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금장도” 에 대한 검색결과 3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

사전(24)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금색을 칠한 칼 모양의 의장(儀仗). 나무로 만들며 겉에 무늬를 새기고 금칠을 하고 끈을 달았다. 임금이나 왕비, 세자의 행차 때 은장도 다음으로 행렬 좌우에 각각 2개씩 가지고 따랐다. 銀粧刀二前排修補二前排修補銀罐子一前排, (국장1834/187ㄴ08~10)...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례(嘉禮), 군례(軍禮), 길례(吉禮), 흉례(凶禮) 노부(鹵簿), 발인반차(發引班次), 의장(儀仗) 왕실왕실의례/예기 물품 도구 대한민국 조선 허태구 의장용(儀仗用) 단...
    상위어가례(嘉禮), 군례(軍禮), 길례(吉禮), 흉례(凶禮) | 관련어노부(鹵簿), 발인반차(發引班次), 의장(儀仗)
  • 은장도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의장(儀仗)의 하나. 나무로 칼 모양을 만들어 은칠을 하고 끈을 달았다. 칼집에 여러 가지 무늬를 아로새겼다. 도 이와 같으나 다만 금으로 색을 칠한다. 靑衣紫巾哥舒捧十軍十三名金鐙子十軍十三名二軍三名銀粧刀二軍三名以上紅衣皮笠白虎幢一軍二名朱雀幢一軍二名靑龍幢一...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모절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二銀盂子一銀灌子一銀立瓜二金立瓜二銀橫瓜二金橫瓜二毛節四內二仍修補銀鉞斧二金鉞斧二雀扇六內四仍修補二新造, (책례1651/061ㄴ02~04)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은관자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양푼같이 만든 은그릇. 은반(銀盤)과 비슷하나 속이 깊다. 물을 부어 씻을 대 쓰는 그릇이다. 中宮殿儀仗差備五十紅蓋二靑蓋二鳳扇八雀扇六銀灌子一銀盂子一旄節四金鐙子四銀鐙子四二, (상호1827/148ㄴ06~08)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5)

  • 15629 B015629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19年 8月 29日_023 朔享親行時, 訓將只率內外各營入直步軍隨駕, 其餘皆置之, 侍衛, 別雲劍外, 皆從最少例爲之事, 分付。 又命書傳敎曰, 訓將在試所, 以領事, 分付。 至午正收券, 懸京鄕儒生應製題,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백통으로 만든 담뱃대.며 히연단풍 만니산손목의 은시며 옷고름의 와양피자 털토슈며 찰난하 입어도다분여 분여: 부녀(婦女). 과분철 표기 형태이다. 살펴보니 유한정〃 고흔도임 임: 태임(太任/太姙). 주나라 문왕의 어머니.사 사: 태사(太姒). 주...
    가사유형풍속가류 | 소장처조춘호 | 시대해방이전
  • 살고 부귀를 누리며 아들을 많이 낳으라는 뜻. 〃바가쳥쥰쥬홍쥰쥬 쳥쥰쥬홍쥰쥬: 청진주 홍진주. 곱게구레붙여 착〃져버 곱게고금쥭졀 금쥭졀: 금죽절. 화려하고 값비싼 대로 만든 비녀.은쥭졀 조혼비여 뒷머리예 살작고은장도 가진장도 속고름의 단〃이차고은조롱 은조롱...
    가사유형풍류가류, 탄식가류 | 소장처경북대학교 | 시대해방이전
  • 潘璋宋謙等各競表 言備必可禽乞復攻之吳王以問陸遜遜曰 曺丕大合士衆外託助國內實有姦心謹決 計輒還●初帝聞漢兵樹柵連營七百餘里 謂羣臣曰備不曉兵豈有七百里營可以拒 敵者乎苞原隰險阻而爲軍者爲敵所禽此 兵忌也孫權上事今至矣(謂封上破漢之事來也)後 七日吳破漢書到 漢諸葛亮七縱七擒 初益州郡耆...
    서명歷代兵要 | 저자정인지(鄭麟趾)‧유효통(兪孝通)‧이석형(李石亨)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渡江錄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
    , 更加豪健矣.【帖裏, 方言天翼. 裨將, 我境則著帖裏, 渡江則換着狹袖.】 鄭進士【珏, 上房裨將】笑迎曰: “今日, 眞得渡江矣.” 盧從傍曰: “乃江矣.” 余皆應曰: “唯唯.” 蓋一旬留館, 擧懷支離之意, 皆畜奮飛之氣, 加以霖雨江漲, 益生躁鬱. 及此期日倏屆, 則雖欲無渡,...
    대표표제어渡江錄 | 목차熱河日記

신문·잡지(1)

  • 대만출판경찰보 016호 분류구해 중화각계척독신범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대만 언론·출판 문헌 근대 대만출판경찰보 016호 분류구해 중화각계척독신범 분류구해 중화각계척독신범(分類句解中華各界尺牘新範) 미기재 서국(書局) 상해(上海) 대만_1930년 10월 15일 금지 안녕 미기재 ...
    대표표제어대만출판경찰보 016호 분류구해 중화각계척독신범 | 출판물명분류구해 중화각계척독신범(分類句解中華各界尺牘新範)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

    금색을 칠한 칼 모양의 의장. 나무로 만들며 겉에 무늬를 새기고 금칠을 하고 끈을 달았다. 임금이나 왕비, 세자의 행차 때 은장도 다음으로 행렬 좌우에 각각 2개씩 가지고 따랐다.

  • 은장도 / 銀粧刀 [생활/의생활]

    의장의 하나. 나무로 칼 모양을 만들어 은칠을 하고 끈을 달았다. 칼집에 여러 가지 무늬를 아로새겼다. 도 이와 같으나 다만 금으로 색을 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