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47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422)
사전(739)
- 居諸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9_S_0015 居諸 언어 鵯鶋, 蟾蠩, 鶋, 鼁蟾諸 甘氏, 朱夫子 詩, 爾雅, 象緯考 S_18_01_85 성호사설 18권 1장 85절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8권 1장 8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기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사람이 죽은 날, 즉 기일에 지내는 제사. [내용] 삼년상을 치른 경우의 기일은 그 이후부터가 된다. 기제의 봉제사 대상은 제주(祭主)를 기준으로 하여 4대, 즉 고조까지가 이상적이다. 제주는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되며 장자나 장...
- 기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현행본 《주역(周易)》 64괘 중 63번째 괘의 이름.정의현행본 《주역(周易)》 64괘 중 63번째 괘의 이름.[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ije | MR표기Kij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기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해마다 돌아가신 조상이나 부모에게 드리는 유교식 제사정의해마다 돌아가신 조상이나 부모에게 드리는 유교식 제사 | 문광부표기gije | MR표기kij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祭器祭服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J4_S_0018 祭器祭服 제례 大夫, 燕器, 田祿, 大夫, 公孤以上, 四命, 君子, 賔客崇敬, 燕器, 籩豆, 竹木, 髹漆, 白甆之器, 笠子, 道袍, 平凉子, 冠帶之邦, 折風, 章甫, 幅巾, 深衣, 逢掖, 蠟燭, 刺燭, 燈籠, 紗籠 東俗, 我東,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4권 1장 6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논문(2)
- 朝鲜朝后期济南王氏家族的皇朝遗民意识 [융복합형 전문인력 양성: 중국 내 최고 수준의 한국학 선도대학 재건 프로젝트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저자 : 禹景燮 | 게재정보 : 东疆学刊유형논문
- 충청지역 불천위제례의 전승양상-고기제물의 구성과 조리방식을 중심으로- [종가의 제례음식 자료집성 및 DB구축 | 한국국학진흥원]저자 : 양미경 | 게재정보 : 역사민속학
고서·고문서(3,892)
- 忌祭儀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七 祭儀鈔 22 忌祭儀 27_068_061.jpg 忌祭儀 忌祭則散齋二日, 致齋一日。 設所祭一位。【《家禮》則只祭或考或妣一位。 程子則幷祭考妣云。】 陳器具饌, 如時祭之儀【但果及湯, 皆不過三色, 略有等殺。】, 但具一分。【若幷祭考妣, 則具二分。】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군기제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5729 P-SDK-05729-G-C-16-15 P-SDK-05729-G-C-16-15-1 P-SDK-05729-G-C-16-15-2 군기제 軍旗祭 군기제를 열어 영내를 방문한 민간인들과 함께 축제를 즐기는 모습을 인쇄한 엽서 나가노의 교육만...자료명군기제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만기제대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5730 P-SDK-05730-G-C-16-16 P-SDK-05730-G-C-16-16-1 P-SDK-05730-G-C-16-16-2 만기제대 만기제대를 맞이한 군사들이 축사를 들으며 군생활을 정리하는 모습을 인쇄한 엽서 나가노의 교육만화 군대생...자료명만기제대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군기제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5880 P-SDK-05880-G-C-32-31 P-SDK-05880-G-C-32-31-1 P-SDK-05880-G-C-32-31-2 군기제 軍旗祭 군기제 행사를 통해 즐거워하는 군인들과 민간인들의 모습을 인쇄한 엽서 개정신판 입영에서 제대까...자료명군기제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군기제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6053 P-SDK-06053-P-C-32-31 P-SDK-06053-P-C-32-31-1 P-SDK-06053-P-C-32-31-2 군기제 軍旗祭 군기제를 맞아 가장하고 거리를 걷는 군인들의 엽서 봉투 없음. 32매 세트. 사제엽서 ...자료명군기제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구술자료(8)
- 고양 이무기제 ➁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고양 이무기제 ➁ 예술·체육 작품 현대 I-108 3385 경기 대담조사자료 1) 고양 용구재 이무기제 대담조사자료이다. 2) 1998년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현규
- 고양 이무기제 ➁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고양 이무기제 ➁ 예술·체육 작품 현대 I-108 3385 경기 대담조사자료 1) 고양 용구재 이무기제 대담조사자료이다. 2) 1998년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조경희
