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급사” 에 대한 검색결과 3,85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815)

사전(58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의 이속(吏屬). [내용] 액정국(掖庭局)에 3인이 배속되었다. 관인들에게 분급되어 주로 호종(扈從)을 담당하였는데, 관인 행차시 정리(丁吏)가 앞에 서고 는 수건과 병 및 딸린 물건을 가지고 뒤를 따랐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동반 종8품 토관계(土官階)의 위호(位號). [내용] 직무랑(直務郎)이 받는 관계이었다. 영흥부(永興府)의 전례서(典禮署)ㆍ전주국(典酒局)에 각각 1원, 평양부의 전례서ㆍ전주국에 각각 1원, 영변대도호부ㆍ경성도호부(鏡城都護府)의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문관의 위계제도. [내용] 1076년(문종 30)에 문산계 29계 중에서 제22계인 정8품의 상계(上階)로 설정되었다. 이 명칭은 충렬왕 때까지 존속하였다. → 문산계 『고려사(高麗...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종4품 관직. [내용] 문종 때에 인원을 1인으로 정하였고, 뒤에 중사(中事)라고 고쳐 불렀다. 1298년(충렬왕 24)에 충선왕이 다시 중으로 개칭하였으나, 1308년에 직제를 파하였다. 1352년(공민왕 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위를 받아 관제를 개혁할 때 종정시로 고쳤다. 그 뒤 1310년(충선왕 2)에 다시 종부시로 개칭하였다. 내는 종5품의 승(丞)과 더불어 전중성 내지 종정시의 실무를 맡고 있었다. 『고려사(高麗史)』

고서·고문서(2,373)

  • 鄕藥集成方 第六十五 産後腹痛痢 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354 産後腹痛痢 婦人大全論曰産後腹痛痢者何答曰産後腸胃虛怯寒邪易侵若未滿月飮冷當風乘虛襲留於脂膜散於腹脅故腹痛作陣或如錐刀所刺流入大腸水穀不化洞泄腸鳴或下赤白腹脅䐜脹或痛走不定若醫者以爲積滯...
    서명鄕藥集成方 | 저자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經史門5_罰不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罰不 孥戮, 非大聖人之制. 舜罰不, 賞延于世, 以是爲稱, 則恐前世或不然, 舜特改之也. “天下之生, 久矣, 一治一亂”, 何物不有? 聖人之心, 鑑空衡平, 見理而不見物, 雖父子之間, 可罪而罪之, 惟懼無罪而濫及. 然賞旣延世, 則罰亦有之理. 凡常情, 顧戀妻子, 賞延...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二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經史門6_四如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四如 宋 徽宗時, 有李鄴者, 使金還言: “金人上馬如龍, 步行如虎, 渡水如獺, 登城如猿.” 以其張皇虜勢, 時號爲“四如”. 以今揣之, 其說誠是. 使敵之道, 探其實形爲得, 見其强而言其弱, 可乎? 此宋之所以益陷也.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三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공주 무령왕릉 출토 '使'명 塼 [국내외 출토 한국 고대 역사자료의 총집성과 통합 DB 구축 | 동국대학교]
    136공주 무령왕릉 출토 '使'명 塼전면.jpg 전체.jpg [1면]  使대한민국6세기 초전길이 36.1cm.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송산리고분군(무령왕릉)충청남도 공주시 관광단지길34(국립공주박물관)현실 남벽 아치 청정 부분에 사용된 것으로, 횡단면이 사다리꼴을
    연대6세기 초 | 서체. | 소재지충청남도 공주시 관광단지길34(국립공주박물관) | 자료문의동국대학교 윤선태 교수
  • 詩帖付聖節使, 呈中朝(王)中【幷序】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二 詩 下 157 詩帖付聖節使, 呈中朝(王)中【幷序】 02_085_081.jpg 詩帖付聖節使, 呈中朝(王)中【幷序】 中: ‧시규1‧초국2‧중규1‧ 중규2에는 뒤에 “敬民”이라는 성명이 있고 “幷序”는 없음. 儆吾王先生奉帝命來宣德音, 珥...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구술자료(11)

