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금위대장” 에 대한 검색결과 16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1)

사전(9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두어 실제로 금위영을 통할하도록 하였다. 금위영은 그 맡은 바 업무가 용호영(龍虎營)과 중복될 뿐만 아니라 재정상의 이유로 혁파하자는 안이 때때로 대두되었으며, 1777년 정조는 금위영이 유명무실하다 하여 의 직위를 금위사(禁衛使)로 격하시킬 뜻을 비치기...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에 설치한 금위영의 최고 관직
    정의조선 후기에 설치한 금위영의 최고 관직 | 문광부표기Geumwi Daejang | MR표기Kŭmwi Taej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군제(軍制), 군영(軍營), 군문(軍門), 삼군문(三軍門), 오군영(五軍營), 훈련도감(訓鍊都監), 어영청(御營廳), 금위영(禁衛營), 금위별대(禁衞別隊), 훈국(訓局), 숙위(宿衛), 도성(都城), 숙위...
    관련어군제(軍制), 군영(軍營), 군문(軍門), 삼군문(三軍門), 오군영(五軍營), 훈련도감(訓鍊都監), 어영청(御營廳), 금위영(禁衛營), 금위별대(禁衞別隊), 훈국(訓局), 숙위(宿衛), 도성(都城), 숙위(宿衛), 유도대장(留都大將), 수가대장(隨駕大將)
  • 이인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37(영조 13)∼1813(순조 13). 조선 후기의 무신. [내용]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성빈(聖賓). 충무공(忠武公) 순신(舜臣)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 한응(漢膺)이다. 무재(武才)를 인정받아 1784년(...
    이칭별칭 성빈(聖賓)
  • 유상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 좌ㆍ우포도대장, 평안도절도사 등을 역임하고, 에 이르렀다. 그러나 으로서의 직책수행과 관련하여 1827년 5월 신경(申絅)과 교체되었고, 1830년 8월전라도 용담현(龍潭縣)으로 유배되기도 하였다. 이후 유배에서 풀려 1833년 4월 총융사(...
    이칭별칭 경룡(景龍)

고서·고문서(63)

  • 17056 B017056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高宗實錄 十四年(1877) 十二月 고종실록_11412019_001 ○十九日。 以李景夏爲武衛都統使, 金箕錫爲江華府留守, 尋命李鍾承相煥。
    출처전거高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7061 B017061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高宗實錄 十六年(1878) 四月 고종실록_11604021_001 ○二十一日。 以李鍾承爲, 李景夏爲御營大將, 金永壽爲江華府留守。
    출처전거高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李熹公實錄資料 3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2)이 에 제수되었다는 내용으로 『李熹公事歷譯本』에서 채록하였다. 정욱재 2015. 02. 02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熹公實錄資料 3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게 을 除授하였다는 내용으로 『爛抄』(16)에서 채록하였다. 정욱재 2015. 02. 02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熹公實錄資料 3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2)에게 을 除授하였다는 내용으로 『李熹公從宦錄』(2)에서 채록하였다. 정욱재 2015. 02. 02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2.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기타자료(2)

  • 고구려 고질이 당나라에 귀부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提戈者未集 公以二千餘兵 擊數萬之衆 七擒有效 三捷居多 萬歲通天二年正月 制除左玉軍左羽林軍上下 公撫巡士衆 推以赤心 宣布威恩 得其死力 解衣推食 惸釐感惠而守陴 挾纊投醪 童孺銜歡而拒敵 上聞旒扆 特降恩徽 有勅稱之曰 高性文旣能脫衣 招携遠藩 宜內出衣一副 幷賜物一百段 又性文下高麗...
    대표표제어고구려 고질이 당나라에 귀부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68년(戊辰/신라 문무왕 8/고구려 보장왕 27/唐 乾封 3, 總章1/倭 天智 7)
  • 고구려 고족유가 당나라에 귀부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사적에 대해서는 “唐緫章元年 授明威將軍 守右威衛眞化府折衝都尉 仍長上 ∆授守左威衛孝義府折衝都衛 散官如故 貳年 授雲麾將軍 行左武衛翊衛府中朗將 儀鳳四年 授右領軍衛將軍 准永隆元年制 加勳上柱國 永昌元年 制〈授〉右玉軍 並以勳庸見重 武烈稱竒 出靜邊荒 入陪蘭錡 既而蔥山動祲 紫...
    대표표제어고구려 고족유가 당나라에 귀부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68년(戊辰/신라 문무왕 8/고구려 보장왕 27/唐 乾封 3, 總章1/倭 天智 7)

주제어사전(6)

  • /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군영문 중 금위영의 종2품 무관직. 1682년(숙종 8) 병조판서 김석주(金錫胄)의 건의에 따라 금군의 성격을 띤 금위영을 조직하고 대장직을 우선 병조판서가 겸대하도록 하였다. 그 뒤 1685년에 정식으로 병조판서가 종2품의 대장을 겸하도록 규정하였다가 1

  • 이희경 / 李熙絅 [종교·철학/유학]

    1804년(순조 4)∼1866년(고종 3). 조선 후기의 무신. 이윤성 손자, 이경식의 아들이다. 선전관에 취임한 뒤 1826년(순조 26) 무과에 급제하였다. 그뒤 어영대장·총융사· 등을 역임하였다. 1851년 좌변포도대장이, , 공조판서 겸 지의금부

  • 조만영 / 趙萬永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76∼1846). 딸이 효명세자의 빈으로 책봉되자, 대사성·판의금부사·지중추부사, 어영·훈련·, 예조·이조·호조판서 등을 역임하면서, 풍양조씨의 핵심인물로서 세력을 키워서, 기해박해를 통해 안동김씨의 세도를 견제해 나갔다. 글씨에 능했고

  • 병학통 / 兵學通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의 군사훈련 교범. 2권 1책. 목판본. 1776년(정조 즉위) 정조의 명령을 받아 형조판서 겸 지훈련원사인 장지항이 편찬하였다. 서명선 등이 교열하고 예문관검열 윤행임 등이 감인한 중정본이 1785년(정조 9)에 간행되었다. 발문에서는, ≪속병장도

  • 이광익 / 李光益 [종교·철학/유학]

    . 1805년(순조 5)에 좌포도대장, 황해도와 평안도의 병마절도사, 우포도대장, 승지, 양주목사, 총융사, 좌포도대장, 으로 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