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기묘사화” 에 대한 검색결과 48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57)

사전(41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中宗實錄 燃藜室記述 黨議通略 李朝黨爭史硏究(姜周鎭, 서울大學校出版部, 1971) 朝鮮前期畿湖士林派硏究(李秉烋, 一潮閣, 1983) 朝鮮儒敎社會史論(李泰鎭, 知識産業社, 1989) 의 由來에 대한 一...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519년 12월 남곤(南袞)‧심정(沈貞)‧홍경주(洪景舟) 등의 훈구 재상(勳舊宰相)에 의해서 조광조(趙光祖)‧김정(金淨)‧김식(金湜) 등 신진 사류가 화를 입은 사건.
    정의1519년 12월 남곤(南袞)‧심정(沈貞)‧홍경주(洪景舟) 등의 훈구 재상(勳舊宰相)에 의해서 조광조(趙光祖)‧김정(金淨)‧김식(金湜) 등 신진 사류가 화를 입은 사건.[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Gimyo Sahwa | MR표기Kimyo Sahw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남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겸임했으며, 뒤에 의정부 좌우찬성ㆍ대사헌ㆍ예조판서ㆍ이조판서 등을 역임했고, 1518년에는 종계변무(宗系辨誣)를 위한 주청사(奏請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1519년 심정(沈貞) 등과 함께 를 일으켜 조광조(趙光祖)ㆍ김정 등 신진 사림파를 숙청한 뒤, 좌의정을 거...
    이칭별칭 사화(士華)| 지정(止亭), 지족당(知足堂)| 문경(文景)
  • 구수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검열에 천거되었고, 주서(注書)ㆍ부수찬(副修撰)ㆍ정언(正言)ㆍ수찬ㆍ이조좌랑 등을 역임하였다. 1519년 가 일어나던 날 밤, 재상들이 예문관 관원을 파직하기를 청하였을 때 이조좌랑으로 패초(牌招 : 왕명을 받은 승지가 그 명령을 패에 써서 당사자에 전함)...
    이칭별칭 백응(伯凝), 정지(挺之)| 병암(屛菴), 수재(睡齋)
  • 고형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소한 바 있으나 정치성향은 대체로 보수적이었다. 조광조(趙光祖) 일파의 정치개혁을 반대하는 세력의 한 사람으로 현량과(賢良科)의 실시 등을 극력 반대하였으며, 1519년 남곤(南袞) 일파와 함께 를 일으켜 신진세력을 축출하였다. 곧고 근검한 성품...
    이칭별칭 정숙(靜叔)| 위열(威烈)

고서·고문서(44)

  • 1913년 안동군 서후면(西後面) 저전동(苧田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들이 들어와 세거하고 있으며, 음지마는 로 趙光祖가 화를 당하자 역시 한양 趙氏가 난을 피하여 처음 정착한 곳이다. 雙溪書齋는 한양 조씨 시조의 13세손인 積의 증손자 덕립, 예립 형제가 19세기 초에 아버지 師龍공을 위해 정자를 지어 학문과 문중 자제들을 교육...
    내용분류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토지대장 | 현소장처안동시청
  • 바로 산소로 나갔다. 노(奴)들이 모두 뒤따라갔는데, 노들의 식량이 부족한 탓에 사서 마련해 가라고 했다. ○들으니 윤여옥(尹汝沃) 윤여옥(尹汝沃, 1494~1566) : 尹漑의 字다. 그는 1516년(중종 11)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여러 관직을 거쳤고, ...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夫) 구부(懼夫) : 尹忭(1493~1549)의 字다. 호는 知足庵이다. 1519년(중종 14) 생원시에 합격하자 가 일어나 조광조가 투옥되자 성균관 유생들과 함께 그의 무죄를 호소했다. 영의정을 지낸 尹斗壽와 예조판서 등을 지낸 尹根壽의 아버지이다. 윤변은 관...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양팽손(梁彭孫)의 『학포선생유집(學圃先生遺集)』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를 지니고 있으면서 와 관련된 연구를 함에 있어서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서지학적으로 다른 판본과의 대비를 통하여 차별성을 드러내 보이는 것도 연구 대상이 될 것이다.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1915년 죽림정사(竹林精舍) 통문(通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이다. 그는 가학으로 글을 읽히다가 1514년(중종 9) 정암 조광조의 문하에 나아가 수학하였다. 이후 가 일어나자 고향인 인동으로 돌아와 죽림정사를 세워 독서에 전념하였다. 그는 1531년(중종 26)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합격자 발표를 기다리지 않고 곧장 시...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경주 옥산서원

주제어사전(27)

  • / [정치·법제/정치]

    1519년(중종 14) 11월 조광조·김정·김식 등 신진사류가 남곤·심정·홍경주 등의 훈구 재상에 의해 화를 입은 사건. 중종반정으로 연산군을 폐하고 왕위에 오른 중종은 연산군의 악정을 개혁함과 동시에 쫓겨난 신진사류를 등용해 파괴된 유교적 정치 질서의 회복과 교학,

  • 신잠 / 申潛 [종교·철학/유학]

    1491(성종 22)∼1554(명종 9). 조선 전기의 화가. 숙주 증손자, 종호의 아들이다. 1519년(중종 14) 현량과에 급제하였으나, 같은해에 로 인하여 파방되었다. 1521년 신사무옥 때 안처겸 사건에 연루되어 장흥으로 귀양갔다가 양주로 이배되었으며,

  • 윤구 / 尹衢 [종교·철학/유학]

    519년 때 삭직되었다. 저서로『귤정유고』가 있다.

  • 윤은필시장 / 尹殷弼諡狀 [정치·법제]

    조선 전기의 문신 윤은필(尹殷弼)에 대해 시호를 추증하기 위해 1910년(융희 4) 7월 상순 윤덕영(尹德榮)이 지어서 봉상시에 올린 시장. 이 시장은 당시 그의 언행을 추장하면서 시호를 내려줄 것을 청한 것으로, 약 400년의 세월이 흐른 뒤에 족속인 시종

  • 이겸 / 李謙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 노의 증손, 할아버지는 양춘, 아버지는 맹지, 어머니는 강사민의 딸이다. 1501년(연산군 7)에 진사, 1507년(중종 2)에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흥덕현감·장령·사성, 중화부사에 이르렀다. 1519년 때 장령으로서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