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기도설”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6)
사전(27)
- 기기도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히 밝혀져 있지 않으나 실학자 정약용(丁若鏞)은 그가 1789년 한강에 배다리를 놓을 때와 1792년 수원에 성을 쌓을 때 기중기를 고안하여 공사를 크게 도왔는데, 이때 그는 ≪기기도설≫을 참고하여 기중기를 만들었다. 정조가 직접 이 책을 정약용에게 준 것으로 기록되어...
- 기기도설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7세기 초 스위스 선교사 테렌즈(Terrenz, J., 鄧玉函, 1576-1630)가 중국에서 펴낸 서양기계의 소개서.정의17세기 초 스위스 선교사 테렌즈(Terrenz, J., 鄧玉函, 1576-1630)가 중국에서 펴낸 서양기계의 소개서.[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Gigi doseol | MR표기Kigi tosŏ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원서기기도설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7세기 초 스위스 선교사 테렌즈(Terrenz, J., 鄧玉函, 1576-1630)가 중국에서 펴낸 서양기계의 소개서.정의17세기 초 스위스 선교사 테렌즈(Terrenz, J., 鄧玉函, 1576-1630)가 중국에서 펴낸 서양기계의 소개서.[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Wonseo gigi doseol | MR표기Wŏnsŏ kigi tosŏ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거중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리게끔 되어 있다. 1627년 야소회(耶蘇會) 선교사인 테렌츠(Terrenz, J., 鄧玉函)의 ≪기기도설 奇器圖說≫과 명나라의 왕징(王徵)이 저술한 ≪제기도설 諸器圖說≫에 영향을 받아 제작된 것으로 생각된다. 조선 후기 실학파의 이용후생적(利用厚生的)인 학풍을...
- 規髀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P4_O_0004 規髀 제작도구 規髀, 畫圓方, 矩, 弧, 直, 繩, 銅鐵, 打圓術, 竹片, 算學者, 根發子, 畫橢圓法 我東, 長崎 李之藻 渾蓋通憲, 周髀經, 幾何原本·界說, 和漢三才圖會·百工具, 遠西奇器圖說, 李家圖書約, 繪橢圓圜圖說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0권 18장 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7)
- 答李節度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nk?DCI=ITKC_MP_0597A_0190_010_0360_2014_004_XML 004 來諭船輪之制,茅《志》所圖雖如許,鄙人嘗見內閣所藏《奇器圖說》,凡踏轉之輪,其形多如收絲籰子,此中偶有一冊,其中〈轉磨第六圖〉,其踏輪政如收絲籰子。故出示金裨,金裨亦曰:“輪形如此,則其激...권차명文集 卷十九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利用監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起重之法便利,則用力少而臺榭ㆍ隄防堅。此所謂來百工,則財用足也。然百工之巧,皆本之於數理,必明於句ㆍ股ㆍ弦,銳ㆍ鈍角相入相差之本理,然後乃可以得其法。苟非師傳曹習,積有歲月,終不可襲而取之也。臣 於先朝,校書奎瀛府,內下《圖書集成ㆍ考工典》第二百四十九卷,卽〈奇器圖說〉彙編者也。其後又見奎章閣檢書官...권차명經世遺表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作爲農器,以勸民耕,作爲織器,以勸女功,牧之職也。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盡室脇息之勞除矣。風磑ㆍ輪激之制講,則其運水激水,不難矣,颺車ㆍ攪車之制講,則其去塵去核,不難矣。挽繩代耕之制講,則牛疫不足畏也。斯皆民牧之責,不可忽也。其制並詳於《儀象志》ㆍ《武備志》ㆍ《奇器圖說》諸書,今姑略之。 茯菴李基讓奉使入燕,購剝棉攪車一輛,獻之。先大王令五營門,各依樣制造,頒于八路。旣...권차명牧民心書 卷十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起重圖說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力,以之爲輪爲旋,使之相通相撥,卽小孩一腕之力,可起累鉅萬之重,萬萬非常慮所能測也。然役小物輶,何用焉?姑取其粗淺易知者,聊試之矣。茲開列作圖如左,一曰架,二曰橫梁,三曰滑車,四曰簴簴,安鼓輪ㆍ轆轤而其用全矣。 臣謹按,內降《奇器圖說》所載起重之法,凡十一條,而皆粗淺,唯第八ㆍ第十ㆍ第十一圖,頗爲精...권차명文集 卷十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川流逕縣,鑿渠引水,以漑以灌,與作公田,以補民役,政之善也。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鄕之賴而已。○鑿渠,必先截流。截流者,洪也。【編竹截流,以取魚謂之篊,其義相類】 呂梁洪ㆍ百步洪,皆截流之名,俗謂之防洑,非矣。【音義訛】 凡截流之法,須用大石,乃能水潦不致崩潰。凡大石之運,必用起重諸法。【見〈奇器圖說〉】 先自石所平治其道,抵于截流之處,作游衡車數輛,以運其石,其載石卸石,皆用起...권차명牧民心書 卷十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기초학문(2)
- 『기기도설(奇器圖說)』의 기술도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형민, 게재일 : 200728248 정형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과학사학회 2007 『기기도설(奇器圖說)』의 기술도 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유형논문 | 게재일2007
- 17세기 중국의 기계와 역학에 대한 관념: 王徵의 『奇器圖說』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영식, 게재일 : 200628249 김영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과학사학회 2006 17세기 중국의 기계와 역학에 대한 관념: 王徵의 『奇器圖說』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유형논문 | 게재일2006
주제어사전(2)
-
기기도설 / 奇器圖說 [과학/과학기술]
테렌즈(Terenz,J., 鄧玉函)가 16세기까지의 서양기술을 최초로 중국에 소개한 책. 테렌즈는 1618년 중국에 들어와 활약했던 스위스 출신의 예수회 선교사이다. 『기기도설(奇器圖說)』은 1627년 북경에서 처음 출간되었다. 역학(力學)의 기본원리를 소개하였는데,
-
거중기 / 擧重機 [과학/과학기술]
) 선교사인 테렌츠(Terrenz, J., 鄧玉函)의 ≪기기도설 奇器圖說≫과 명나라의 왕징(王徵)이 저술한 ≪제기도설 諸器圖說≫에 영향을 받아 제작된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