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금성대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5)
사전(130)
- 금성대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26(세종 8)∼1457(세조 3). 조선 전기의 왕자. [개설] 이름은 유(瑜). 아버지는 세종이며, 어머니는 소헌왕후 심씨(昭憲王后沈氏)이다. 1433년(세종 15) 금성대군에 봉해지고, 1437년 참찬 최사강(崔士康)의 딸과이칭별칭 정민(貞愍)|이유
- 금성대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안평대군을 따라 무이정사로부터 호남의 담담정에서 노닐다가 연회 소식을 듣고 찾아온다. 건문황제가 제태와 황자징을 다시 부르는 것을 보고성삼문에게 이보흠의 억울함을 말하고,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다가 죽은 사연을 말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금성대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조선 제4대 왕 세종의 여섯째아들이다. 수양대군이단종의 실권을 빼앗고 영의정 자리에 앉아서 왕으로 되기 위한 일을 진척시켜 나가자 격분을 참지 못한다. 하지만 터져 나오는 분노를 애써 누르며 때를 기다린다. 수양대군과 그의 측근들을 없앨 작전을 꾸미지만 설중매와 금춘의...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금성대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세종의 여섯째 원자이다. 수양대군이 왕위에 오르면서 외로워진 단종이 자주 찾아오자 단종을 위로한다. 이로 인해 단종 복위 운동을 꾀한다는 모함을 받고 삭녕으로 위리안치 당한다. 단종이 노산군으로 강등되자 연락을 두절시키기위해 순흥으로 보내지고, 순흥에서 순흥부사 이보흠...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금성대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세종대왕의 여섯 번째 아들이다. 순흥으로 귀양을 갔다가 단종이 폐위되었다는 이야기를 듣고, 순흥부사와 함께 단종을 복위하려다 탄로되어 죽는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13)
- 금성대군 사우 치제문(錦城大君祠宇致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제문
- 금성대군정민공순절기(錦城大君貞愍公殉節記)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역사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萬物門3_鴨脚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鴨脚 昔端宗之遜位, 安平大君 瑢被誅, 錦城大君 瑜謫順興, 傳檄起兵, 未發而有告者, 亦誅. 於是革廢順興府, 居民謠曰: “鴨脚復生, 順興復; 順興復, 魯山復位.” 後二百三十有餘年, 而府東鴨脚樹忽生長. 俗傳, 古有此樹, 故有是謠也. 未久, 因民之願, 更設順興, 時有申奎者,...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六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經史篇七]論史門四_鴨脚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鴨脚 昔端宗之遜位, 安平大君 瑢被誅, 錦城大君 瑜謫順興, 傳檄起兵, 未發而 而: 연세대본(가)에는 ‘兵’으로 되어 있다.有告者, 亦誅. 於是革廢 廢: 국중본에는 ‘癈’로 되어 있다. 규장각본ㆍ성호기념관본에는 ‘罷’로 되어 있다. 미의회도서관본ㆍ성균관대본(가)ㆍ성균관...서명星湖僿說類選卷之九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선원보략개수정시교정청의궤(璿源譜略改修正時校正廳儀軌, 1739)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冊封), 왕세자‧왕세손의 탄생 등이 주요 추기(追記) 사항이었다. 이때 이루어진 『선원보략』의 수정은 중종(中宗) 의 비 단경왕후(端敬王后) 신씨(愼氏)의 복위(復位)에 관한 내용 등을 추재(追載)하기 위한 것으로, 이밖에 금성대군(錦城大君)과 익창부원군(益昌府院君...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멀티미디어(1)
- 영주 순흥 금성대군 관련유적 조사보고서 kk4-0249_#1 유구 사진2. 건물지 1~5,9,10 주변전경 2015-01-29_0.1426203_사진2. 건물지 1~5,9,10 주변전경.jpg kk4-0249_#2 유구 사진37. 담제목영주 순흥 금성대군 관련유적 조사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1)
- 영주 순흥 금성대군 관련유적 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kk4-0249 유구 2014-01-15_0.5399897_영주 순흥 금성대군 관련유적 조사보고서 표지.jpg 영주 순흥 금성대군 관련유적 조사보고서 榮州 順興 錦城大君 關聯遺蹟 調査報告書 2002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영주시 75 이동철,...발행연도2002 | 발굴기관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영주시 | 발굴지역경상북도
주제어사전(3)
-
금성대군 / 錦城大君 [종교·철학/유학]
1426(세종 8)∼1457(세조 3). 조선 전기의 왕자. 아버지는 세종, 어머니는 소헌왕후 심씨이다. 1433년(세종 15) 금성대군에 봉해지고, 1437년 참찬 최사강의 딸과 혼인, 그 해 태조의 일곱 째 아들인 이방번의 후사로 출계하였다. 단종 복위를 계획하
-
급산 / 岌山 [지리/인문지리]
13) 도호부가 되었으나 1457년(세조 3) 금성대군(錦城大君)과 순흥부사 이보흠(李甫欽)의 단종복위사건으로 혁파되고, 그 영역이 이웃 군현에 편입되었다. 1683년(숙종 9) 순흥도호부로 복구되었다.1895년(고종 32) 안동부 순흥군, 1896년 경상북도 순흥군이
-
순흥 / 順興 [지리/인문지리]
3) 금성대군(錦城大君)과 순흥부사 이보흠(李甫欽)의 단종 복위 사건으로 도호부를 혁파하여 그 영역을 인근의 군현으로 분산시켰다. 1683년(숙종 9) 순흥도호부로 복설되었고, 1829년(순조 29) 일시 강등되어 현감을 둔 일이 있었다. 1895년(고종 32) 안동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