- 서남규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서남규 대담조사 예술·체육 작품 현대 A-141 3362 전북 대담조사자료 1) 장고제작자인 서남규가 농악, 농악인, 악기제작 등에 대해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농악;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서남규
- 대전광역시 대덕구_1.얼카산이가 잘하네 2.잘잘 자알하네 3.상사디야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 에염소리 대전광역시(옛 대덕군) 대덕구 (회덕1동) 장동2동(산디) 1991.1.31 素91-1-31②A (메)김지섭, 조성호 (받)박내준,전병학,송기제 김지섭(1916년 연기군 금남면 대밭 출생.남.1930년에 산디 이주), 조성호(1933년생.남.토민),박내녹음지역대전광역시(옛 대덕군) 대덕구 (회덕1동) 장동2동(산디) | 녹음날짜1991.1.31 | 가창방식1~4. 멕받형식(선후창) 5.선입후제창
- 두루미 아내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경기도, 오산시 학이 그, [조사자1: 옷 짜주는?] 어, 누가 괴롭힘을 당하고 있었던 학이 도와줘서. [조사자1: 제목이 뭘까요?] 학의 은혜 갚기제보자가 제목을 〈학의 은혜 갚기〉라고 하였으나, 제목은 다른 자료와의 통일성과 검색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알국가일본 | 제보자후카미즈 치카코 [일본, 여, 1974년생, 결혼이주 13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217)
- 부동산디지털등기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광동18622 박광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건국대학교 부동산디지털등기제도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유형논문
- 상대적 확률 추론에서의 착각과 그 기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도경수, 게재일 : 199813642 도경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 실험 및 인지 심리학회 1998 상대적 확률 추론에서의 착각과 그 기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유형논문 | 게재일1998
- 시각적 평균 표상의 신경기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상철, 게재일 : 200829239 정상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인지과학회 2008 시각적 평균 표상의 신경기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옹기장인의 옹기제작기술과 전통지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재호, 게재일 : 201545044 김재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 옹기장인의 옹기제작기술과 전통지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유형논문 | 게재일2015
- 문학의 치료 기제에 관한 고찰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566432 한국연구재단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문학의 치료 기제에 관한 고찰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352)
- 家基制度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한셩판윤 쟝화식씨가 각 묘 샤 뎐 궁긔지를 친히 젹간하야 그근디에 가 건츅하는 제도와 긔디 뎡△하야 외부로 보고하고 각공관에 성명을 쳥하엿는데 묘사뎐궁 근쳐에는 이층집을 짓지못하고 상거 오백미돌안에는 가 매하지 못하기로 작뎡하엿다더라게재일1902년 10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各還其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리용익을 구라로 졍부대관들이 연 쥬야 삼 비지에 쳐분이 잇스리라 신고로 각기 쳐에 도라가 엇지라신 쳐분을 기리다가 연쥬기를 력젹 리용익이가 막죄를 범고 막즁 궐에 언연이 피신야 잇스니 삼쳔년이에 업든일이라 속히 쳐분소셔 엿더니 쳐분...게재일1902년 12월 2일 | 기사분류잡보
- 평양: 병기제조소 시찰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평양: 병기제조소 시찰 1918년 8월1일 평양 평양 평양상업회의소 회두 이하 평의원, 지역 신문기자 일동이 평양의대표표제어평양: 병기제조소 시찰 | 연월일1918년 8월1일 | 지역평양
- 兵器製造所의設置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쳥국륙군대신 텰량씨가 경한텰도근쳐 북△ 보뎡 슌덕 창덕네곳에 병긔졔죠창지소를 셜시고 도구진에 본소를두고 각창에셔 졔죠춍과대포를 륜거로 북경에슈운야 불우지변을 막을계획이라더라게재일1907년 6월 1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伊藤保(伊藤電氣製作所 )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伊藤保(伊藤電氣製作所 ) 서울 伊藤保 伊藤電氣製作所 本町 5-11 기계기구 - 전기기계기구 소매 17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대표표제어伊藤保(伊藤電氣製作所 ) | 지역서울 | 품목기계기구 | 영업종목전기기계기구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멀티미디어(62)
- 차. 오신채와 향료 3주차. 음식을 먹는 수행 - 발우 공양 4주차. 몸을 깨워 살리는 공양간과 조왕단 5주차. 부처님의 지혜가 담긴 음식과 불교의 상징 연의 약효 6주차. 기제사와 명절 차례 제사음식 7주차. 성균관에서 제시하는 제사준비와 진행 8주차. 제사상 차리는강좌제목K-FOOD와 종교 II | 강의자박유미 교수, 김해인 교수
