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74,75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55,683)
사전(152,262)
- 氣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D1_D_0059 氣 유교 騰上墜下, 天, 圜轉不息, 地, 形, 確在中間, 氣之性動, 也形之質, 形之質重 徐花潭原理氣說 D_16_06_26 대동운부군옥 16권 6장 26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6권 6장 2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崎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C6_D_0051 崎 산림 曲岸 D_02_02_31 대동운부군옥 2권 2장 31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권 2장 3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沂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C7_D_0041 沂 하천 D_02_02_46 대동운부군옥 2권 2장 46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권 2장 4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几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P1_I_0034 几 일상도구 几銘 黃帝 I_01_23_23 만국사물기원역사 1권 23장 23절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수록위치1권 23장 2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蟣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R1_D_0305 蟣 동물 蝨 D_09_05_05 대동운부군옥 9권 5장 5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9권 5장 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439)
- 산업기술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저자 : 유동우 ... | 출판사 : 해남 | 출판일 : 20230331한국의 경제발전은 산업기술의 습득과 긴밀한 연관을 가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 책에서는 한국의 경제발전을 한국 산업기술의 습득과 연계하여 살펴보고자 합니다. 초기 한국의 산업기술은 발전이라는 단어보다는 습득이라는 단어가 보다 적절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산업기술 발전을...
- 대승기신론소별기 주석 [중국 강서성 한국학 교육시스템 구축 사업 | 南昌大學 (Nanchang University)]저자 : 謝飛 ... | 출판사 : 학자원 | 출판일 : 20241231釋於《大乘起信論》之《疏》,振古[ 振古:自古。《詩經·周頌·載芟》:“匪今斯今,振古如茲。”《文選·左思·魏都賦》:“兆朕振古,萌抵疇昔。”]凡有三品:曰法藏、曰慧遠[ 慧遠:淨影寺沙門慧遠。]、曰元曉,世謂之本《論》三師。就中,先二《疏》行於世年已尚矣,是機緣方熟也。今斯《疏》唯䎹[ 䎹:《玉篇...
- 记忆与再现 [중국내 한국학 정착을 위한 선택과 집중의 한국학교육연구시스템 구축 -이문화(異文化)간 상호 교섭과 인식의 한국학 정립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저자 : 李海英... | 출판사 : 上海交通大学出版社 | 출판일 : 20160601유형단행본
- 기억과 재현 [중국내 한국학 정착을 위한 선택과 집중의 한국학교육연구시스템 구축 -이문화(異文化)간 상호 교섭과 인식의 한국학 정립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저자 : 김재용 ... | 출판사 : 역락 | 출판일 : 20150701분야교육 | 유형단행본
- 토기와 도자기: 한국 도자기 문명사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발간 (3단계) | 전북대학교]저자 : 김종일, 권오영, 장남원, 한혜선 ... | 출판사 : 들녘 | 출판일 : 20220428한국의 토기와 도자기문화의 발전 과정을 기존과는 다른 시각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성형기법, 산지 추정, 사회적 기능 및 역할과 고유의 미감을 포착하는 것과 관련한 기존의 연구와 달리, 문명사적 관점에서 토기 및 도자기 제작기술이 여타 다른 분야의 제작에 끼친 영향에 대...
논문(439)
- 청동기시대 석기 분류 [동북아 기후변화 맥락에서 본 한국 선사시대 도구문화의 추이 | 충북대학교]저자 : 손준호 | 게재정보 : 歷史學硏究
- 호남문집 소재所載 일기류 자료의 현황과 가치 [호남문집 소재(所載) 일기 연구 | 전남대학교]저자 : 김미선 | 게재정보 : 국학연구
- 기자 관련 상주청동기 명문과 기자동래설 [고조선 관련 상주금문 연구 | 고려대학교]저자 : 박대재 | 게재정보 : 선사와 고대 32권, 게재일 : 2010.06분야정치‧법제 | 유형논문
- 신석기시대의 기후 변동과 석기 조성의 변화 [동북아 기후변화 맥락에서 본 한국 선사시대 도구문화의 추이 | 충북대학교]저자 : 이기성 | 게재정보 : 한국문화연구
- 한류를 파도 타기 [UCSD 트랜스내셔널 한국학 프로그램”의 구축 | University of California at San Diego (UCSD)]저자 : Dredge Byung’chu Kang | 게재정보 : Visual Anthropology
고서·고문서(390,787)
- 기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기 주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오상현(五常县) 안가향 영서5대 조선툰 3 3 기, 마련, 간절, 힘써, 주시기, 좋은소...대표표제어기 | 성씨주
- 脚氣上氣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鄕藥集成方 第十一 傷寒門 脚氣上氣 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202 脚氣上氣 【聖惠方】論曰夫脚氣上氣者由腎虛爲風濕毒氣所攻也風毒之氣皆起於地地之寒暑皆作於蒸人足常履之所以風毒中人必先於脚後轉入腹而乘於氣故令上氣也【聖濟總錄】治脚氣上氣悶絶者開胃口令人能食 生...서명鄕藥集成方 | 저자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기(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역사-역사기록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역사기록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기름기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기름기 김 남자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심하구(沈河区) 3 3 기름기, 스프링옷, 심양, 중국사람들, 구경군,대표표제어기름기 | 성씨김
