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금주령”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6)
사전(41)
- 금주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국 직후 흉작으로 인하여 금주령을 내린 것을 비롯하여 여러 대에 걸쳐 빈번하게 시행되었다. 특히, 태종 때는 거의 매년 내려졌고, 성종과 연산군 때도 자주 행하여졌다. 조선 후기에는 전국적인 금주령은 거의 없게 되었으나, 1758년(영조 34)에는 큰 흉작으로...
- 금주령(禁酒令)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금주령 금주령 禁酒令 법령(法令) 곡차(曲茶), 곡차(穀茶), 삼금(三禁), 송주(送酒), 주금(酒禁) 생활 풍속식생활 법제 정책 대한민국 고려시대~조선시대 태조~고종 김자운 전시기 예조, 사...상위어법령(法令) | 관련어곡차(曲茶), 곡차(穀茶), 삼금(三禁), 송주(送酒), 주금(酒禁)
- 금주령[酒禁]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1049 제도 금주령[酒禁] 금주령 酒禁 1763,4년 통신사행 때 조선사신들로 하여금 술을 마시지 못하도록 한 것. 주금(酒禁)은 금주령(禁酒令) 혹은 주금령(酒禁令)과 같은 의미이다. 금주령은 조선시대 큰 가뭄이 들거나 흉작이나...유형분류제도
- 중배례(重杯禮)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수 있다. 술을 마시는 횟수도 1636년까지는 중배(重杯, 두 잔)였으나 1682년의 기록에는 9작을 했다고 하며, 1711년의 『동사일기(東槎日記)』와 1748년의 『봉사일본시문견록(奉使日本時聞見錄)』에도 9작을 했다는 내용이 나온다. 1764년에는 조선에서 금주령(...유형분류행사
- 근대신어 : 프로이비션(푸로히비슌)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63393 프로이비션 파항 푸로히비슌 prohibition 禁止(令), 禁制, 禁酒令 금지(령), 금제, 금주령 李鍾極 (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 漢城圖書株式會社 1936 577출전(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漢城圖書株式會社] | 계통분류 [정치경제] 정치행위 [예술감각] 행위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10)
- 승정원일기초(承政院日記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전교와 문건, 곡식의 낭비를 막기위해 금주령을 내린 사실 등이 주목할 만하다. 이외에도 당시 군비나 관원 현황 등도 기록되어 있으며, 백성들이 화재나 부역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것에 대한 조정의 정책 등도 확인할 수 있다. 경복궁 중건, 금주령, 전대...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沙河所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倫地方.遣和碩鄭親王固山貝子碩託等·率鑲藍旗·鑲紅旗護軍·及喀喇沁之兵.從前屯衛寧遠中間進發和碩豫親王.固山貝子博洛等.率正白旗·正藍旗護軍.及土默特之兵.從錦州寧遠中間進發.朕率大軍.從義州進發.渡大凌河.令漢軍固山額真石廷柱·馬光遠等以神威將軍礮.攻李雲屯·柏士屯·郭家堡·開州井家堡·令恭順王·...출처전거『淸實錄』 太宗文皇帝實錄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乾柴嶺 [고려~조선 변경(邊境) 지명 DB구축 및 전자 지도 제작 | 덕성여자대학교]『明實錄』 太宗文皇帝實錄 卷九十五 永樂七年 八月 十五日 1번째기사 『明實錄』 太宗文皇帝實錄 永樂七年 八月 十五日(1409) 1409 乾柴嶺 遇虜游兵庫本游作遊. 今所獲者為鄉導廣本抱本今作令,是也. 福銃意乘之廣本庫本銃作銳,...출처전거『明實錄』 太宗文皇帝實錄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손자를 돌보며 당(堂)에서 잤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答以目疾不得出入。因聞金澍令公發還帝京, 中道病卒, 訃聞, 命拜禮曹判書云。