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기로소” 에 대한 검색결과 55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28)

사전(354)

  • 수직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 ()에 소속된 문신 참하관(參下官, 특히 정7품)의 겸직. [내용] 정원은 2인이다. 1765년(영조 41) 내의 영수각(靈壽閣)에 봉안된 태조‧숙종‧영조의 입소 때에 쓴 어휘(御諱) 등 어첩(御帖)의 수...
  • 기로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에 등록된 전ㆍ현직 문신관료들을 위해 국가에서 베풀어주는 잔치. [내용] 매년 상사(上巳 : 음력 3월상순의 巳日, 혹은 3월 3일)와 중양(重陽 : 9월 9일)에 보제루(普濟樓)에서 큰 잔치를 열었다. 기로연에는 정2품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멸하고 향리에서 가렴주구하는 자가 나오게 되었다. 이러한 폐단을 막기 위해 기로의 거경숙위를 엄명하고 전함재추소(前銜宰樞所)를 따로 설치해 이들을 여기에 귀속시켰다. 1419년(세종 1) 2품 이상의 기로들이 전함재추소라는 명칭에 불만을 품고 ‘’나 ‘기로...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연로한 고위 문신들의 친목 및 예우를 위해 설치한 관서.
    정의조선시대 연로한 고위 문신들의 친목 및 예우를 위해 설치한 관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iroso | MR표기Kiros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정부(議政府) 영수각(靈壽閣), 기영관(耆英館), 기사도상첩봉안각(耆社圖上帖奉安閣) 기로국(耆老局), 기로사(耆老司), 기사(耆司), 기사(耆社), 기소(耆所), 완소(翫所), 치사(致仕), 전함재추소(前啣...
    상위어의정부(議政府) | 하위어영수각(靈壽閣), 기영관(耆英館), 기사도상첩봉안각(耆社圖上帖奉安閣) | 동의어기로국(耆老局), 기로사(耆老司), 기사(耆司), 기사(耆社), 기소(耆所), 완소(翫所), 치사기로소(致仕耆老所), 전함재추소(前啣宰樞所) | 관련어기로연(耆老宴), 기로회(耆老會), 기사경회록(耆社慶會錄), 기사경회첩(耆社慶會帖), 기사지(耆社志), 기신(耆臣), 기해춘기사일기(己亥春耆社日記), 기영회(耆英會)

단행본(1)

  • 국왕 숙종, 잊혀진 창업주 태조를 되살리다 [조선후기 왕실 사적 정비 연구 | 경상대학교]
    저자 : 윤정(진주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 | 출판사 : 여유당 | 출판일 : 2013.04.30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하다 (4) 북도 사적을 정비하기 시작하다 (5) 태조를 따라 에 들어가다 3. 숙종의 사업을 계승한 영조와 정조 (1) 영조, 경복궁 빈터에서 중흥을 꿈꾸다

고서·고문서(95)

  • 원당 수리비를 의성군 공전 중에서 지급하라는 훈령.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義城郡 1902년 公錢 중 10,000兩을 成冊하여 내려 보내니 지체없이 내어주되, 이것은 願堂 수리비로 사용될 것이므로 그 중요함이 다른 것과 다르니 명심해서 거행하고 지체하여 문제로 되는 일이 없도록 하라는 내용.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충주 화속세는 임금께서 에 사여한 세항인데, 승총으로 혼입되어 납부할 수 없게 되었으니 돌려받게 해달라는 의 감결에 따라, 그 화속세를 에 돌려주고, 이를 탁지부 세안에 기록하여 보고하고, 충주군수에게 전칙하여 돌려주도록 하라는 훈령.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의 甘結에 “ 소관인 忠州 火粟稅가 陞總(징세에 빠진 논을 稅簿에 기록하던 일)에 혼입되어 원래의 結을 끝내 책임지고 바칠 수가 없게 되었음. 그곳은 원래 (임금께서) 賜與하신 세항이므로 소홀히 할 수 없으니, 이 세항을 에 다시 속하게 하여 需用을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원래 충주 화속세는 임금께서 에 사여하신 세항인데, 승총으로 혼입되어 납부할 수 없게 되었으니 충주군수에게 훈령을 내려 돌려받게 해달라는 의 감결을 받고, 이를 돌려주고 세안에 기록하여 보고하라는 훈령.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의 甘結에 “ 소관인 忠州 火粟稅가 陞總(징세에 빠진 논을 稅簿에 기록하던 일)에 혼입되어 원래의 結을 끝내 책임지고 바칠 수가 없게 되었음. 그곳은 원래 (임금께서) 賜與하신 세항이므로 소홀히 할 수 없으니, 이 세항을 에 다시 속하게 하여 公納을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낙안군 소재 선소창고 6칸을 철거하여 순천군 송황사 원당역소에 이용하도록 했으니 그대로 시행하라는 훈령.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순천군의 1902년 결전 중 10,000량을 탁지부에서 먼저 거두고 훈척(영수증)을 보내주었는데, 이는 의 원당역소에서 쓸 것이니 시일을 지완할 수 없거늘, 아직 획송하지 않아서 역비가 군색한 지경에 이르렀기에, 훈령이 도착하는 즉시 수에 맞추어 획송하고 순천군 소재 북창고 네 칸을 역시 원당역소에 부속케 하고 그로 하여금 철훼하고 옮겨서 사용케 하였으니 속히 모두 준수하고 시행하라는 훈령.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기초학문(3)