- 기러기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기러기 남 남자 함경북도 회령시 요녕성(辽宁省) 안산시(鞍山市) 철서구(铁西区) 북도관가23위11조1-47 2 2...대표표제어기러기 | 성씨남
구술자료(20,853)
- 기와밟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와 밟기’가 끝나면 설소리꾼이 ‘몰자몰자 덕석몰자’를 부르면 나머지 놀이꾼들은 이를 따라 부르면서 일어서서 또 다시 손을 잡고 선두를 따른다. 그러면 선두는 왼쪽으로 원을 그리며 도는데 여타의 놀이꾼들은 멍석을 말 듯 차례로 똘똘 말아간다. 다 말아지면 설소리...조사일시1984-10-25 | 조사장소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 제보자박양애
- 얘기 뙤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옛날 노래를 골똘히 생각하다가 조사자의 말에 기억해내서 부른 노래다.*조사일시1984-07-18 | 조사장소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 제보자이난자
- 기와 밟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장소전라남도 화순 | 제보자이초순
- 기와 밟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장소전라남도 강진 | 제보자이선옥
- 기러기 줄이 기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들이 새 쫓는 소리를 요청하자 그것보다는 기러기가 날아가는 모습을 보고 부르는 소리가 있다면서 이 노래를 하였다. 이 노래를 부르면 기러기들이 더 쭉 늘어서서 날아간다고 한다. 노랫말이 아주 특별한 자료이다.조사일시2009.04.17 | 조사장소김포시 하성면 전류1리 189번지 | 제보자송을회(여,75세)
기초학문(26,835)
- 19세기 차기체 필기의 글쓰기 양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진재교, 게재일 : 200731983 진재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한문학회 2007 19세기 차기체 필기의 글쓰기 양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유형논문 | 게재일2007
- 『기기도설(奇器圖說)』의 기술도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형민, 게재일 : 200728248 정형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과학사학회 2007 『기기도설(奇器圖說)』의 기술도 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유형논문 | 게재일2007
- 기업투명성과 기업가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헌준, 게재일 : 200621977 박헌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경영학회 2006 기업투명성과 기업가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유형논문 | 게재일2006
- 한국 기업집단 기술혁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홍재범, 게재일 : 200725639 홍재범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자료분석학회 2007 한국 기업집단 기술혁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유형논문 | 게재일2007
- 고난의 역사를 기억하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일환, 게재일 : 200308925 김일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국대학교한국문학연구소 2003 고난의 역사를 기억하기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유형논문 | 게재일2003
신문·잡지(139,670)
- 豈其然乎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씨가 한국졍부에 쟝 교셥다니 이말이 과연이면 근에 일대건이라 일본이나 각국에셔 잠잠이 잇슬 리가 만무야 각기항구 달나면 국졔상에 큰분경이 기리라 엿시니 한셩긔쟈가 분명 징거 보앗는지 알슈는 업거니와 이는 한셩졍계에 야 무근말로 큰풍파 이르킴...게재일1902년 10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 起復拘忌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신임 부디방국쟝 현은씨 방금쵸토즁에 잇고로 긔복령이 반포되지못야 아즉 슈칙도안이얏 동씨의 긔복령은 쳔츄경졀달에 구긔되야 음력본월안에 반포가되지못다더라게재일1907년 4월 3일 | 기사분류잡보
- 解頤機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법국 리학자 가라 사이 사의 울고 웃 리치를 여러 연구다가 작년에 뎐긔를 류동야 사이 스로 웃계야 아모리 셩 자라도 그 긔계를 리용면 우슴이 나가계 긔계를 발명 얏다더라게재일1907년 5월 21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勢居其優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항셜를 들은즉 농상대신 송병쥰씨가 춍리대신를 피임다 도잇고 금번신협약에 각대신즁에도 모대신이 뎨일유공 에 셰력이 가쟝 큰고로 각대신이 모다 대신의 지휘를 죳차 졔반항을 쳐리다더라게재일1907년 8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金氣己盡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젼군슈 권모의 별실 아모 여러 동거야 져간에 여러고을로 옴겨단이며 관황즁에셔 돈도 만히먹은터이오 권씨가 거의 공포를 진것도 그별실의 탁으로 만히들어간것인 근쟈에 권씨가 무력야 슈업디경이 된것을보고 점점박가 심더니 슈일젼에 그별실이슐을대취고 권...게재일1907년 10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13,039)
