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금오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8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5)
사전(134)
- 금오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에 있는 산. 높이 977m. 기암 괴석이 어우러져 장관을 이루고 있으며, 경사가 급하고 험난한 편이나 산정부는 비교적 평탄한데 이곳에 금오산성이 있다. 금오산의 원래 이름은 대본산(大本山)이었는데, 중국의 오악 가운데 하나인 숭산(崇山)에 비해...
- 금오산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마지막으로 중수된 것으로 추측된다. 世宗實錄地理志 新增東國輿地勝覽 大東地志 金烏山城基礎調査報告書(尹容鎭, 慶北大學校考古人類學科‧龜尾市, 1985) 금오산성 ...연계항목금오산성(金烏山城)
- 金烏山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C6_D_0088 金烏山 산림 閉門居 吉先生, 魚潛夫 D_04_05_22 대동운부군옥 4권 5장 22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4권 5장 2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金烏山詩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3_S_0080 金烏山詩 시 漢波, 晉甲, 語意, 咀嚼 商山, 栗里 趙麟瑞, 嚴子, 光武, 吉冶隱, 子陵 S_28_01_65 성호사설 28권 1장 65절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28권 1장 6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금오산성(金烏山城)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금오산성 금오산성 金烏山城 금오산성(金鰲山城), 금오산성(金吾山城), 금오산석성(金烏山石城), 금오성(金烏城) 금오진(金烏鎭), 무신란(戊申亂), 어류산성(御留山城), 입보처(立保處), 천생산성(天生山城) 정치군사·국방/방어시설 ...동의어금오산성(金鰲山城), 금오산성(金吾山城), 금오산석성(金烏山石城), 금오성(金烏城) | 관련어금오진(金烏鎭), 무신란(戊申亂), 어류산성(御留山城), 입보처(立保處), 천생산성(天生山城)
고서·고문서(121)
- 詩文門1_金烏山詩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金烏山詩 趙麟瑞《金烏山詩》云: “漢波不到商山上, 晉甲猶存栗里中. 嚴子能成光武大, 亦非虛老富春翁.” 金烏, 卽前朝吉冶隱之所居也, 以子陵取比, 語意不露, 咀嚼有味.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八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3 第三統統首金惡山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35년_유포면(柳浦面) 1735년 유포면(柳浦面) 第十二猪田浦 3 第三統統首金惡山 第一戶 水營上道軍私奴金岳山年肆拾捌戊辰本金海主京居韓進起父私奴注乙巨里祖私奴巨乙金 曾祖杰安外祖私奴魯毛老同本仁同母私婢論分妻私婢李正月年肆拾肆壬申本慶州父 私奴龍立祖私奴三奉曾祖...연도_면이름1735년_유포면(柳浦面) | 면이름유포면(柳浦面) | 마을이름第十二猪田浦
- (풍속)79 고사자료조사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조선총독부에서 대구․고령․상주․경주․개령지역의 고사자료를 정리한 자료이다. 조사원은 아리가 케이타로(有賀啓太郞), 통역은 김한목(金漢睦)이다. 1913년(대정 2년) 11월 23일부터 12월 25일까지 조사하였다.분류민속 | 소장처수원시박물관
- 1798년 류이좌(柳台佐)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798년 7월 20일에 柳台佐가 며칠 뒤에 방문할 것임을 알리기 위해 보낸 편지이다. 자신의 바쁜 일정으로 금오산을 함께 유람하지 못하는 아쉬운 심정을 전하고 延興에 머물렀다가 들러서 찾아볼 것임을 전하였다.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금성산(錦城山)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1628 B031628 금성산 錦城山 산악 太宗實錄 十年(1410) 二月 태종실록_11002029_003 ○修築慶尙、全羅諸州山城。 昌寧縣火王山、淸道郡烏惠山、(減陰縣)〔感陰縣〕黃石山、善州金烏山、昌原府廉山、雞林府夫山、南原府蛟龍、潭陽府金山、井邑縣笠巖山、高山縣伊訖音山、道康...출처전거太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7)