  • 병에 맞아 죽었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청중 한 명이 “옛날얘기가 많이 있거든 많이 들려주라니께네.”라고 하며 많은 청중들이 이야기를 구연할 것을 독려했다. 그러자 바로 이향자씨 가 “지금은……”이라고 하며 운을 떼고는 곧 이야기를 구연했다.
    조사일시2011. 2. 09 (수) | 조사장소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죽변 3리 마을회관 | 제보자이향자
  • 잡았다. 섬사람들은 절을 지은 음력 9월 9일을 기념하여 향을 피우고 공양을 올린다. 절도, , 고래, 절, 향, 기도, 사당, 풍어, 누구엔티미두이엔, 베트남, 강원도, 횡성군, 신이체험담, 생애담 어떤 사람 남자 분이 나쁜, 그 절에 가서 그 사람이 배를 갖
    국가베트남 | 제보자누구엔티미두이엔(원지영) [베트남, 여, 1989년생, 결혼이주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에서 11년간 근무했 다. 이곳 북촌이 빨갱이 동네라는 오명이 있어 함덕 지서 로 일하다가 해병대에 자원했다. 모든 전투에서 항상 제일 앞선 자리에서 전투를 하던 중 51년 9월에 고지 전투 도중 머리에 총알이 박 히고 다리에 관통상을 당해 후송되어 큰 수술 끝에
    조사지역제주 | 조사일2014년 1월 21일
  • 강인덕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K연구소, UN군, 101사단, 계관, 건국준비총동원운동, 공산주의 강좌, 구마산, 근대화, 기독교, 기뢰, 󰡔김일성 개선기󰡕, 「노동당 고급 당 간부들에게」, 노동조합주의(Trade Unionism), 『대동강』, 『대륙문제』, 대북방송, 대북방송요원, 둔전,
    구술자강인덕 | 직업장관 | 지역평안도
  • 조영자 할머니는 함경남도 이원군 철산 출산으로 성장해서는 주로 흥남에서 생활하였다. 집안이 어려워 흥남의 큰 공장에서 로 일하면서 야간학교를 다녔다. 집안 사정으로 화자만이 동네 아 주머니와 흥남철수 때 거제도로 내려왔지만, 거제 도착 후 하천면 쪽으로 이동하다가
    조사지역경남 거제 | 조사일2014년 8월 27일

기초학문(95)

  • 고객가치에 따른 공슬통합 전략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진완, 게재일 : 2013
    44447 김진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경영정보학회 2013 고객가치에 따른 공슬통합 전략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슬관리 연구의 지적 구조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임혜정, 게재일 : 2018
    19654 임혜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SCM학회 2018 공슬관리 연구의 지적 구조 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
    유형논문 | 게재일2018
  • 중소벤처기업의 전략적 공슬관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창원, 게재일 : 2002
    08269 이창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소기업학회 2002 중소벤처기업의 전략적 공슬관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
    유형논문 | 게재일2002
  • 슬 동적능력을 통한 정보기술 역량이공슬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강성배, 게재일 : 2014
    54382 강성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경영학회 2014 공슬 동적능력을 통한 정보기술 역량이공슬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슬 역량과 능력 그리고 기업성과 간의 관계: 공슬의 민첩성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강성배, 게재일 : 2012
    54742 강성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지식경영학회 2012 공슬 역량과 능력 그리고 기업성과 간의 관계: 공슬의 민첩성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
    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536)

  • 日艦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본군함 츅호가 인쳔항에 잇다가 일젼에나 드러가는길에 마산포에 도박엿더니 작 륙일 아참에 일본졍부 명령을 승야 작일에 인쳔으로 도로 도박엿다더라
    게재일1903년 2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이번 샤뎐에 감옥셔징역군 여명즁 칠명만 남엇고 쳐교 션교죄인 삼십륙명이 나왓다더라
    게재일1903년 3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叙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六品申泰膺 仝尹奭榮 仝李翰相 仝金鍾瀚 仝金誠鎭 六品尹政求 九品宋鎭溶 六品太應柱 六品沈相徽 仝申鉉國 仝朴載陽 仝權泰熏 九品申鉉弼 仝安鍾均 仝崔永鎬 仝白鳳圭 仝太錫昌 仝李周永 六品車鎭益 仝김明演 仝崔永澤 九品김有鐸 仝申鉉台 仝慶 勳 仝盧悳彦 仝申雨均 六品李根泳 九品김完植 ...
    게재일1907년 6월 26일 | 기사분류관보
  • 叙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任領敦寧司事 特進官閔泳奎 六月十七日 解臨時署理警務使事務 內部協辦兪星濬 咸興觀察使鄭鳳時 忠州觀察使尹吉炳 任中樞院贊議 度支技師趙△喆 度支繙譯官朴容九 正三品徐廷柱 命視察日本博覽會隨員 任咸興觀察使 前協辦劉世南 以上六月十七日
    게재일1907년 6월 20일 | 기사분류관보
  • 叙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任度支部主事叙 判任官洪祐定 五月三十日 穆淸殿令李容根 侍從院左侍御 趙鏞七 官立漢城法語學校副教官 金相天 咸鏡南道觀察道主事金鴻鎭 依願免本官 開城郡分奉常司 主事朴泰鉉 任 穆淸殿令叙判任 官五等 任 開城郡分奉常司主事 六品林晃植 任 侍從院左侍御柳 冀昌 九品李範柱任 官立漢城 法語學校...
    게재일1907년 6월 5일 | 기사분류관보

