 착수하여 9월에 완공되었다. 이에 의승군으로 성을 수비하였다. 편제는 승대장 1인, 중군·좌우별장·천총·파총·좌우병방 각 1인, 교련관·기패관·중군병방 각 2인, 오기차지 1인
-
진무사 / 鎭撫使 [정치·법제/법제·행정]
1인, 진영장(정3품), 5인, 종사관(종4품) 1인, 천총 4인, 파총 10인, 초관 63인, 교련관 10인, 기패관 71인, 군관 15인이 소속되어 있었다.
-
순라군 / 巡邏軍 [정치·법제/법제·행정]
있는데, 별정교련관(別定敎鍊官)·별정기패관(別定旗牌官)·별군관(別軍官)·별무사(別武士)·별기위(別騎衛) 등으로 구성되어 이들 중 1인이 경군(京軍) 1인을 데리고 돌아가며 도순찰칙(都巡察飭)을 하였다. 군포(軍鋪) 6곳 및 사직장외(社稷牆外)는 각 청이 3일을 번갈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