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대승”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9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8)
사전(210)
- 奇大升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0231 奇大升 인물 理氣格致 明宗戊午 都下 明彦, 遵, 高峯, 退陶, 退陶 D_02_01_32 대동운부군옥 2권 1장 32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권 1장 3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기대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명종실록(明宗實錄)』 『선조실록(宣祖實錄)』 『고봉집(高峯集)』 기대승 유허비 광주 광산군 임곡면에 있는 조선 중기의...이칭별칭 명언(明彦)| 고봉(高峯), 존재(存齋)| 문헌(文憲)
- 송정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557년(명종 12)에는 기대승(奇大升) 밑에서 수학하였다. 1545년(명종 즉위년)에 향시에서 장원을 하였으며, 1555년에 사마시에서 일등으로 합격하였다. 1556년 별시에 급제하여 괴원(槐院)에 발탁되었으나 윤원형(尹元衡)의 미움을 받아 교서...이칭별칭 천경(天擎)
- 기효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효근(孝謹)의 형이다. 김인후(金麟厚)ㆍ이항(李恒)의 문인이며, 기대승(奇大升)의 문하에도 출입하였다. 일생 동안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하였으며 후진양성에 주력하여 호남의 은덕군자(隱德君子)로 불리었다. 특히, 김인후가 그에게 지어준...이칭별칭 백고(伯顧)| 금강(錦江), 인재(忍齋)
- 정운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옥(朴光玉)의 딸이다. 기대승(奇大升)의 문인이다. [내용] 학행으로 천거되어 참봉에 제수되었으나 사퇴하고 학문에 전념하였다. 장성현감 이계(李0x9940)는 학교를 세워 그를 선생으로 초빙하여 선비들을 가르치게 하였다. 정여립(鄭汝立)과도 친분이 있었으...이칭별칭 경우(慶遇)| 하곡(霞谷)
고서·고문서(55)
- 八月, 奇大升棄官而歸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九 經筵日記二 52 八月, 奇大升棄官而歸 29_207_013.jpg ○ 八月, 奇大升棄官而歸。 大升氣高一世, 眼無强禦, 意謂可以聳動一世, 皆從指嗾, 而在朝言多不合。 自上無眷重之意, 大臣亦不推重, 乃決意歸鄕。 ○王子鎭國生, 淑儀金氏出也。 ○遣右議...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기대승(奇大升)의 『고봉집(高峯集)』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고봉집』은 3권의 시문과 「논사록」 2권 등 모두 5권 5책으로 되어 있다. 서문은 張維와 張顯光이 썼는데, 장유는 기대승이 처음에는 김인후를 종유하다가 이황의 수제자가 되었다고 하였고, 장현광은 퇴계가 斂藏謙退‚ 淸修高節하다면 기대승은 超揚發越‚ 直截峻特하다고 평...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 고봉선생문집(高峯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고봉선생논사록(高峯先生論思錄)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四月, 朴淳謝病遞贊成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九 經筵日記二 52 四月, 朴淳謝病遞贊成 29_207_008.jpg ○四月, 朴淳謝病遞贊成, 以鄭大年拜右贊成。 ○奇大升以大司諫承召入京。 大升與大臣不協退歸, 至是歸 歸: 대규에는 “還”.朝。 ○旱凡三月而始雨。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기초학문(2)
- 中節의 문제로 고찰한 고봉 기대승의 도덕 감정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홍성민, 게재일 : 201466108 홍성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연구소 2014 中節의 문제로 고찰한 고봉 기대승의 도덕 감정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유형논문 | 게재일2014
- 고봉 기대승의 낙향과 삶으로서의 철학-비애의 정조를 넘어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269826 한국연구재단 한국인물사연구소 2012 고봉 기대승의 낙향과 삶으로서의 철학-비애의 정조를 넘어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유형논문 | 게재일2012
기타자료(1)
- (한국교육의 맥12) 고봉 기대승과 월봉서원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한국교육의 맥12) 고봉 기대승과 월봉서원 (한국교육의 맥12) 고봉 기대승과 월봉서원 (한국교육의 맥12) 高峯 奇大升과 月峯書院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통사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최완기 | 사료철명교육월보
연구과제(1)
-
이익(李瀷)의 『사칠신편(四七新編)』 번역
한국 학술 번역사업 | 백영선 | 성균관대학교 | 2022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24)
-
기대승 / 奇大升 [종교·철학/유학]
1527-1572. 조선시대의 성리학자. 1558년 과거 급제하여 사관이 되었다. 32세에 정지운, 이황과 <태극도설>을 논하고, 이황과 사칠논변을 통하여 사상적 체계를 완성시켰다. 정지운의 <천명도>는 호씨설에서 나왔고, 이황의 사칠론은 <주자어류>에 지나치게 의존
-
기대승종가소장문적 / 奇大升宗家所藏文籍 [언론·출판/출판]
조선전기 문신·학자 기대승의 종손가에 소장된 유학서. 종가유물.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2호. 조선 중기의 학자 기대승의 종손가에 소장된 고문서와 전적(典籍) 7종 18점으로, 분재기(分財記) 3점·전적 3점·명문(明文) 6점·시권(試券) 3점·상소(上疏) 1점·
-
고봉선생문집 / 高峯先生文集 [언론·출판/출판]
집부(集部) - 별집류(別集類) 기대승(奇大升) 저, 석인본, 간사년 미상, 15권 11책. 구성은 문집(文集) 3권 3책, 논사록(論思錄) 2권 1책, 이기왕복서(理氣往復書) 2권 1책, 왕복서(往復書) 3권 3책, 속집(續集) 2권, 부록(附錄) 1권(합 3권)
-
기언정 / 奇彦鼎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6∼?). 명종 때 유명한 성리학자인 기대승의 후예로 그 후광을 입어 1782년(정조 6)에는 당상관으로 특별히 초자되어 승정원동부승지가 되었으며, 성리학에 심취하여 관계서적을 조석으로 암송했으며, 이런 자세는 그의 조상인 기대승을 방불하게
-
논사록 / 論思錄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학자 기대승이 경연에서 강론한 내용을 가려 모은 책. ≪고봉집≫ 속에 실려 전한다. ≪고봉집≫은 원래 5책으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그 중 제4책과 제5책이 <논사록>이다. 저자가 세상을 떠난 다음에 선조가 기대승이 경연에서 강설한 통치의 이념을 잊을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