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09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44)
사전(423)
- 기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병조에서 실시한 무술시험. [내용] 말을 몰면서 창을 사용하여 목표물을 찌르는 동작으로 평가하였다. 조선시대는 무과 및 내금위(內禁衛)ㆍ별시위(別侍衛)ㆍ친군위(親軍衛)ㆍ갑사(甲士)ㆍ대졸(隊卒)ㆍ팽배(彭排) 등의 취재(取才)에 기...
- 기창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후기에 군사들이 깃발을 꽃아 훈련에 사용한 창정의조선 후기에 군사들이 깃발을 꽃아 훈련에 사용한 창 | 문광부표기gichang | MR표기kich’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창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무과에서 말을 타고 달리면서 창을 쓰는 무예 시험정의무과에서 말을 타고 달리면서 창을 쓰는 무예 시험 | 문광부표기gichang | MR표기kich’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창(騎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기창 기창 騎槍 6기 삼갑창(三甲槍), 무과(武科), 취재(取才) 정치군사·국방/병기 물품 도구 대한민국 조선 박재광 [정의] 조선시대 무과의 시험과목인 강서(講書)와 무예(武藝) 가운데상위어6기 | 관련어삼갑창(三甲槍), 무과(武科), 취재(取才)
- 기창(旗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기창 기창 旗槍 단창(短槍) 십팔반(十八般), 『기효신서(紀效新書)』, 『무기신식(武器新式)』 정치군사·국방/병기 물품 도구 조선 박재광 [정의] 창(槍)의 일종 또는 그것을 사용하는 무...동의어단창(短槍) | 관련어십팔반(十八般), 『기효신서(紀效新書)』, 『무기신식(武器新式)』
고서·고문서(1,253)
- 居昌縣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世宗實錄地理志 卷第一百五十 慶尙道 居昌縣 68 本居烈郡【一云居陁】 新羅改今名顯宗戊午屬陜州任內明宗壬辰始置監務本朝太宗甲午合于巨濟昌縣乙未復析爲居昌縣監別號娥林屬縣一加祚本加召縣新羅改名减陰爲居昌郡領縣高麗復古名顯宗戊午屬陜州任內後移屬居昌【召之變而爲祚以方言相近也】 元宗辛未移屬巨濟本...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居昌縣五愼祠記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문화‧생활 작품 조선 燕巖集 卷之一 潘南朴趾源美齋著 煙湘閣選本○記 居昌縣五愼祠記 居昌縣五愼祠記 居昌…祠記 : ‘창초1’, ‘창초2’에는 ‘似昌黎’라는 제하평이 있고, ‘창중’, ‘승계’에는 ‘此文一洩吏胥千古之寃氣. 其沈着痛快, 如伸鐵鉤素, 如聘千里馬, 殆欲軼昌黎而過之...대표표제어居昌縣五愼祠記 | 목차煙湘閣選本○記
- 무자년 양기창(梁基昶)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거창군읍지(居昌郡邑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1899년(광무3)경 경상남도 거창군(居昌郡)에서 만든 읍지이다. 거창군은 현재 행정구역상으로 경상남도 거창군 지역으로, 북서쪽으로 소백산맥을 통해 전라북도 무주군, 장수군 등과 접해있으며, 동쪽은 합천군, 남쪽은 함양군, 북쪽은 경상북도 김천과 경계를 맞대고 있다...내용분류정치/행정 - 조직/운영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거창부사(居昌府使) 전령(傳令)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기축년 9월 9일에 관에서 가북용산동 대소민인에게 보낸 전령이다. 이 지역이 동계선생의 유지가 있는 곳이므로 이전의 완문을 준수하여 각종 역을 면제한다는 내용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명령-전령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전령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구술자료(17)
- 거창(居昌) 먹골 집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설화 17에 이어서 설화 15 뒤에 이야기했던 먹골 마을에 관한 이야기를 하겠다고 하면서 꺼내었다.*조사일시1980-08-11 | 조사장소경상남도 진주시 망경북동 | 제보자송남수
- 유곡면(柳谷面) 거창산(居昌山)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 설화가 끝나고 조사자가 “산이 떠 내려온 이야기가 없느냐?”고 물었더니 이 전설을 구술하였다.*조사일시1982-01-08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 제보자권대도