- 차. 오신채와 향료 3주차. 음식을 먹는 수행 - 발우 공양 4주차. 몸을 깨워 살리는 공양간과 조왕단 5주차. 부처님의 지혜가 담긴 음식과 불교의 상징 연의 약효 6주차. 기제사와 명절 차례 제사음식 7주차. 성균관에서 제시하는 제사준비와 진행 8주차. 제사상 차리는강좌제목K-FOOD와 종교 II | 강의자박유미 교수, 김해인 교수
- 차. 오신채와 향료 3주차. 음식을 먹는 수행 - 발우 공양 4주차. 몸을 깨워 살리는 공양간과 조왕단 5주차. 부처님의 지혜가 담긴 음식과 불교의 상징 연의 약효 6주차. 기제사와 명절 차례 제사음식 7주차. 성균관에서 제시하는 제사준비와 진행 8주차. 제사상 차리는강좌제목K-FOOD와 종교 II | 강의자박유미 교수, 김해인 교수
- 차. 오신채와 향료 3주차. 음식을 먹는 수행 - 발우 공양 4주차. 몸을 깨워 살리는 공양간과 조왕단 5주차. 부처님의 지혜가 담긴 음식과 불교의 상징 연의 약효 6주차. 기제사와 명절 차례 제사음식 7주차. 성균관에서 제시하는 제사준비와 진행 8주차. 제사상 차리는강좌제목K-FOOD와 종교 II | 강의자박유미 교수, 김해인 교수
- 차. 오신채와 향료 3주차. 음식을 먹는 수행 - 발우 공양 4주차. 몸을 깨워 살리는 공양간과 조왕단 5주차. 부처님의 지혜가 담긴 음식과 불교의 상징 연의 약효 6주차. 기제사와 명절 차례 제사음식 7주차. 성균관에서 제시하는 제사준비와 진행 8주차. 제사상 차리는강좌제목K-FOOD와 종교 II | 강의자박유미 교수, 김해인 교수
기타자료(150)
- 장기제;張起悌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2164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1942년 11월 현재, 제20호) 1942―12 26면 장기제;張起悌 제7회 1923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박기제;朴基濟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0521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39면 박기제;朴基濟 평북 정주군 대전면;미상 제1회 1919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조기제;趙祈濟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1292 남한 경남 진주고등학교 2-47 진주고등학교, 졸업증서대장, 1930~1944년 n.r. 23면 - 조기제;趙祈濟 소화8년 3월4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양기제;梁基濟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3083 북한 평북 신의주공립고등보통학교 3-07 회지 제2호 1934―03―25 92면 1. 제9회 졸업자 (59명) 양기제;梁基濟 평안북도 의주군 비현면 체마동 420학교소재지역평북 | 학교명신의주공립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장기제;張起悌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9782 일본 東京 法政大學 法政大學校友名鑑 1941―05―25 31면 장기제;張起悌 조선 1929년 3월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法政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1)
-
다이나믹 코리안(Dynamic Korean), 한국에서 근대적 개인의 형성(1860-1960)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동춘 | 성공회대학교 | 2014 | 국내 | 서울
-
조선시대 화론(畫論)의 회화미학개념 계보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임태승 | 성균관대학교 | 2023 | 국내 | 서울
-
승화와 잔혹의 토폴로지: K-Cinema의 기원에 대한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박유희 |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 2024 | 국내 | 세종
-
정전과 검열 그리고 기억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강영미 | 고려대학교 | 2014 | 국내 | 서울
-
우리철학, 어떻게 할 것인가? - 근대전환기 한국철학의 도전과 응전 -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철승 | 조선대학교 | 2015 | 국내 | 광주
주제어사전(42)
-
기제 / 忌祭 [사회/가족]
사람이 죽은 날, 즉 기일에 지내는 제사. 기제의 봉제사 대상은 제주(祭主)를 기준으로 하여 4대, 즉 고조까지가 이상적이다. 제주는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되며 장자나 장손이 없을 때에는 차자나 차손이 대행한다. 상처한 경우에는 그 남편이나 자손이 제주가 되고, 자손
-
고지제도 / 雇只制度 [사회/촌락]
임금 선불방법에 의하여 노동력을 동원하는 청부노동제도. 수도작(水稻作:벼농사)을 중심으로 형성된 공동 노동집단인 농사(農社)나 농계(農契) 또는 두레의 공동체적 성격이 약화되어, 임금계약에 바탕을 둔 근대적인 노동청부로 변질된 협동노동관행의 일종이다. 고지의 유래는 정
-
의열영빈이씨기제사축식 / 義烈暎嬪李氏忌祭祀祝式 [역사/조선시대사]
영빈이씨(暎嬪李氏)의 기일(忌日)에 제사를 올릴 때 사용하였던 축문(祝文)의 형식을 규정한 글. 글씨가 해정하지 않은 편이고 글을 고치거나 덧붙인 부분이 있으며, 마지막에 "己酉二月二十二日因傳敎改修"라고 부기되어 있고 연호가 "건륭(乾隆)"으로 되어 있어 1789년(
-
의효전재기제향수납입문 / 懿孝殿再朞祭享需納入文 [정치·법제]
1906년 10월 30일 명주, 무명, 삼베 등을 내장사로 하여금 납입하도록 한 문서. 문서의 끝에 작은 글씨로 순명황후의 혼전인 의효전(懿孝殿)에 대한 제사를 지낼 때 공이 있는 사람에게 상을 주기 위해서라고 밝히고 있다.
-
전석 / 全石 [과학기술/과학기술]
조선 초기에 곡식 등의 양을 재던 단위. 고려 문종 때 제정된 4종류의 제가이량기제도(齊價異量器制度)가 조선 세종 28년에 개혁되어 단일 양기제도로 되었다. 전석의 용적은 세종영조척으로 3,920입방촌이었는데 그것은 11만9285㎤에 해당하였다. 15두를 1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