기타자료(218)

  • 사전타합전계획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사전타합전계획 사전타합전계획 事前打合前計劃 교육 문헌 국제협력 국제교류 교육행정 중앙교육행정 ...
    범주1국제협력 | 형식잡지 | 사료철명문교월보
  • (조사연구) 학회의 인간 관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조사연구) 학회의 인간 관계 (조사연구) 학회의 인간 관계 교육 문헌 교육총류 통계ㆍ조사 초등교육 학급경영 교육...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부산시 교육연구소 박만정, 박재규 | 사료철명부산교육
  • (교육논단) 학회의 심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논단) 학회의 심리 (교육논단) 학회의 심리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학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철기 | 사료철명교육경남
  • 현하국민학교에 최대긴인 교사교실능률적사용법에 대한 연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현하국민학교에 최대긴인 교사교실능률적사용법에 대한 연구 현하국민학교에 최대긴인 교사교실능률적사용법에 대한 연구 現下國民學校에 最大緊인 校舍敎室能率的使用法에 對한 硏究 교육 문헌
    범주1교육기회확대 | 형식잡지 | 한글저자윤정석 | 사료철명조선교육
  • (특집 교육의 사회화) 학태에서 일어나야 할 교육의 사회화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특집 교육의 사회화) 학태에서 일어나야 할 교육의 사회화 (특집 교육의 사회화) 학태에서 일어나야 할 교육의 사회화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론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신종흥 | 사료철명부산교육

주제어사전(37)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동반 종8품 토관계의 위호. 직무랑(直務郎)이 받는 관계이었다. 영흥부의 전례서(典禮署)·전주국(典酒局)에 각각 1원, 평양부의 전례서·전주국에 각각 1원, 영변대도호부·경성도호부(鏡城都護府)의 전례서·전주국에 각각 1원, 의주목, 회령도호부·경원도호부·종성

  • 중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종4품 관직. 문종 때에 인원을 1인으로 정하였고, 뒤에 중사(中事)라고 고쳐 불렀다. 1298년(충렬왕 24)에 충선왕이 다시 중으로 개칭하였으나, 1308년에 직제를 파하였다. 1352년(공민왕 1)에 중사라는 명칭으로 다시 두었으나 곧

  • / 內 [정치·법제/법제·행정]

    뒤 1310년(충선왕 2)에 다시 종부시로 개칭하였다. 내는 종5품의 승(丞)과 더불어 전중성 내지 종정시의 실무를 맡고 있었다.

  • 서신보승급문서 / 徐臣輔陞級文書 [정치·법제]

    1908년(융희 2) 9월 9일. 정2품 정헌대부 서신보(徐臣輔)를 종1품 숭정대부에 승서하는 임명장. 당시 승실은《순종실록》에도 기재되어 있는데, 이 문서를 통해 실제를 파악할 수 있다.

  • 알자 / 謁者 [정치·법제]

    의전 행사에서 집전 담당자를 인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집사 중의 하나. 대관전에서 옥책을 올리는 의식에 임금이 대관전에 나올 무렵에 집례관ㆍ내ㆍ내시ㆍ내상시ㆍ알자ㆍ내알자ㆍ전알ㆍ전의ㆍ찬자 등이 먼저 전정으로 들어가 좌우로 갈라선다고 한 기록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