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기산도” 에 대한 검색결과 7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1)

사전(4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69(고종 6)∼? 조선 말기의 의병. [개설] 본관은 행주(幸州). 일명 산도(山濤). 전라남도 장성 출신. 삼연(參衍)의 종손이며, 재(宰)의 맏아들이다.일찍이 기독교계학교의 교사를 지냈으며, 한국의 식민지화의 주구(走狗)를 살해...
  • 거산도()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거산도 거산도 역도(驛道) 거산역(居山驛), 함원역(咸原驛), 신은역(新恩驛), 평포역(平浦驛), 오천역(五川驛), 제인역(濟人驛), 시리역(施利驛), 곡구역(谷口驛), 기원역(基原驛), 마곡역(麻谷驛), 영동역(嶺東驛), 임명역(臨溟驛...
    상위어역도(驛道) | 하위어거산역(居山驛), 함원역(咸原驛), 신은역(新恩驛), 평포역(平浦驛), 오천역(五川驛), 제인역(濟人驛), 시리역(施利驛), 곡구역(谷口驛), 기원역(基原驛), 마곡역(麻谷驛), 영동역(嶺東驛), 임명역(臨溟驛), 웅평역(雄平驛), 명원역(明原驛), 고참역(古站驛), 종포역(終浦驛), 웅이역(熊耳驛), 허천역(虛川驛), 적생역(積生驛) | 관련어함경도(咸鏡道), 찰방(察訪), 역도(驛道), 속역(屬驛)
  • 동기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함경도 정평의 동기역(東歧驛)을 중심으로 한 역도(驛道). [내용] 중심역은 역승(驛丞)이 있었다. 성종대 이후 역로 재편에 따라 동기도 소관역은 고산도(高山道)‧거산도() 등에 편입되었다. 동기도 소관역은 정평의
  • 시리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함경도 단천(端川)의 시리역(施利驛)을 중심으로 한 역도(驛道). [내용] 중심역은 종9품의 역승이 있었다. 성종대 이후 역로재편에 따라 시리도 소관역들은 거산도 ()와 수성도(輸城道)에 편입되었다. 시리도에 속하는...
  • 곡구역(谷口驛)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곡구역 곡구역 谷口驛 거산도() 신합배역(新合排驛) 시리도(施利道), 역도(驛道), 역로(驛路), 이성현(利城縣), 이원(利原) 경제교통/육운 집단 기구 이성 조선 정요근 1421년(세종 3)...
    상위어거산도(居山道) | 동의어신합배역(新合排驛) | 관련어시리도(施利道), 역도(驛道), 역로(驛路), 이성현(利城縣), 이원(利原)

고서·고문서(27)

  • 『조선왕조실록』 단종실록 1권, 단종 즉위년 5월 20일 임자 3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단종실록 단종 즉위년 5월 20일 임자 (1452) 1452 輸城驛 咸吉道 輸城道 明原站 厲居山 행...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단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조선왕조실록』 세조실록 24권, 세조 7년 6월 24일 계사 1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세조실록 세조 7년 6월 24일 계사(1461) 1461 終浦 咸吉道 端川 於坡 紅軍坡站 雙靑口子 ...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세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浦站 和原道 北靑 麿谷站 吉州 輸城站 明原道 會寧 時反站 豐山道 穩城 懷綏站 燕基道 행정 ○咸吉道監司啓"道內站路察訪,初以三品以下朝士,揀選差任. 楊秩·裵桓相繼爲...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32660 B032660 나로도 羅老島 도서 전라남도 全羅道邑誌 興陽縣邑誌 興陽縣 牧場 道陽南北長十五里東西廣十五里馬六十五匹穀草三千束小鹿島南北長五里東西廣三里馬三十七匹穀草三千束折厼島東西長三十里南北廣十五里馬一百十六匹穀草五千束南北長十里東西廣八里馬七十三匹穀草三千束羅老島南...
    출처전거全羅道邑誌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3758 B033758 남산 南山 산악 大東地誌 권10 함경도 驛站 _ 高山道 南山 奉龍 朔安 火燈安邊鐵關德源良驥文川通達 隘守高原和原永興蓬臺 草原定平平原 德山咸與○北靑咸原 新恩 平浦洪原五川 慈航濟仁 黃水北靑惠山 虛麟 虛川 呼麟 熊耳終浦甲山積生三水施利 谷口利原基...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3)

  • 9 오기찬 인민해방군, 국민당 중국 인민해방군은 5월 하순부터 6월 상순까지에 국민당 패잔도당의 수중에 있던 항주만에 있는 탄허산도 옥반산도 및 절강성 연해에 있는 판 전증도 랑 등을 해방하였다. 또한 지난 5월 중 중국 중남부에서 중국...
    대표표제어조선인민군_1950_0709_04 | 책임주필오기찬
  • 587 오기찬 중국 인민해방군, 국민당 남경발 신화사통신에 의하면 중국 인민해방군은 5월 하순부터 6월 상순까지에 국민당 패잔도당의 수중에 있던 항주만에 있는 탄허산도 옥반산도 및 절강성 연해에 있는 판 백산도 사반산도 천중도 랑 등을 해...
    대표표제어조선인민군_1950_0704_04 | 책임주필오기찬
  • 민청원 기능자들이 생산 품질의 향상과 생산 제고를 위한 준비 사업에 열성을 다하고 있다. 즉 포화로서 류안비료를 종전에는 5분간 1회씩 분석하던 것을 3분 간에 1회씩 분석하였으며 또한 원심분리기 소제를 종전에는 1시간 30분 에 1회씩하고 있던 것을 1시간에 1...
    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116_02 | 책임주필강길모

주제어사전(2)

  • 거산도 / [경제·산업/교통]

    조선시대 함경도 북청(北靑)의 거산역(居山驛)을 중심으로한 역도(驛道). 중심역은 찰방이 소재하였다. 거산도의 관할범위는 함흥(咸興)-홍원(洪原)-북청(北靑)-이원(利原)-단천(端川)-길주(吉州)-명천(明川)에 이어지는 역로와 북청에서 갑산(甲山)-삼수(三水)로 이어지

  • / [역사/근대사]

    항일기의 항일투사(1869-?). 박인호·이기 등과 함께 자강회를 조직하여 국권회복에 힘썼다.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암살단을 조직했다. 이근택을 습격했으나 실패하여 도피했다. 이후 체포되었다. 1963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