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세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5)
사전(19)
- 기세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읍시 태인면, 옥구군 등에서 행해졌는데, 현재 금마면과 함열읍에 전승되고 있다. 기세배의 유래는 확실하지 않으나 그 행사가 고대 마한의 수도로 전하는 익산시 인근지방에 집중되어 전승된 점으로 미루어 마한 또는 후백제의 유풍으로 추측할 수도 있다. 금...
- 익산기세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일대에 전승되는 민속놀이. [내용] 전라북도 민속자료 제2호. ‘농기세배(農旗歲拜)’라고도 한다. 놀이는 음력 정월 열 나흗날과 대보름날 이틀에 걸쳐 진행되는데, 이는 그해의 풍년과 발전을 기원한다는...연계항목익산기세배(益山旗歲拜)
- 연산백중놀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하고 있다. 칠월 칠석을 전후하여 인근 여러 마을들이 동참하여 기세배를 하고 풍장솜씨를 마음껏 펼치며 노는 합동풍물놀이이다. 이 놀이는 조선 초기 좌의정을 지낸 김국광(金國光)의 묘를 두마면 왕대리 재실말에 쓰면서 두레패를 동원한 데에서, 혹은 여러 사람이 이...연계항목연산백중놀이(連山百中놀이)
- 농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러한 절차가 끝나면 적당한 광장으로 옮겨서 풍장의 기량을 겨룬다. 농기를 가지고 행해지는 대표적인 민속놀이로는 정월 대보름날에 아우가되는 마을에서 형이 되는 마을에 농기로 세배를 올리는 기세배(旗歲拜)가 있다. 神대와 農旗(李輔亨, 韓國文化人類學...
- 문경모산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79년 12월 18일 경상북도 기념물 제27호로 지정되었다. 구전에 의하면 임진왜란 때 주변 지역 사람들이 이곳에서 피난하던 중 왜군에게 발각되어 연기에 질식사하게 되었다. 그 후 지금까지 매년 마을사람들이 모여 죽은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 모산굴 기세배를...이칭별칭성저굴|성밑굴|관산동굴
고서·고문서(16)
- 다도(多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而監牧之民, 獨有冤枉。 一結之稅米, 爲二十五斗, 以租則不過五石, 而監牧之民, 其稅倍之, 實由監牧次知故然。 在魯曰, 旣不減上納, 又私食故也。 啓禧曰, 同於原稅而後爲善也。 昌壽又曰, 多島則有本官及水營稅, 島民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다도(多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而監牧之民, 獨有冤枉。 一結之稅米, 爲二十五斗, 以租則不過五石, 而監牧之民, 其稅倍之, 實由監牧次知故然。 在魯曰, 旣不減上納, 又私食故也。 啓禧曰, 同於原稅而後爲善也。 昌壽又曰, 多島則有本官及水營稅, 島民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不但曠土, 皆可起耕, 脫有緩急, 本廳將有輸運餉械之擧, 使此軍伍, 一時接應, 則其勢倍勝於臨急擾攘, 但恃本府援濟之事, 此不特利於本廳, 亦共便於江華府矣。 前者鄭維岳, 爲留守下去時, 更爲稟定蒙允, 而其後未及出擧條, 夏間送人, 略爲修築壞堰以來, 史庫·忠烈祠·許宗旻三處折受外, 竝...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但曠土, 皆可起耕, 脫有緩急, 本廳將有輸運餉械之擧, 使此軍伍, 一時接應, 則其勢倍勝於臨急擾攘, 但恃本府援濟之事, 此不特利於本廳, 亦共便於江華府矣。 前者鄭維岳, 爲留守下去時, 更爲稟定蒙允, 而其後未及出擧條, 夏間送人, 略爲修築壞堰以來, 史庫·忠烈祠·許宗旻三處折受外, 竝屬...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중(島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其所納之數, 則或有據實直言者, 或有倍數瞞告, 無實言平日責納之繁者。 而稅使只憑此酌定, 故稅有不均之弊, 民多自欺之患云矣。 上曰, 其勢誠然, 而此則不憐矣。 弘淳曰, 均使親往處則頗歇定, 而島中則不得入往, 故其勢倍加, 此則理勢固然矣。 軍官輩之任事者, 每以多得見能爲主, 安得不然乎...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기세배 / 旗歲拜 [생활/민속]
읍에 전승되고 있다. 기세배의 유래는 확실하지 않으나 그 행사가 고대 마한의 수도로 전하는 익산시 인근지방에 집중되어 전승된 점으로 미루어 마한 또는 후백제의 유풍으로 추측할 수도 있다. 금마면에 전승되는 기세배놀이는 다음과 같다. 금마면은 상대리·옥동·건지리·구정리·
-
익산기세배 / 益山旗歲拜 [생활/민속]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일대에 전승되는 민속놀이. 놀이는 음력 정월 열 나흗날과 대보름날 이틀에 걸쳐 진행되는데, 이는 그해의 풍년과 발전을 기원한다는 목적과 아울러 마을간의 친목을 다지는 숭농(崇農)행사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 기세배에 대한 정확한 고증은 없
-
문경모산굴 / 聞慶茅山窟 [지리/자연지리]
각되어 연기에 질식사하게 되었다. 그 후 지금까지 매년 마을사람들이 모여 죽은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 모산굴 기세배를 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