- 거창(居昌) 남면 갈미바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보자는 거창군 출신으로 자기 고향의 전설을 화제에 많이 올렸다. 여기에 구술된 사건은 중년의 일처럼 구술되었으나, 바위에 대한 신성시는 오래된 것인 것 같다. 갈미바우란 갈모처럼 뽀죽한 바위를 이름한 것인데, 이 이야기의 내용으로 미루어 보면 성기 상징의 바위인 ...조사일시1980-08-11 | 조사장소경상남도 진주시 망경북동 | 제보자송남수
- 곡성농악 기창수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곡성농악 기창수 대담조사 예술·체육 작품 현대 E-150 1679 전남 대담조사자료 1) 곡성농악 연주자 기창수의 학습과정과 곡성농악의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농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기창수
- 궁류면(宮柳面) 거창산(居昌山)의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장과 함께 마을 앞 개울가로 나와서 건너 마을인 청계리(淸溪里)의 지명 유래를 들었다. 그러나, 내용이 산만하고 녹음 상태도 불량하여 정리하지 않았다. 다시 이장의 소개로 경로당을 방문하여 박봉춘씨에게서 ‘서암 강씨네들이 묘사떡 안 주는 내력’을 들었다. 그런데,...조사일시1982-08-21 | 조사장소경상남도 의령군 봉수면 | 제보자서기율
기초학문(11)
- 居昌‧陜川‧南海 地域 文集‧實記類 草稿本 簡略 解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상필, 게재일 : 200512884 이상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소 2005 居昌‧陜川‧南海 地域 文集‧實記類 草稿本 簡略 解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손해보험회사의 위험관리 실태 분석과 시사점 : 한국과 독일 손해보험회사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남기창, 게재일 : 200104688 남기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리스크관리학회 2001 손해보험회사의 위험관리 실태 분석과 시사점 : 한국과 독일 손해보험회사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유형논문 | 게재일2001
- 비트겐슈타인과 고대 회의주의_preprint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남기창, 게재일 : 200210273 남기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분석철학회 2002 비트겐슈타인과 고대 회의주의_preprint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유형논문 | 게재일2002
- 평생교육 진흥정책의 로컬 거버넌스 분석: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전기창, 게재일 : 201555068 전기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정치학회 2015 평생교육 진흥정책의 로컬 거버넌스 분석: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유형논문 | 게재일2015
- 성별에 따른 조현병 환자의 공감 능력 및 얼굴 정서 인식 능력의 차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기창, 게재일 : 201456619 김기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14 성별에 따른 조현병 환자의 공감 능력 및 얼굴 정서 인식 능력의 차이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219)
- 居昌賊警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진쥬관찰부에셔 부로 뎐보기를 거창과 령산등디에 화젹이 대치야 인이 엇시니 원슈부로 죠회하야 진남 병뎡을 파송하야 긔포케하여 달나고하엿더라게재일1902년 10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李基昌(李基昌商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基昌(李基昌商店) 서울 李基昌 李基昌商店 禮智町市 36 식료품 - 과일(果物) 도매 34.2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李基昌(李基昌商店)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과일(果物)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共救會發起剙設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젼 쥬 리용쥰씨등이 발긔야 빈궁 동포를 구제 목뎍으로 공구회 (共救會)를 죠직고 회장은 금번에 쳬임된 군대 권즁현씨로 션뎡 얏더니 권씨 금번 춍직 일에 마암업셔 고불슈 얏다더라게재일1907년 5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吳基昌(-)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吳基昌(-) 목포 吳基昌 - 福山町 - - 재봉업 - 10 - 木浦案內: 商工人名錄, 192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吳基昌(-) | 지역목포 | 품목- | 영업종목재봉업 | 자료출처木浦案內: 商工人名錄, 1921년
