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기리고차” 에 대한 검색결과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 수레가 바로 거리를 잴 수 있게 만든 거리계차, 즉 였다 한다. 그 수레는 1리(里)를 갈 때마다 나무로 만든 인형이 북을 쳐서 거리를 알리게 만든 자동거리 측정용 수레였다. 이 수레의 측정원리는 오늘날의 자동거리계와 같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 한양성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眼式)으로 제작하였다. 산악평면도법(山岳平面圖法)‧백리척법(百里尺法)‧삼각측량법(三角測量法)‧법(法) 등을 응용하여 서운관(書雲觀)과 도화서(圖畫署)에서 제작하였다. 지도의 내용이 되는 서울의 범위는 도성 안의 문안과 교외 지역인 근교와 원교를 다...
  • 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현재 남아 있지 않다. 그러나 세종 때는 간의(簡儀) 제도가 완성되어 천체의 고도가 관측되면서 위도가, 천문용 시계인 혼천의를 통해 경도 측정이 가능하였다. 10리 간격으로 북을 치도록 제작된 ()는 정확한 거리의 측정을 가능하게 하였다. 조선 전...

고서·고문서(1)

  • 선포하게 하였다. 신사일 金公亮이 指南車․의 수리를 완성하였다. 임오일 吐蕃이 涇州를 노략질하였는데, 中尉 梁守謙에게 神策軍 4천명과 8鎮의 군사를 동원하여 구원하도록 명하였다. 을유일 魏博等州節度觀察使․光祿大夫․檢校司徒․兼侍中․魏博大都督府長史․上柱國․沂國公․食...
    권수구당서 권16 | 편명본기16 | 대표표제어목종_002

주제어사전(1)

  • / [과학기술/과학기술]

    조선시대 때 거리를 측정하던 수레. 세종 때의 도 그 바퀴의 둘레가 세종주척(世宗周尺) 18척이 되는 직경 119.15㎝의 양바퀴 초거로서 바퀴가 1백 번 회전할 때마다 나무인형이 북을 쳐 소리로 1리를 알리도록 만들었다. 물론 바퀴의 회전수는 톱니바퀴로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