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급주전” 에 대한 검색결과 2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

사전(1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강원도의 급주노에 대하여 3정(丁)을 1호(戶)로 편성하고 각 호에 50부(負)씩의 토지를 지급한다 하였고, 다시 1425년에는 각 호에 1결씩이 이미 지급되어 있다는 기록이 보인다. 그런데 『경국대전』에는 그 규모가 축소되어 각 역마다 50부씩을 지급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역전(驛田) 급주노비구분전(急走奴婢口分田) 전운노비구분전(轉運奴婢口分田), 부장전(副長田) 경제재정/전세 법제 정책 대한민국 조선 이장우 [정의] 역에 소속되어...
    상위어역전(驛田) | 동의어급주노비구분전(急走奴婢口分田) | 관련어전운노비구분전(轉運奴婢口分田), 부장전(副長田)
  • 각자수세(各自收稅)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각자수세 각자수세 各自收稅 사자수세(私自收稅), 공해전(公廨田), 사전(寺田), 아록전(衙祿田), 공수전(公須田), 도전(渡田), 숭의전전(崇義殿田), 수부전(水夫田), 장전(長田), 부장전(副長田), () 경제재정/...
    관련어사자수세(私自收稅), 공해전(公廨田), 사전(寺田), 아록전(衙祿田), 공수전(公須田), 도전(渡田), 숭의전전(崇義殿田), 수부전(水夫田), 장전(長田), 부장전(副長田), 급주전(急走田)
  • 늠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주‧현의 아록전‧공수전, ② 각 역의 공수전‧장전(長田)‧부장전(副長田)‧()‧마위전(馬位田), ③ 좌우 수참(水站)의 아록전‧수부전(水夫田), ④ 각 원(院)의 원주전(院主田), ⑤ 각 도진(渡津)의 아록전‧진부전(津夫田), ⑥ 각 능의 수릉군전(守陵軍田)...
  • 역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田) 1결 50부(負)를, 역노(驛奴)의 인위전으로는 () 50부씩을 지급(긴요한 역에는 50부를 가급)한다. ③ 역마(驛馬)의 사육용 재원인 마위전(馬位田)으로는 대마(大馬)에 7결, 중마(中馬)에 5결 50부, 소마(小馬)에 4결씩을 지급(...

고서·고문서(13)

  • 《經國大典》曰:“馬田ㆍ院田ㆍ津夫田ㆍ氷夫田ㆍ守陵軍田,則自耕無稅。” ○“諸司菜田ㆍ內需司田ㆍ惠民署種藥田,竝無稅。” ○“寺田ㆍ衙祿田ㆍ公須田ㆍ渡田ㆍ,則各自收稅。”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120 經世遺表 卷七 ITKC_MP_0597A_1120_020_0070 《經國大典》曰:“馬田ㆍ院田ㆍ津夫田ㆍ氷夫田ㆍ守陵軍田,則自耕無稅。” ○“諸司菜田ㆍ內需司田ㆍ惠民署種藥田,竝無稅。” ○“寺田ㆍ衙祿田ㆍ公須田ㆍ渡田ㆍ,則各自收稅。”...
    권차명經世遺表 卷七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22996 B022996 고금도 古今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正祖 3年 1月 22日_009 ○又以刑曹言啓曰, 年例貢銅, 前戶判出擧條申飭後, 不爲擧行, 任譯所負債人, 待捉來一體擧行事, 頃已草記, 蒙允矣。 任譯及負債人等, 今纔捉來, 依前傳敎, 任譯朴道洵洪忠道舒川...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吹鍊.○鑄錢所監官二員, 計士中, 差出, 掌本所會計文書.○各司分差, 宣惠廳三員, 均役廳․兵曹各二員, 粮餉廳․禁衛營․御營廳各一員, 一年交遞, 掌錢糓出入․廩布籌計.○收稅所 纛島, 計士二員, 前㘅中, 差出, 掌流下木物什一收稅, 解氷後入直, 凍氷則撤直.
    출처전거萬機要覽 | 지역분류서울특별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軍需雜物輸運等事, 專賴於此, 故諸上司及各衙門, 亦不得任意侵及, 頃者因京畿監司狀啓, 諸衙門柴草輸運次, 各邑船隻, 竝爲置簿於本營, 使之輪回分定, 而廣州境內諸船, 亦在其中矣。 本廳火器打造時所用炭千餘石, 今方貿置於水上, 而爲京營所操切, 不得運下, 事極狼狽。 若不變通, 則...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以置。 而許多米石, 猝難貿置, 軍餉虛留, 誠爲未安。 賑廳米一萬石, 若以官賣, 定式許賣, 則似合於共濟之道, 敢達。 上曰, 賑廳堂上, 進言, 可也。 李箕鎭曰, 賑廳儲穀, 將以備水旱。 而朝家爲救海溢被災之民, 旣許三萬石, 減價發賣, 今又賣萬石, 豈非可悶? 雖今年年事, 亦...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각 역에 소속된 급주노에게 주어진 토지. 급주노는 역노(驛奴)로 충원되는데, 공무의 수행상 여행하는 관인의 역마를 견인하거나 긴급한 공무의 전달을 맡는 자였다. 은 민전(民田) 위에 설정되어 해당 결·부의 수만큼의 세를 급주노가 스스로 거둬들이는 이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