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기언” 에 대한 검색결과 4,33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324)

사전(46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허목(許穆)의 시문집. [서지적 사항] 93권 25책[원집 46권, 속집 16권, 습유(拾遺) 2권, 자서(自序) 2권, 자서속편 1권, 별집 26권]. 목판본. 흔히 ‘미수(眉叟)’으로 통칭되고 있다.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인 허목(許穆, 1595-1682)의 시문집.
    정의조선 후기의 문신‧학자인 허목(許穆, 1595-1682)의 시문집.[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Gieon | MR표기Ki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97(숙종 23)∼1743(영조 19).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군미(君美). 수(睟)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형신(炯信)이고, 아버지는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당(堂)이며, 어머니는 김중형(金重亨)의 ...
    이칭별칭 군미(君美)
  • 가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에 편찬된 인물의 전기. [내용] 필자 미상. 1책. 필사본. 이 책에 수록된 인물전기는 허목(許穆)이 지은 『미수(眉叟)』 원집과 별집에 실려 있는 내용을 뽑아 엮은 것으로, 편자와 편찬연대는 밝혀져 있지 않다. 따라서...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16(숙종 42)∼?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행주(幸州). 자는 국진(國鎭)ㆍ중화(仲和), 호는 나와(懶窩). 욱(頊)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진열(震說)이고, 아버지는 정후(挺後)이며, 어머니는 나천추(羅天樞)의 딸이다....
    이칭별칭 중화(仲和)| 나와(懶窩)| 정간(靖簡)|국진(國鎭)

고서·고문서(3,744)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1 第一統統首김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67년_유포면(柳浦面) 1867년 유포면(柳浦面) 第十八福星里 1 第一統統首김 第一戶 幼學김年陸拾柒辛酉本김海父學生尙元祖學生貴載 曾祖學生八善外祖學生崔大興本慶州妻宋氏年陸拾玖己未本 懷德父學生賜德祖學生之賢曾祖學生寬仁外祖學生安厚基 本順興子鰥夫成宇年...
    연도_면이름1867년_유포면(柳浦面) | 면이름유포면(柳浦面) | 마을이름第十八福星里
  • 8 第八統統首申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43년_상부내면(上府內面) 1843년 상부내면(上府內面) 第十三路西里 8 第八統統首申 第一戶 業武申年肆拾甲子本平山父在珠祖漢直曾祖馹元外祖김尙玉本延山妻김姓 年參拾柒丁卯本慶州父時泰祖漢杰曾祖富文外祖盧南光本平海婢守心年癸未等庚 子戶口相准 第二戶
    연도_면이름1843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十三路西里

기초학문(4)

  • 고려대 소장 ≪西廂抄≫의 번역 양상과 특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효민, 게재일 : 2012
    66456 김효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어문연구회 2012 고려대 소장 ≪西廂抄≫의 번역 양상과 특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경화연〉과 한글 역본 〈제일〉의 비교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영호, 게재일 : 2007
    30480 정영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국소설학회 2007 〈경화연〉과 한글 역본 〈제일〉의 비교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구개열 영유아를 위한 부모 중심 조어중재가 말-언어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하승희, 게재일 : 2011
    47741 하승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구개열 영유아를 위한 부모 중심 조어중재가 말-언어발달에 미치는 효과 https://www.krm.or.kr/krmts/sea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저자, 텍스트, 독자- 문학에 관한 해석학적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기언, 게재일 : 2014
    56959 이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불어불문학회 2014 저자, 텍스트, 독자- 문학에 관한 해석학적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45)

