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금척대훈장” 에 대한 검색결과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7(한국대학박물관협회, 1969) 대한제국시대의 훈장. 1900년 4월 17일에 제정, 반포된 것이다.
  • 훈장조례(勳章條例)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훈장조례 훈장조례 勳章條例 훈장(勳章) (), 서성대훈장(瑞星大勳章), 이화대훈장(李花大勳章), 태극장(太極章), 팔괘장(八卦章), 자응장(紫鷹章), 서봉장(瑞鳳章), 훈장연금(勳章年金), 표훈원(表勳院) 정치인...
    상위어훈장(勳章) | 관련어금척대훈장(金尺大勳章), 서성대훈장(瑞星大勳章), 이화대훈장(李花大勳章), 태극장(太極章), 팔괘장(八卦章), 자응장(紫鷹章), 서봉장(瑞鳳章), 훈장연금(勳章年金), 표훈원(表勳院)
  • 훈장조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각각 1등에서 8등까지로 나누어졌다. 훈장의 종류로는 처음으로 ()‧이화대훈장(李花大勳章)‧태극장(太極章)‧자응장(紫鷹章)만이 제정되었다. 그렇지만 1901년 4월 16일에 태극장 다음으로 팔괘장(八卦章)을 1등에서 8등까지로 나누어 추가하였다...
  • 훈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국가나 사회에 공로가 뚜렷한 사람에게 국가에서 그 공적을 표창하기 위하여 수여하는 기장(記章). [내용] 우리 나라의 훈장제도는 1900년에 <훈장조례>(칙령)를 공포하면서 최초로 훈장제도가 시행되었다. 처음에는 (:무...
  • 이화대훈장(李花大勳章)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높은 훈등의 훈장이었다. 태극장(太極章) 위에 있어 문무관 중 태극일등장을 받은 자가 특별한 공을 세웠을 때 황제의 특지(特旨)로 수여하였다. 훈장의 명칭은 대한제국의 문양에서 취하였다. 1902년 9월 11일에 ‘훈장조례’를 개정하여 다음으로 서성대훈장(瑞...
    상위어훈장(勳章) | 관련어금척대수장(金尺大綬章), 서성대훈장(瑞星大勳章), 훈장조례(勳章條例), 대훈위훈장(大勳位勳章)

고서·고문서(3)

  • 조선에서 수여한 에 대한 프랑스 대통령의 감사 표시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정치·법제 문헌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번역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김재혁 조선에서 수여한 에 대한 프랑스 대통령의 감사 표시 바이페르트 뷜로 1901.07.07 1901.08.28 서울 베를...
    대표표제어조선에서 수여한 금척대훈장에 대한 프랑스 대통령의 감사 표시 | 발신자바이페르트 | 수신자뷜로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 조선에서 수여한 에 대한 프랑스 대통령의 감사 표시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
    정치·법제 문헌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번역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김재혁 조선에서 수여한 에 대한 프랑스 대통령의 감사 표시 바이페르트 뷜로 1901.07.07 1901.08.28 서울 베를...
    대표표제어조선에서 수여한 금척대훈장에 대한 프랑스 대통령의 감사 표시 | 발신자바이페르트 | 수신자뷜로 | 발신지서울 | 수신지베를린
  • 故大勲位李王国葬書類 巻二・大正十五年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m=7 이왕(순종)의 국장 때 진행되는 노부 안에서 훈장의 순서, 장례식장에서 훈장과 元帥刀, 元帥徽章 등의 배열 순서 등을 정한 문서이다. 이왕의 훈장은 , 훈1등 旭日桐花大綬章, 大勳位 菊花章頸飾, 大勳位 菊花大綬章, 훈1등 瑞寶章, 瑞星章 등이었다. ...
    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5. 04. 06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주제어사전(1)

  • / [역사/근대사]

    대한제국시대의 훈장. 1900년 4월 17일에 제정, 반포된 것으로, 훈등은 대훈 위에 속하고 무등이며 서성대훈장 위에 있어 황실에서만 패용하나, 종친 및 문무관 중 서성대훈장을 받은 자로 특별한 훈공이 있을 때 특지로 수여될 수 있다. 패용할 때 정장은 오른쪽 어깨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