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금오신화” 에 대한 검색결과 19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2)

사전(5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 醉遊浮碧亭記>‧<남염부주지 南炎浮洲志>‧<용궁부연록 龍宮赴宴錄> 등 5편이다. [편찬/발간 경위] 창작 당대부터 희귀본이어서 옛 문헌에 이따금 단편적인 기록이 남아 있을 뿐 한말 이래 현품이 발견되지 않았으나, 일본에서 전해오던 목판본 ≪≫를...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초기에 김시습(金時習, 1435-1493)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집.
    정의조선 초기에 김시습(金時習, 1435-1493)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집.[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eumo sinhwa | MR표기Kŭmo sinhw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I5_D_0166 서적-문집 著書藏石室, 後世必有知者, 述異, 寓意 金鰲山 金東峯 剪燈新話, 談寂記 D_18_04_43 대동운부군옥 18권 4장 43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8권 4장 4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I10_D_0147 경서·경학 作詩, 矮屋, 靑氊, 滿牕, 梅影, 挑燈, 永夜, 焚香, 閒著, 人間, 未見書 東都 金東峯 剪燈新話, 詩格 D_14_04_38 대동운부군옥 14권 4장 38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4권 4장 3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용궁부연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전기에 김시습(金時習)이 지은 한문소설. [구성 및 형식] 원본은 전하지 않고 일본 동경에서 목판본으로 간행된 작자의 단편소설집 『』에 실려 있다. 주인공이 꿈속에 용궁으로 초대되어 가서 겪은 일을 주된 내용으로 한 작품으로...

고서·고문서(5)

  • 관동록(關東錄)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이 있는데 매월당(梅月堂) 매월당(梅月堂) : 김시습(金時習, 1435-1493)을 말한다. 자는 열경(悅卿), 호는 매월당(梅月堂)‧동봉(東峯)이다.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승려가 되어 방랑 생활을 하며 단종(端宗)에 대한 절개를 지켰다. 저술로 󰡔...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정식(鄭栻)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 금강산기행록(金剛山紀行錄)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習) 김시습(金時習) : 1435-1493. 자는 열경(悅卿), 호는 매월당(梅月堂)‧동봉(東峯)이다.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승려가 되어 방랑 생활을 하며 단종(端宗)에 대한 절개를 지켰다. 저술에 󰡔󰡕・ 󰡔매월당집󰡕 등이 있다. 의 「장안사(...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양대박(梁大樸)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 유금강산기(遊金剛山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키며 승려가 되어 유랑을 하였다. 저술로는 『매월당집』과 『』가 있다.가 벽에 기문을 써 두었고, 허주(虛舟) 신지정(申持正) 신지정(申持正) : 신포(申誧)의 자가 지정(持正)이다. 성종 때의 화가로 호는 허주(虛舟)이며, 시와 술을 즐겼다. 이 단청을 채색하...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남효온(南孝溫)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 금강일기(金剛日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 김시습(金時習, 1435-1493)의 호이다. 자는 열경(悅卿), 호는 매월당(梅月堂)‧동봉(東峯)이다. 생육신의 한 사람으로 승려가 되어 방랑 생활을 하며 절개를 지켰다. 한국 최초의 한문소설 󰡔󰡕를 지었고, 저술에 󰡔매월당집󰡕이 있다. 는 자취를...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김창석(金昌錫)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 풍악록(楓樂錄)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 1435-1493. 자는 열경(悅卿), 호는 매월당(梅月堂)‧동봉(東峯)이다. 생육신의 한 사람으로, 승려가 되어 방랑 생활을 하며 절개를 지켰다. 한국 최초의 한문소설 󰡔󰡕를 지었고, 저술에 󰡔매월당집󰡕이 있다. 의 친필이 있습니다. 그래서 상촌(象...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윤휴(尹鑴)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기초학문(5)

  • 』에 나타난 宗敎性과 敍述技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학주, 게재일 : 2014
    45121 이학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양고전연구소 2014 『』에 나타난 宗敎性과 敍述技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와 전등신화에 나타난 애정 모티프의 형상화 방식과 그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일용, 게재일 : 2001
    08749 박일용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1 와 전등신화에 나타난 애정 모티프의 형상화 방식과 그 의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
    유형논문 | 게재일2001
  • 』의 구조미학: 相違와 疏通의 ‘遊’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수연, 게재일 : 2010
    40863 김수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전문학회 2010 『』의 구조미학: 相違와 疏通의 ‘遊’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의 체재에 나타난 창작방법과 비극적 낭만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창현, 게재일 : 2010
    48275 김창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의 체재에 나타난 창작방법과 비극적 낭만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日本江戶時代에 있어서의 『剪燈新話句解』와 『』의 수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변은전, 게재일 : 2001
    10906 변은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1 日本江戶時代에 있어서의 『剪燈新話句解』와 『』의 수용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01

신문·잡지(6)

멀티미디어(110)

