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금석주” 에 대한 검색결과 49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90)

사전(15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57(철종 8)∼1920. 조선 말기의 의병장. [내용] 일명 종헌(鍾憲)‧종응(鍾應)‧석조(錫祚).?경상북도 봉화 출신. 명성황후시해사건 후?경상북도와?충청남북도일대에서 활약한 의병장이다. 1896년?경상북도 봉화에서 의병장으로 추대...
    이칭별칭종헌(鍾憲)|응(鍾應)|조(錫祚)
  • 김석주()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1364 인물 김석주() 김석주 ? ? 조선 중기의 역관(譯官). 왜어(倭語)에 정통한 것으로 유명하며, 사역원(司譯院) 판관(判官)을 역임하였다. 1509년 쓰시마도주 소 기모리(宗材盛)가 병석에 있어...
    유형분류인물
  • 김석주()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1365 인물 김석주() 김석주 1634 1684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豊). 자는 사백(斯百), 호는 식암(息庵). 1657년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1662년 증광시(增廣試) 갑과(...
    유형분류인물
  • 연황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공부 중의 안부. 別來已浹旬矣 想唯鍊況佳勝 瞻慰.切, 김석주(), 23-143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TD_I3_S_0003 申判書詩 시 小婢, 封款, 誣服, 病學士, 寃鬼, 冥冥 庚申 麒麟臺, 城南 , 申判書晸, 博陸 S_09_01_71 성호사설 9권 1장 71절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9권 1장 7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323)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700 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ITKC_MP_0597A_1700_020_0370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김석주()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부여‧강화‧영주 창원황씨
  • 16 第十六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08년_부내면( 府內面) 1708년 부내면( 府內面) 第十四富平里 16 第十六統統首 第一陞戶 長水道富平驛吏今故代子金於仁年貳拾壹戊辰本蔚山父驛吏世江祖 驛吏永希曾祖驛吏永守外祖驛吏權命哲本安東率母權召史年肆拾伍甲辰率亡 兄妻尹召史年貳拾柒壬戌率姪自隱...
    연도_면이름1708년_부내면( 府內面) | 면이름부내면( 府內面) | 마을이름第十四富平里
  • 1673년 김석주()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1916년 김택주()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916년 11월 8일에 김택주()가 기락도(奇洛度)에게 보낸 편지이다. 자신은 엊그제 곡성오지리(梧支里)에서 구례 집에 돌아왔다는 것과 묘지는 근래 새로 정하였으며 저쪽사람들을 감화시켜서 좋은 데로 돌아가게 했느냐고 물으면서 무덤 만들 때는 영호남의 사림들이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고산서원

기초학문(1)

  • 의 賦 文學 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강석중, 게재일 : 2001
    06379 강석중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한시학회 2001 의 賦 文學 硏究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95
    유형논문 | 게재일2001

신문·잡지(1)

  • 敍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基平壤隊副尉金聲國仝叅尉仝副尉朴允贊仝叅尉金得成 親衛一聯一隊副官副尉李敏會仝一隊副尉李玄珪免本職 任叅領一等軍司姜昌熙 叅領姜昌熙補親衛一聯二隊大隊長 叅領全右基補平壤隊大隊長 副尉朴允贊叅尉金得成補平壤隊附 副尉金聲國叅尉補平壤隊附 副尉李玄珪補親衛一聯一隊副官 補親衛一聯一隊附副尉...
    게재일1904년 9월 15일 | 기사분류관보

기타자료(9)

  • 김석주;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0307 북한 함남 永生高等普通學校 3-08 校友會報 제3호 1937―10―07 170면 1. 동창회명부;1) 영생학교 졸업생;(7) 제7회(1917년) 김석주; 함흥 軍營通;함흥부 낙민...
    학교소재지역함남 | 학교명永生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석주;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1227 남한 경남 진주고등학교 2-47 진주고등학교, 졸업증서대장, 1930~1944년 n.r. 9면 - 김석주; 소화6년 3월5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석주;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4318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校友會誌 제7호 1932―12―13 23면 김석주; 전라북도 전주군 전주읍 완산정 354;전북 전주군 雲東下공립보통학교 사범과 제3회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석주;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5015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24면 김석주; 전북 고창군 海里공립국민학교(학교장) 제3회 1924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석주;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1815 남한 경북 대구공립상업학교 2-17 대구공립상업학교 졸업대장 1928(제1회)~1945(제19회) n.r. 2면 - 김석주; 충남 1 1928년 3월 7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공립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5)

  • / [역사/근대사]

    1857-1920. 의병장. 일명 종헌(鍾憲)·종응(鍾應)·석조(錫祚). 경상북도 봉화 출신. 명성황후시해사건 후 경상북도와 충청남북도일대에서 활약한 의병장이다. 1896년 경상북도 봉화에서 의병장으로 추대되어, 봉화·예안·영주·순흥·풍기·안동의 의진과 공동작전을 펴

  • 금위영 / 禁衛營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국왕 호위와 수도 방어를 위해 중앙에 설치되었던 군영. 1682년(숙종 8) 병조판서 김석주()의 건의에 따라, 종전에 병조 소속의 정초군과 훈련도감 소속의 훈련별대 등을 합쳐 하나의 군영으로 창설되었다. 1881년(고종 18)에는 장어영으로 통합되

  • 금위대장 / 禁衛大將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군영문 중 금위영의 종2품 무관직. 1682년(숙종 8) 병조판서 김석주()의 건의에 따라 금군의 성격을 띤 금위영을 조직하고 대장직을 우선 병조판서가 겸대하도록 하였다. 그 뒤 1685년에 정식으로 병조판서가 종2품의 대장을 겸하도록 규정하였다가

  • 현호쇄담 / 玄湖瑣談 [문학/한문학]

    생각을 말하고 있다. 『현호쇄담』의 책끝에는 김석주()가 우리 나라 시인을 여덟 글자의 평어(評語)를 사용하여 평한 것을 그대로 옮겨 실었다.

  • 고문백선 / 古文白選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김석주()가 선집한 고문선집. 10권 10책. 필사본. 『고문백선』의 책머리에 김석주의 서문이 있고, 본문은 상·중·하 3편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 편은 다시 5권·4권·1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1권이 1책으로 편철되어 모두 10권 10책이다. 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