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금호강” 에 대한 검색결과 10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2)

사전(5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포항시 죽장면 상옥리 의 가사령(佳士嶺,500m)과 기북면 성법령(省法嶺, 709m)에서 발원하여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강. [개설] 은 낙동강의 지류 중 그 규모가 두 번째로 큰 강으...
  • 금호평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주사산~단석산에 이르는 산지에 의해 둘러싸인 전형적인 분지지역(盆地地域)으로 ()과 백천(白川)이 만든 평야이다. 왜관 이남부터 낙동강(洛東江)의 연변에는 범람원 지형인 자연제방이 크게 발달하여 있고, 을 따라서도 조그마한 자연제방이 발달하여 있다. 또...
    이칭별칭대구분지
  • 경산부적동고분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부적동 고분들이 위치하고 있는 지형은 낙동강의 큰 지류 중의 하나인 () 남쪽변에 동서로 길게 뻗은 구릉지대이다. 이 지역은 남쪽을 제외한 동‧북‧서쪽이 연안까지 넓은 평야가 전개되어 있고 구릉 남쪽에는 영남대학교가 있다. 이 고분군...
  • 구연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면 내리동에 있는 조선 말기의 누정. [내용] ()변 절벽 가운데에 자리잡고 있다. 김익동(金翊東)이 독서와 풍류를 위하여 1849년(헌종 15) 건립하였다. 정자 앞으로는 이 넘실거리고,...
  • 동촌유원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효목동 을 비롯하여 수성구 만촌동에 있는 유원지. [개설] 시청 동쪽 4㎞ 지점인 변에 있다. 변의 남안에는 수직의 절벽이 높이 솟아 절경을 이루며 그 앞쪽의 넓은 모래사...

고서·고문서(18)

  • 2_023904 18241_1_3280 奎18241_1 明禮宮(1722) 전라도 해남현 銀所面 전라도 해남현 銀所面 144 144결 김호강() 김호강()
    자료번호18241_1_3280 [奎18241_1]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湧泉寺龍淵寺仁興寺成佛山南十里烏足山東二十里王山在解顔古縣城山在花園古縣北五里小山據大江其上平廣下有錦江亭五柳亭古址新羅王賞花處而縣之得名以此獨母山此二十里最項山在壽城古縣○地藏寺水王山在角南面兄弟峯東二十里琴湖坪之左右皆廣野而田地肥腴(嶺路)八助嶺南五十里淸道界大路高老峙在角南面距府八十五...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불, 타죽었다, 작은누님, 영천, 시집, 고모부, 문씨, 두형제, 둘째, 다리, 좀전듯, 우리집, 하양, 남, , 영천가는한길
    대표표제어지랄병 | 성씨
  • 대구부회 회의록(大邱府會會議錄)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회의록'의 수집·번역·해제·DB화 | 동국대학교]
    회의록 역사 문헌 근대 한국 고문서 국가기록원 소장 ‘대구부일반경제관계철’철의 ‘대구부특별세개수비토지평수할조례설정의건(회의록)’건에 포함된 1939년 12월 16일 대구부회 회의록 지방의회, 회의록 일본어 CJA0003442 ...
    대표표제어대구부회 회의록(大邱府會會議錄) | 건명대구부특별세금호강개수비토지평수할조례설정의건(회의록) | 회의년월1939년 12월 | 회의일16일 | 키워드지방의회, 회의록
  • , 책, 밧고, 보니, 깁히, 감싸, 드림, 그전, 중문, 일문, 보앗스나, 오날, 이책, 내용, 상세, 마는, 도움, 되고, 잇슴, 책자, 안심, 저, 아직, 눈님, 찻고, 1939년, 눈님, 시골, 대구시, , 밋에, 나무배, 부린, 아버지, 유씨, 결혼, 매...
    대표표제어안녕 | 성씨

기초학문(1)

  • 유역 생태관광자원의 교육적 활용방안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재우, 게재일 : 2004
    34419 최재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지역지리학회 2004 유역 생태관광자원의 교육적 활용방안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3)

  • 자 약 50명이 주동이 되어 폭동을 일으킨 것이다. 폭동 병사들은 2명의 하사관의 지휘하에 규□ 정열하게 행동을 취하면서 반항하는 다수□(4자)들을 사살하고 다수 □활과 기관총 등 무기를 탈취한 후 군용차에 편승하여 () 방면으로 행동을 개시하였다. 그런데...
    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48_1222_03 | 책임주필한효
  • 이 부대들은 호남방면 폭동에 대한 소위 진압작전에 출동하였다가 곡성 함양 방방면으부터 귀환하는 도중에 분승한 트럭이 고장되어 정차한 기회를 포총하여 폭동을 일으킨 것이라 한다. 그런데 입수된 소식에의하면 이 폭동부대들은 무기를 소지하고 을 건너 팔공산방면으로 진격...
    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48_1210_03 | 책임주필한효
  • 대구의학잡지_1958_01_0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리적관찰() 이성관, 김경수 1 간디스토마의 생물학적연구(1) 각종물질에 대한 Cercaria의 저항력 이성관, 공상택 9 간디스토마의 생...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8