  • 동아시아적 차원에서 본 전기소설 – , 전등신화, 전기만록_2주차_1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등의 가치를한국고전문학이어떻게지켜왔는지살펴봅니다. 9. 비교문학적·문명교류사적 시각을 도입함으로써 일국적 차원을 넘어서동아시아적차원에서한국고전문학사를파악합니다. 1주차. 옛노래의 서정 주체 - 향가와 고려가요 2주차. 동아시아적 차원에서 본 전기소설 – ,
    강좌제목동아시아인을 위한 한국고전문학사 | 강의자김대중 교수
  • 동아시아적 차원에서 본 전기소설 – , 전등신화, 전기만록_2주차_2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등의 가치를한국고전문학이어떻게지켜왔는지살펴봅니다. 10. 비교문학적·문명교류사적 시각을 도입함으로써 일국적 차원을 넘어서동아시아적차원에서한국고전문학사를파악합니다. 1주차. 옛노래의 서정 주체 - 향가와 고려가요 2주차. 동아시아적 차원에서 본 전기소설 – ,
    강좌제목동아시아인을 위한 한국고전문학사 | 강의자김대중 교수
  • 동아시아적 차원에서 본 전기소설 – , 전등신화, 전기만록_2주차_3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등의 가치를한국고전문학이어떻게지켜왔는지살펴봅니다. 11. 비교문학적·문명교류사적 시각을 도입함으로써 일국적 차원을 넘어서동아시아적차원에서한국고전문학사를파악합니다. 1주차. 옛노래의 서정 주체 - 향가와 고려가요 2주차. 동아시아적 차원에서 본 전기소설 – ,
    강좌제목동아시아인을 위한 한국고전문학사 | 강의자김대중 교수
  • 동아시아적 차원에서 본 전기소설 – , 전등신화, 전기만록_2주차_4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등의 가치를한국고전문학이어떻게지켜왔는지살펴봅니다. 12. 비교문학적·문명교류사적 시각을 도입함으로써 일국적 차원을 넘어서동아시아적차원에서한국고전문학사를파악합니다. 1주차. 옛노래의 서정 주체 - 향가와 고려가요 2주차. 동아시아적 차원에서 본 전기소설 – ,
    강좌제목동아시아인을 위한 한국고전문학사 | 강의자김대중 교수
  • 동아시아적 차원에서 본 전기소설 – , 전등신화, 전기만록_2주차_5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등의 가치를한국고전문학이어떻게지켜왔는지살펴봅니다. 13. 비교문학적·문명교류사적 시각을 도입함으로써 일국적 차원을 넘어서동아시아적차원에서한국고전문학사를파악합니다. 1주차. 옛노래의 서정 주체 - 향가와 고려가요 2주차. 동아시아적 차원에서 본 전기소설 – ,
    강좌제목동아시아인을 위한 한국고전문학사 | 강의자김대중 교수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13)

  • / [문학/한문학]

    조선 초기에 김시습(金時習)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집. 일반적으로 우리 나라 최초의 소설로 인정되고 있다. 완본은 전하지 않으며, 현재 전하는 것으로는 <만복사저포기 萬福寺樗蒲記>·<이생규장전 李生窺牆傳>·<취유부벽정기 醉遊浮碧亭記>·<남염부주지 南炎浮洲志>·<용궁부연록

  • 취유부벽정기 / 醉遊浮碧亭記 [문학/한문학]

    조선 초기에 김시습(金時習)이 지은 한문소설. 원본은 전하지 않고 일본 동경에서 목판본으로 간행된 작자의 단편소설집 『 』에 실려 있다.「취유부벽정기」는 기자조선의 도읍지로 알려진 평양을 배경으로 하여 한 남자 상인과 죽어서 선녀가 된 기자(箕子)의

  • 몽유록 / 夢遊錄 [문학/한문학]

    이규보(李奎報)의 『백운소설 白雲小說』에도 이규보 자신의 선계로의 몽유가 서술되어 있다. 몽유의 문학적 전통을 이어받아 소설 ‘몽유록’이 나타나는 것을 김시습(金時習)의 『 』에서 볼 수 있다. 「남염부주지 南炎浮洲志」는 바닷 속의 한 섬인 남염부주라는

  • 남염부주지 / 南炎浮洲志 [문학/한문학]

    조선 전기에 김시습(金時習)이 지은 한문소설. 조선 전기에 김시습(金時習)이 지은 한문소설. 목판본. 작자의 단편소설집 『()』에 실려 있다. 주인공이 꿈속에서 겪은 일을 중심으로 내용이 전개되는 몽유구조의 소설로서, 작자의 철학사상이 가장 집약적으로

  • 김시습 / 金時習 [종교·철학/유학]

    1435(세종 17)∼1493(성종 24). 조선 초기의 학자·문인. 생육신의 한 사람이다. 1455년 수양대군의 왕위찬탈에 반대하여 중이 되었다. 1463년 잠시 세조의 불경언해사업을 도왔고, 우리나라 최초 한문소설 <>를 지었다. 유불교체기에 태어나 유교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