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기와밟기” 에 대한 검색결과 3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

사전(1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의성과 전라북도 정읍‧임실 등지에서 행하여지는 민속놀이. [내용] 음력 정월대보름에 행해지는 부녀자들의 집단놀이이다. 의성에서는 ‧꽃게싸움, 안동에서는 놋다리밟기, 전라도에서는 지와밟기, 그 밖의 지방에서는...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상북도 의성과 전라북도 정읍‧임실 등지에서 행하여지는 민속놀이.
    정의경상북도 의성과 전라북도 정읍‧임실 등지에서 행하여지는 민속놀이.[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iwa bapgi | MR표기kiwa papk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안동놋다리밟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안동지방에 전승되는 부녀자들의 민속놀이. [내용]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7호. 음력 정월대보름날 밤에 행하여지며, 동교(銅橋)‧‧인다리[人橋]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분포지역은 안동을 중심으로 하여 서쪽은
    연계항목안동놋다리밟기(安東놋다리밟기)
  • 강강술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지는 마지막에는 손을 힘차게 흔들면서 1박에 두발을 연달아 뛰면서 돈다. 그래서 아낙네들은 ‘한바탕 뛰자.’고 한다. 이렇게 원무를 추다가 흥이 나면 중간에 다른 놀이들이 삽입된다. 예컨대 <남생이놀이>‧<멍석말이>‧<고사리꺾기>‧<청어엮기>‧<문열기>‧<...
    연계항목강강술래(강강술래)
  • 판굿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 이때는 고장에 따라서 쇠꾼들이 재담으로 연극을 벌이는 도둑재비를 하기도 하고, 수박치기ㆍ등 맞추기ㆍ와 같은 놀이를 벌이기도 한다. 농악의 온갖 기예를 총 집성하여 그들의 기량을 발휘하는 농악인 만큼 음악적으로나 무용적으로 가장 기량이 높은 농악이라고...

구술자료(11)

  •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기와 밟기’가 끝나면 설소리꾼이 ‘몰자몰자 덕석몰자’를 부르면 나머지 놀이꾼들은 이를 따라 부르면서 일어서서 또 다시 손을 잡고 선두를 따른다. 그러면 선두는 왼쪽으로 원을 그리며 도는데 여타의 놀이꾼들은 멍석을 말 듯 차례로 똘똘 말아간다. 다 말아지면 설소리...
    조사일시1984-10-25 | 조사장소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 제보자박양애
  • 의성 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잠시 공백이 흐르자, 김호생 씨가 의성군 기와밟기 노래에 대해 설명했다. 2006년 상주농요경연대회에서 이 의성군 기와밟기 노래의 앞소리 꾼으로 대상을 수상한 자신의 경험을 자랑했다. 조사자들에게 상장과 사진을 보여주기도 했다. 이윽고 그 노래를 한번 불러보겠다며 ...
    조사일시2011. 4. 16.(토) | 조사장소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운곡리 261-1번지 김호생 씨 자택 | 제보자김호생
  • 강강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마을 경로당에 아주머니들과 할머니들 몇 분이 모여있었다. 민요조사가 진행되면서 아주머니들이 따라부르기도 하고 박수를 치기도 하면서 흥 겹게 노래를 불렀다. 조사자가 강강술래의 놀이 중 기와밟기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에 대해서 묻자 짧게 노래를 불러준다.
    조사일시2011. 3. 12(토) | 조사장소영광군 백수읍 양성리 31-2 삽촌마을 경로당 | 제보자박복순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따는 노래 2) 단가-호남가 3) 굴따는 노래 4) 첩 노래 5) 노래 (경상남도 거제시 신현읍 상동리 용산마을) 6) 모심는 소리B면 (경상남도 거제시 신현읍 상동리 용산마을) 1) 모심는 소리 2) 신세타령 3) 신세타령 3) 모심는 소
    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조영선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따는 노래 2) 단가-호남가 3) 굴따는 노래 4) 첩 노래 5) 노래 (경상남도 거제시 신현읍 상동리 용산마을) 6) 모심는 소리B면 (경상남도 거제시 신현읍 상동리 용산마을) 1) 모심는 소리 2) 신세타령 3) 신세타령 3) 모심는 소
    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주달연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3)

  • / [생활/민속]

    경상북도 의성과 전라북도 정읍·임실 등지에서 행하여지는 민속놀이. 음력 정월대보름에 행해지는 부녀자들의 집단놀이이다. 의성에서는 ·꽃게싸움, 안동에서는 놋다리밟기, 전라도에서는 지와밟기, 그 밖의 지방에서는 지네밟기·재밟기 등으로도 불린다. 놀이의 형태와 시

  • 안동놋다리밟기 / 安東─ [생활/민속]

    경상북도 안동지방에 전승되는 부녀자들의 민속놀이.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7호. 음력 정월대보름날 밤에 행하여지며, 동교(銅橋)··인다리[人橋]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분포지역은 안동을 중심으로 하여 서쪽은 군위군, 동쪽은 영덕에 이르고 있어서 주로 내륙지방에

  • 유희요 / 遊戱謠 [문학/구비문학]

    「쾌지나칭칭나네」와 같은 원무(圓舞)나 「놋다리밟기」 또는 「」 등은 춤의 장단을 맞추기 위한 무용유희요이다. 기구사용이나 승부의 여부를 막론하고 언어로써 꾸며지는 놀이의 민요로는 「군사놀이요」·「대문놀이요」·「거북놀이요」·「달구잡이요」·「순라잡기요」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