기타자료(15)

  • (땀으로 핀 꽃들) 변의 푸른기적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땀으로 핀 꽃들) 변의 푸른기적 (땀으로 핀 꽃들) 변의 푸른기적 (땀으로 핀 꽃들) 鏡湖江邊의 푸른奇蹟 교육 문헌 평생교육 지역사회학교
    범주1평생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원도숙 | 사료철명교육경남
  • 대구 금호동 건물지(대구-춘천간 고속도로건설예정지역내 문화유적발굴조사보고(대구-군위간) 내 수록)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실시하였다. 유적은 금호인터체인지에서 북으로 약 250m 떨어진 ‘문주마을’ 입구의 동쪽 산록에 위치하며, 행정구역상 대구직할시 북구 금호동 田219번지이다. 이곳의 남쪽에는 이 동에서 서로 흐르고, 북쪽에는 해발 206m의 야산이 남으로 길게 두 갈래로 나뉘...
    발행연도1991 | 발굴기관경북대학교박물관/대구교육대학박물관/창원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대구광역시
  • 대구 방천리 산43유적 -대구 방천리 환경자원시설 조성공업부지내 유적 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하자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유적이 위치하는 대구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 산43번지 일원은, 현재 대구광역시 위생처리장으로 사용되고 있는 지역의 북쪽에 위치한다. 이곳은 이반마을과 원내마을을 포함한 구릉지와 와룡산 계곡부의 소하천과 의 범람으로 형성된 소규모...
    발행연도2009 | 발굴기관대동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대구광역시
  • 대구 봉무동 유적Ⅰ -대구 봉무지방산업단지 외국인학교부지내-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조사대상지는 남동쪽이 능선의 말단부로 높은 편이며, 북서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지형으로 범람에 의해 형성된 충적평야지대이다. 최근까지 논과 밭 경작지로 이용되고 있었으며, 계단식 경지 정리에 의해 구지면이 많이 삭평된 상태이다. 금번 발...
    발행연도2009 | 발굴기관(재)영남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대구광역시
  • 달성 서재리유적 -대구 서재리 아파트 신축부지내-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해당되는 곳으로서 발굴을 착수 할 당시에는 산림이 우거져 있었고, 부분적으로 밭으로 경작하고 있었다. 그 주변에는 대규모 신당동유적이 위치하고, 궁산의 북쪽사면 말단부에는 추정고분군이 있다. 그 외에 서쪽으로 건너편에는 죽곡리산성․고분군 등 많은 유적이 위치한다...
    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재)영남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대구광역시

주제어사전(14)

  • /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죽장면 상옥리의 가사령(佳士嶺,500m)과 기북면 성법령(省法嶺, 709m)에서 발원하여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강. 은 낙동강의 지류 중 그 규모가 두 번째로 큰 강으로, 의 유역면적은 2,087.9㎢, 본류 길이는 118.4㎞,

  • 구연정 / 龜淵亭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에 있는 조선후기 학자 김익동이 건립한 누정. ()변 절벽 가운데에 자리잡고 있다. 김익동(金翊東)이 독서와 풍류를 위하여 1849년(헌종 15) 건립하였다. 정자 앞으로는 이 넘실거리고, 뒤에는 깎아 세운듯한 용전산 절벽이 있다

  • 동촌유원지 / 東村遊園地 [지리/자연지리]

    대구광역시 동구 효목동에 있는 유원지. 시청 동쪽 4㎞ 지점인 변에 있다. 변의 남안에는 수직의 절벽이 높이 솟아 절경을 이루며 그 앞쪽의 넓은 모래사장은 놀이터를 제공하고 있고, 북안에는 멀리 팔공산이 보이는 경승지이다. 전체면적 약 1.5㎢에 전·답·대

  • 소유정가 / 小有亭歌 [문학/고전시가]

    1617년경에 박인로(朴仁老)가 지은 자연가사. 노계(蘆溪) 박인로(1561~1642)가 1617년경에 한강(寒岡) 정구(鄭逑, 1543~1620)와 함께 팔공산과 을 끼고 있는 소유정(小有亭)이라는 누정에서 자연과 함께 생활하는 사대부의 모습을 표현한 자연가사

  • 대구만촌동유적 / 大邱晩村洞遺蹟 [역사/선사시대사]

    대구광역시 동구 만촌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말과 초기철기시대의 유적. 세형동검(細形銅劍)·동과(銅戈) 등이 일괄 출토되었다. 대구시 동구 만촌동에서 안의 동촌유원지 주변 주차장 정지작업중에 다량의 청동기가 발견된 유적으로, 변의 낮은 구릉지대에 위치하고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