- 해동회고시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도도달달(忉忉怛怛), 서출지(書出池), 금오산(金鰲山), 소지왕(炤智王), 천천사(天泉寺), 금갑(琴匣), 분수승(焚修僧), 도달(忉怛), 남산(南山), 고운(顧雲), 최고운(崔孤雲), 계림(鷄林), 금성(金城), 시림(始林), 알지(閼智), 김씨(金氏), 상서장(上書...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10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地方情形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그디방으로향얏다 며 漆谷 칠곡군 금오산 부근에 의병 여명이 집합 얏다며 井邑뎡읍군에 의병이 회집얏다으로 졍탐기위야 경무보죠원과 슌검을 파송얏다며 錦山금산군 셔일면에 본월팔일에 의병이십여명이 둔취야 일슌샤와 교젼다가 의병이 야 진산등디로 도망...게재일1907년 9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 조선문조선_1934_18_0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채규삼 79 문원 오청 選 81 경주의 개무덤 金華山人 84 충복된 원인 金烏山人...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4
- 조선_1925_11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謹次學圃參與官寄金於山年賀三絶韵 조희영 93 朝鮮社會事業團體に御下賜金 94 道蠶業技術官會同 95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5
- 산수_1969_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표지설명 55 한국의 산악회 (2) 손경석 56 선산의 영산과 금오산 신영훈 60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9
기타자료(3)
- 금오산자연학습원정원조정(안)보고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금오산자연학습원정원조정(안)보고 금오산자연학습원정원조정(안)보고 교육 문헌 교육행정 기타교육단체 교육행정 중앙교육행정 ...범주1교육행정 | 형식문서 | 한글저자경상북도구미시장 | 사료철명조례공포철
- 최연호;崔然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5856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55면 최연호;崔然浩 김천군 金烏山공립국민학교 제16회 1938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2004년도 조사 보고서(하동 진교 안심리 조선묘)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하동군에서 추진 중인 진교 농공단지 조성예정부지 내에 조선묘 1기가 포함되어 발굴조사가 이뤄지게 되었다. 조사지역은 하동군 진교면 백련리 신안마을의 서쪽으로 길게 뻗어 내린 금오산 끝자락의 낮은 구릉에 위치한다. 봉분은 장기간 침식에 의해 삭평된 상태였고 봉분에...발행연도2006/09 | 발굴기관경남고고학연구소 | 발굴지역경상남도
주제어사전(15)
-
금오산 / 金烏山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에 있는 산. 금오산(金烏山)의 높이는 976.5m로, 기암 괴석이 어우러져 장관을 이루고 있다. 경사가 급하고 험난한 편이나, 산정부는 비교적 평탄한데 이곳에 금오산성(金烏山城)이 있다. 금오산의 원래 이름은 대본산(大本山)이었는데, 중국의 오
-
금오산성 / 金娛山城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구미시와 김천시 남면에 있는 고려시대 이후 내성과 외성의 이중구조로 축조된 성곽. 시도기념물. 둘레 약 3.5㎞. 현재 남·서·중문 및 암문(暗門)과 건물지 등이 남아 있다.처음 축조시기가 언제인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고려·조선시대로 이어지면서 입보피란(入保避
-
금오산도립공원 / 金烏山道立公園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구미시·김천시·칠곡군 지역에 걸쳐 있는 도립공원. 금오산도립공원의 면적은 39.91㎢로, 1970년 6월 1일에 우리나라 최초의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산 자체의 관광성도 훌륭하지만 무엇보다도 경부간의 철도와 고속도로의 이용으로 접근이 매우 쉽다. 그리고
-
하동금오산봉수대 / 河東金鰲山烽燧臺 [경제·산업/통신]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중평리에 있는 봉수대. 경상남도기념물 제122호. 고려 말기에서 조선 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봉수대다. 그러나 『세종실록』「지리지」·『경상도지리지』·『경상도속찬지리지』·『신증동국여지승람』의 하동현조에는 금오산봉수대는 물론 다른 봉수대의
-
경주남산일원 / 慶州南山一圓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삼국시대 불교 관련 유적이 산재한 산.사적. 경주시의 남쪽에 솟아오른 산으로, 금오산(金鰲山)이라 부르기도 한다. 북쪽에 위치한 금오산과 남쪽에 위치한 고위산(高位山) 사이를 연결하는 산과 계곡 일대를 남산이라고 통칭한다. 금오산의 높이는 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