  • 1744년(영조 20) 入所와《[甲子]進宴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종수, 게재일 : 2003
    13679 김종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3 1744년(영조 20) 入所와《[甲子]進宴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1719년(숙종 45년) 入所와 《[己亥]進宴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종수, 게재일 : 2003
    13098 김종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3 1719년(숙종 45년) 入所와 《[己亥]進宴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1902년(光武 6) 高宗의 入所와 《[壬寅]進宴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종수, 게재일 : 2004
    13493 김종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4 1902년(光武 6) 高宗의 入所와 《[壬寅]進宴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
    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75)

  • 뎐무관 오풍 吳在豐으로 궁...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뎐무관 오풍 吳在豐으로 궁부대신 관방쥬를 겸임고 뎐무관 리쳘우李哲宇로 쟝례원쥬를 겸임고 삼화감리셔쥬한용긔갈닌에 김급 金汲으로 임고 길쥬감리셔쥬 최긔쥰갈닌에 졍봉죠鄭鳳朝로임고 삼화감리셔쥬 박뎡규갈닌에 동감리셔쥬 리광욱李光昱으로...
    게재일1902년 5월 2일 | 기사분류관보
  • 진신유 복슈송쳥에셔 젼 판셔...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진신유 복슈송쳥에셔 젼 판셔 리졍로씨로 소슈 뎡엿다가 리씨가 참여치 못단말은 이왕 긔엿거니와 젼 특진관 리면상씨로 소슈 쳔뎡고 금명간 상소 밧친다더라
    게재일1900년 6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 륙조압 에 잇 존셩 소쳥 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륙조압 에 잇 존셩 소쳥 사들이 학부에 쳥원기를 소쳥부비가 과다니 십삼도에 훈령야 각각 슈렴야 소쳥 부비를 게여 달나고  시고을 각향교 근쳐에 투쟝 분묘를 져져히 굴이게 여 달나 엿다더라
    게재일1898년 10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향일에 즁츄원으로 헌의고 에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향일에 즁츄원으로 헌의고 에 모여 외부대신에게 질문 다니던 김명쥰 졍공명씨등은 일아 량공의 분할지셜노 졍부에 샹셔얏다더라
    게재일1900년 9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追人 耆社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에 로상 셩대영씨등 몃분이 에 입참고로 먼져 에든 로상이 다 로 회동엿다더라
    게재일1902년 6월 6일 | 기사분류잡보

주제어사전(28)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연로한 고위 문신들의 친목 및 예우를 위해 설치한 관서. ‘기(耆)’는 연고후덕의 뜻을 지녀 나이 70이 되면 기, 80이 되면 ‘노(老)’라고 하였다. 처음에는 경로당과 같은 친목기구의 성격을 띠었다. 그러나 1765년(영조 41)부터 독립관서가 되었는데,

  • 고종즉위40년칭경기념비 / 高宗卽位四十年稱慶紀念碑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에 있는 대한제국시대의 비. 1902년 건립. 총 높이 450㎝, 비신높이 250㎝, 너비 95㎝, 두께 40㎝. 사적 제171호. 고종의 즉위 40돌을 기념하고 아울러 51세가 되어 ()에 입사한 일을 기리기 위하여 세웠다.

  • 기사경회력 / 耆社慶會曆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문신·학자 서명응이 연회의 연유 및 이에 관한 하장·축사·참여 명단 등을 모아 엮은 관찬서. 먼저 책머리에 서명응의 서와 서례(序例)가 있다. 제1권은 「영수옥첩(靈壽玉牒)」으로 이것은 안에 설치되었던 영수각에 보관한 태조·숙종·영조의 어첩을

  • 수직관 / 守直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에 소속된 문신 참하관(특히 정7품)의 겸직. 정원은 2인이다. 근무일수가 900일이 차면 종6품에 승자되었다. 그리고 직제상 에 소속되기는 하나 그 기능은 기로들에 관련된 예우를 담당한 비서장(祕書長)·전무관(典務官)·녹사(錄事)와는 달리 태

  • 기사지 / 耆社志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문신·학자 홍경모가 의 전반에 관한 사항을 엮어 1849년에 저술한 관찬서. 의 설치 연혁, 에 입사한 인물, 고사 등을 비롯해 관련 제반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영조대 이후 중앙의 중요한 관서에서 각각 지가 만들어졌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