- 15세기 중반 기러기젓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146_토공_15세기_중반_기러기젓 경제_201_토공_1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8세기 중반 기우단 지리 제도 근현대 문화 사묘 통계도 도형표현도 전국 군현 1:4,000,000 18세기 중반 기우단 개수 없음 여지도서 없음 문화_033_18세기_중반_기우단 문화_033_18세기_중반지도유형통계도 | 자료원여지도서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5세기 중반 기본성 지리 제도 근현대 사회 성씨 통계도 단계구분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망)토성;(망)촌성;외성;외촌성;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사회_036_15세기_중반_기본성지도유형통계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6세기 초반 기장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6세기 초반 O/X 없음 신증동국여지승람 없음 경제_662_16세기_초반_기장 경제_717_16세기_초반_기장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신증동국여지승람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마산에서 열린 새마음 갖기 경상남도민 궐기대회에 구국여성봉사단 명예총재 박근혜가 참석했다.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77년 4월 25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연구결과보고서(94)
- 묵재일기(默齋日記)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 동아시아 속의 한국고대사 비교사료학 기초 연구: 구당서 본기를 기본 텍스트로 [동아시아 속의 한국고대사 <br>구당서 본기를 기본 텍스트로</br> | 동국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 16세기 星州지역 기층민의 通過儀禮와 의식세계 결과보고서 [16세기 星州지역 기층민의 通過儀禮와 의식세계 | 서울대학교]자료유형연구보고서
- 한국 중세고고학기초자료 DB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기타자료(111,265)
- 기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기구 기구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잡지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사료철명제주교육
- 기원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기원 기원 교육 문헌 초등교육 교사문화 잡지 최일목범주1초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최일목 | 사료철명교육경남
- 기수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기수 기수 교육 문헌 중등교육 학생생활 잡지 정송화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정송화 | 사료철명교육경남
- 금기기선;金崎基先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6527 남한 충남 공주고등보통학교 2-06 졸업대장(충남공주고등학교) n.r. 67-1면 금기기선;金崎基先 제15회 1940년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공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후기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후기 후기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잡지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사료철명강원교육
연구과제(856)
-
조선후기 문헌
한국 학술 번역사업 | George Kallander | Syracuse University | 2013 | 국외 | 해외
-
조선시대 주거문화를 선도한 궁궐 밖 왕실주택 - 궁가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정정남 | 경기대학교 | 2011 | 국내 | 경기
-
일제 식민지기 이왕직(李王職)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왕무 | 경기대학교 | 2019 | 국내 | 경기
-
조선 후기 전각(篆刻) 예술의 보편성과 특수성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성인근 | 경기대학교 | 2023 | 국내 | 경기
-
Korean Democracy : From Birth to Maturity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신기욱 | Stanford University | 2007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18,215)
-
기 / 記 [문학/한문학]
한문체의 하나로 기사문. 우공(禹貢) ‘고명(顧命)’이 기(記)의 시조(始祖)이고, 기(記)라는 명칭은 ‘대기(戴記)’, ‘학기(學記)’ 제편(諸篇)에서부터 비롯되었다. 한(漢) 이전에는 드물게 쓰다가 당(唐)부터 많이 쓰였다.
-
기 / 記 [문학/한문학]
한문문체의 하나. 사물을 객관적인 관찰과 동시에 기록하여 영구히 잊지 않고 기념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을 두는 글이다. 옛사람이 기(記)라고 이름을 한 문장은 너무나 광범하여 일체의 기사문(記事文)과 기물문(記物文)을 포괄하고 있다. 현존하는 기의 문장을 분석하면 인물
-
기거랑 / 起居郎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낭사의 종5품 관직. ≪고려사≫ 백관지에 문하부(중서문하성)는 백규(百揆)의 서무를 관장하고 그 낭사는 간쟁과 봉박을 관장하였다고 보이듯이, 중서문하성은 크게 2품 이상의 성재(省宰)와 3품 이하의 낭사로 구분된다.
-
기곡잡기 / 基谷雜記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한경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6년에 간행한 시문집. 1836년(헌종 2) 한경리의 외손인 최한기(崔漢綺)가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자서 2편과 권말에 최한기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48수, 만(挽) 11수, 서(書) 6편, 서(序) 5편, 권
-
기기도설 / 奇器圖說 [과학/과학기술]
테렌즈(Terenz,J., 鄧玉函)가 16세기까지의 서양기술을 최초로 중국에 소개한 책. 테렌즈는 1618년 중국에 들어와 활약했던 스위스 출신의 예수회 선교사이다. 『기기도설(奇器圖說)』은 1627년 북경에서 처음 출간되었다. 역학(力學)의 기본원리를 소개하였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