- 민세안재홍전집 : 居昌邑에서 安在鴻氏講演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853 1949 4 27 1 1 居昌邑에서 安在鴻氏講演 신문 동아일보 2면 8단 기사 사회 간접자료 선집외 居昌邑 講演 A19490427동아02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멀티미디어(1)
- 1954년 10월 29일 진주에서는 이선근 문교부장관과 신현돈 경북도지사 등 내외귀빈과 지역민들이 참석한 가운데 제5회 영남예술제가 열렸다. 예술제를 마친 후 논개사당 앞에서는 의기창렬회가 주최하는 논개창렬비 제막식이 열렸다.자료구분리버티뉴스 | 제작년도1954년 11월 | 제작주한미공보원
기타자료(120)
- 이기창;李基暢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344 일본 大阪 大阪外國語學校 회원명부(1943년 12월) 1943―12―28 1면 이기창;李基暢 제7회 1931년학교소재지역大阪 | 학교명大阪外國語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방기창;邦基昌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417 북한 평남 耶稣敎長老會神學校 耶蘇敎長老會神學生名簿表 n.r. 1면 방기창;邦基昌 평안남도 용강군 제1회 1908년 戊申;1908년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耶稣敎長老會神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송기창;宋基昌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6950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1940/12) 1940 65면 (38) 제36회 163명(1940년 3월 졸업) 송기창;宋基昌 평북 정주군 정주읍 성외동 62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기창;李起昌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2495 남한 경성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1-18 同窓會員名簿(昭和十九年四月現在) 1944 94면 이기창;李起昌 경성부 창신정 668-12 제13회 1938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홍기창;洪基昶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9001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수원농학회보 제5호 1940―03―31 133면 홍기창;洪基昶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무예도보통지 영역
한국 학술 번역사업 | 노영구 | 국방대학교 | 2016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45)
-
기창 / 騎槍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병조에서 실시한 무과시험. 말을 몰면서 창을 사용하여 목표물을 찌르는 동작으로 평가하였다. 조선시대는 무과 및 내금위·별시위·친군위·갑사·대졸·팽배 등의 취재에 기창을 시험하였다. 시험내용은 말을 몰면서 번갈아가며 왼쪽과 오른쪽 겨드랑이에 창을 끼고서 차례
-
거창가 / 居昌歌 [문학/고전시가]
19세기 중반 거창의 수령 이재가(李在稼)와 아전들의 탐학을 고발한 저항적 현실비판 가사. 현재 남아 전해지는 「거창가」의 필사본들은 대부분 임술민란 이후 고종 대∼1930년대에 이루어진 것들이다. 「거창가」 내용 가운데 핵심 인물인 수령 이재가의 재임이 1839∼18
-
거창군 / 居昌郡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 서북부에 위치한 군. 동쪽은 합천군, 서쪽은 함양군, 남쪽은 산청군, 북쪽은 경상북도 김천시와 전라북도 무주군에 접하고 있다. 동경 127°39′∼128°06′, 북위 35°31′∼35°56°에 위치한다. 면적은 803.13㎢이고, 인구는 6만 3232명(20
-
거창분지 / 居昌盆地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일대에 형성된 분지. 거창군은 편마암·편암·화강암 그리고 화성암 등으로 이루어져 지질구조가 복잡하다. 화강암이 분포하는 곳에는 크고 작은 침식분지가 발달해 있는데, 거창분지가 대표적이다. 이 분지는 차별침식(差別侵蝕)으로 인하여 형성된 화강암 개
-
거창향교 / 居昌鄕校 [교육/교육]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가지리에 있는 향교. 415년(태종 15)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1415년에 대성전을 설립하고 1572년에 현감 서의(徐誼)가 중건하였으며, 1574년에는 현감 장문한(張文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