可駭可駭!○金時遇早來見。餉酒送之。○李德混來見, 求《迎鳳志》。與一冊。陶隱詩一卷亦持去。○李得中送炭二石、冬瓜一。○萬水輸來九駄。○成山戶納草五同云。○修玄培了書, 付選上吏光石, 使傳之。 1563년 11월...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高麗復破紅賊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政堂文學金得培爲都兵馬使同知樞密院事鄭暉爲東北面都指揮使十一月賊屯撫州【今屬寧邊府】芳實以彼衆我寡斂兵退移順殷成三州陽巖樹德江東三登祥原五縣民及粟于岊嶺柵【殷州今殷山縣陽巖樹德今幷爲陽德縣】庚戌芳實遣判司農事趙天柱左丞柳繼祖大將軍崔準等擊賊于博州敗之禮部尙書李珣斬賊七級于泰州壬子芳實與指揮使金景磾擊...서명東國兵鑑 | 저자문종(文宗, 朝鮮) 命編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구술자료(3)
- 숙종대왕 금주령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참 할머니들이 이야기하고 있던 중에, 이장으로 있는 제보자가 조사자 일행을 위해 술을 사 가지고 왔다. 술을 먹으라고 권하던 차에 이 이야기를 시작한 것이다. 이장이기 때문인지는 몰라도 훈시적으로 이야기하기 때문에 청중들이 이 <page id="359"></p...조사일시1980-08-09 | 조사장소경상남도 진양군 사봉면 | 제보자정대찬
- 금주령과 유진항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설화 한 편을 제공해 준 제보자는 김장수노인에게 애기 하기를 권했으나, 아직 애기가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하자, 잠시동안 생각한 끝에 본 설화를 제공해 주었다. 본 설화는 얼마 전에 다른 노인정에 놀러갔다가 들은 것이라고 한다. *조사일시1979-07-03 | 조사장소서울시 도봉구 수유3동 | 제보자김장수
- 숙종대왕과 금주령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가 상객 가서 실수한 이야기를 듣고 싶다고 청하자, “나 술 금주령 이얘기 하나 더 할까.” 하고는 이 이야기를 시작했다. 마영식씨가 이야기를 하는 동안에 기억해 왔던 모양이다. 구연 중에 웃기도 했다.*조사일시1983-08-01 | 조사장소전라남도 고흥군 점암면 | 제보자마일숙
신문·잡지(2)
- 실화신태양사_1961_09_9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안태양 364 눈물의 금주령 유주 372 애독자 교환실 380 염복방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1
- 조선지방행정_1933_12_0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143 세부기사 있음. 파일분절요망. 大絃小絃-道郡農會を廢し道に産業部 郡に産業係を設けよ, 신현팔, 144쪽. 大絃小絃-禁酒令を發布し增稅を斷行せよ, 한민희, 144쪽. 大絃小絃-農民の文盲を退治せよ, 김준관, 145쪽. 大絃小絃-蠶種代金割增金を廢止せよ, 김선수,...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3
주제어사전(3)
-
금주령 / 禁酒令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큰 가뭄· 흉작·기근이 있을 경우 술 마시는 것을 금하는 법령. 근신 절제함으로써 하늘의 노여움을 풀고 굶주린 백성들을 위로하며 식량과 비용을 절약할 목적으로 행하여졌다. 1392년 조선개국 직후 흉작으로 인하여 금주령을 내린 것을 비롯하여 여러 대에 걸
-
어제경민음 / 御製警民音 [언어/언어/문자]
1762년(영조 38)에 교서관(校書館)에서 간행한 책. 1책. 선 후기 영조가 백성들에게 내린 금주령(禁酒令)이 잘 시행되지 않는 것을 개탄하며 백성들을 경계하기 위하여 내린 조칙을 간행하였다. 10장밖에 안 되는 매우 작은 분량이며, 모두 한글로만 되어 있다. 1
-
검역등논보 / 檢役等論報 [정치·법제]
미상의 하급 관아에서 미상의 상급 관아에 올린 논보. 시신의 검역을 행한 일, 죄수 마일천(馬日千)의 심문에 관한 일, 모백의 환상에 관한 일, 정배죄인의 공궤에 관한 일, 금주령의 시행 문제 등을 거론하고 있다. 이 논보는 어느 고을 수령이 상관인 관찰사에게 올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