  • 壯矣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리유인씨등을 착수 건으로 평리원 판쟝 민병한씨가 그여하 방침을 정부에 문의하엿더니 졍부에셔 졔반무를 판쟝에게 담하지라 민쟝이 말하기를 금거죠가다 졍부에서 잘못한닥이어날즁사건은엇지하야쟝에게만츄위하며민회에셔관을여바린다 집둥우리를 졔죠하여 두엇시니...
    게재일1904년 12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淸凉樓) 서울 李 淸凉樓 典農町 613 요리_음식점 - 조선 주점 - 21.6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李起彦(淸凉樓) | 지역서울 | 품목요리_음식점 | 영업종목조선 주점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本人이大山林洞居筆居崔應珠에게錢一千五百...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人이大山林洞居筆居崔應珠에게錢一千五百兩을九朔日収로債給고每朔日收票九張及都手票一張을領收엿더니崔氏가其日收를更請邊錢故로依야右錢一千五百兩票를領收엿더니先捧票十張幷야鍾路近地에셔遺失엿시니誰某拾得여도休紙施行오 大寺洞居 金文熙 告白
    게재일1902년 5월 15일 | 기사분류광고
  • 212 강길모 하흥시 삼일리 3구 102번지 함남로동신문사 주이섭 주, 김의부 중앙은행 함남총지점, 흥남비료공장 가작 「휴양소 로 가는길」 주 (중앙은행 함남총지점) 가작 「싸우는 조작공들」 김의부 (흥남비료공장)
    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907_03 | 책임주필강길모
  • 쁘·아·부듸낀 한림원, 토이어연구소 (트빌리쓰통신) 트빌리쓰에서는 그루지야공화국 한림원 총장 한림학사 무쓰헬리스윌리의 지도 하에서 1년간의 한림원 과학보고대회가 진행되고 있다. 제1차 회의는 『공산당 선언』 창간 100주년을 반영하였다. 한림학...
    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8_0327_01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기타자료(68)

  • ;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7791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119면 유;柳 제15회 1937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9130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47면 김;金 제1회 1942-07-20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2210 일본 東京 학교(집합) 金剛杵 23호(조선불교동경유학생회) 1939―01―15 95면 1. 조선불교동경유학생회 회원일람(무순) 서;徐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학교(집합)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9984 북한 평남 숭실학교 3-05 회원명부(1938년 9월調) 牟義理 숭실교우회 1938―10―15 61면 1. 숭전·숭실 졸업생;2) 나, 라行部 이;李 전남 제주도 중문리 20...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숭실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8878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1940/12) 1940 73면 (51) 보습과 제4회 29명(1938년 3월 修業) 유;柳 대구의학전문학교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3)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허목의 시문집. 93권 25책. 목판본. 이 책은 저자 자신이 직접 편찬하여 놓은 것인데, 1689년(숙종 15) 왕명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자신의 문집 이름을 ‘’이라 한 것은 언행이 군자의 관건이며 영욕의 갈림길이므로, 이것이 두려워 날

  • 가고 / 可考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문신 허목의 『미수』 중에서 인물에 대한 전기를 따로 추려 뽑은 책. 필자 미상. 1책. 필사본. 이 책에 수록된 인물전기는 허목(許穆)이 지은 『미수(眉叟)』 원집과 별집에 실려 있는 내용을 뽑아 엮은 것으로, 편자와 편찬연대는 밝혀져 있지 않

  • 정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6∼?). 명종 때 유명한 성리학자인 기대승의 후예로 그 후광을 입어 1782년(정조 6)에는 당상관으로 특별히 초자되어 승정원동부승지가 되었으며, 성리학에 심취하여 관계서적을 조석으로 암송했으며, 이런 자세는 그의 조상인 기대승을 방불하게

  • 제일 / 第一 [문학/고전산문]

    1835∼1848년에 홍희복(洪羲福)이 청나라 이여진(李汝珍)의 『경화연(鏡花緣)』을 번역·필사한 책. 한글필사본. 번역·필사자 홍희복(1794∼1859). 20권 18책. 청대 이여진(1763∼1830)이 지은 『경화연』(100회)을 번역한 책이다. 원전 『경화연』은

  • 태평광해 / 太平廣 [언론·출판/출판]

    00권의 방대한 전집으로, 중국 설화·소설의 보고라 불린다. ≪태평광기≫는 6,900여 종의 이야기가를 가려 뽑아 언해한 것이 ≪태평광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