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금수암” 에 대한 검색결과 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

사전(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구계산(龜溪山)에 있으며 1910년 동호(東湖)가 창건한 절.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14교구 본사인 범어사(梵魚寺)의 말사이다. 1923년 석봉(石峯)...
  • 금수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강이 보인다. 동쪽 기슭에 있는 ()은 높이 3m쯤 되는 백암으로, 그 위에 붉은 빛으로 산‧물‧구름 등의 모양이 그려져 있어 일명 화암(畫巖)이라 불린다. 산기슭에는 용소가 있는데 장마나 가뭄에도 수량이 변하지 않아 이곳에서 기우제를 지냈다 한다....
  • 미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 1933년에는 주지 돈형과 화주 이경화(李京華), 전경각 등이 산신각을 중수하였고, 1938년에는 화주 안성훈(安性勳) 등이 무량수전을 중수하였다. 부속 암자로는 대승암과 칠성암, 금보암‧‧정수암‧용운암‧관음암‧토굴암 등 8개가 있다. 사세가 번성할...

고서·고문서(5)

  • 1906년 김수암() 호적표(戶籍表)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906년에 전라북도 금구군 서도면 하하리에 살았던 김수암의 호적표이다. 김수암의 나이는 51세로 처 장씨와 초가 3칸에 살고 있었다. 호적표는 갑오개혁 이후에 만들어진 문서로 조선시대의 호구단자(戶口單子)와 유사하다. 호적법에서는 각 호에서 법정호구...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적표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 용(睦尙用 ) 김수암회(回 ) 김수암회(回 )
    자료번호18311_0035 [奎18311]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향나무(香木) 대금(代金) 청구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
    熙) 경기도 강화군(江華郡) 장령면(長嶺面) 왕림동(旺林洞) 농업(業農) 김백만(金百晩), 김수암() 경기도 강화군(江華郡) 하도면(下道面) 덕포동(德浦洞) 농업(業農) 피고는 원고 청구에 따를 만한 이유가 없음. 145 국한문 判...
    재판기관강화구재판소(江華區裁判所) | 판결일자1909년 03월 15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풍악일기(楓嶽日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輿或步. 地勢孤聳, 大小香爐, 皆在眼下. 熊虎峯嶐然於正北, 毗盧露髻於衆香之上. 望高‧穴望‧日出‧月出‧永郞諸峯, 歷歷平看. 天德‧圓通‧摩訶諸菴, 星羅棋布, 或闖出樹間, 或微露崖角. 船菴掛於衆香中峯, 隱隱於望高臺下, 環內山無一點雲. 天朗氣淸. 洞觀無翳. 開心菴舊基,...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김수증(金壽增)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 유금강산기(遊金剛山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사가 창건한 절이다. 이 절의 동쪽에 묘길상암(妙吉祥菴)・반야암(般若菴)・불지암(佛地菴)이 있으며, 남쪽에 보덕암(普德菴)・()・은적암(隱寂菴)이 있고, 동북쪽에 상백운암(上白雲菴)・중백운암(中白雲菴)・성불암(成佛菴)이 있으며, 서쪽에 만회암(萬灰菴)과 칠보...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어유봉(魚有鳳)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기타자료(4)

  • 김수암;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6861 북한 황해 해주고등보통학교 교우회잡지 제1호, 1926―09 170면 1. 회원명부;3) 4년 東 김수암;
    학교소재지역황해 | 학교명해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수암;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1938 남한 경북 대구공립상업학교 2-17 대구공립상업학교 졸업대장 1928(제1회)~1945(제19회) n.r. 14면 - 김수암; 경북 5 1932년 3월 8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공립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수암;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4118 남한 전북 전주농업학교 2-42 회원씨명부 1942―12―10 10면 김수암; 제2회 1913년
    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수암;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5579 남한 전북 전주농업학교 2-42 20周年 紀念寫眞帖 1930―04 2면 김수암; 전주군 全州面 多佳町 제2회 1913년
    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불교]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구계산에 있으며 1910년 동호가 창건한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14교구 본사인 범어사의 말사이다. 1923년 석봉이 중건하였으며, 1953년 법홍이 심우당을, 1963년 대광명전을 건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당우로는 대광명전과 대웅전, 심우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