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금살도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5)
- 금살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관청을 설치하여 우마의 도살을 금지하였다. 이 때 금살도감을 통한 우마의 도살금지는 대단히 엄격하여 신고자에게는 자기의 재산에 해당하는 양을 상금으로 주었으며, 범법자는 살인죄로 다스렸다. 『고려사(高麗史)』
- 禁殺都監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M6_D_0040 禁殺都監 목축 穀由牛出, 食爲民天, 重農事 趙浚時務書 D_18_04_86 대동운부군옥 18권 4장 86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8권 4장 8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禁屠牛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4_D_0263 禁屠牛 정책-제도 禁殺都監, 擧行 高麗 趙浚 史 D_08_01_35 대동운부군옥 8권 1장 35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8권 1장 3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禁屠殺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4_D_0122 禁屠殺 사 佛敎, 禁殺都監, 禁屠牛, 紅, 殺牛馬, 宰殺之禁 麗初 國中, 京城 法興王, 恭愍王 羅史, 本史 D_19_04_12 대동운부군옥 19권 4장 12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9권 4장 1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우육(牛肉)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근본이 되고, 곡식은 소의 힘으로 나오므로, 본조(本朝)에서는 금살도감(禁殺都監)을 설치하였고, 중국에서는 소고기의 판매를 금지하는 법령이 있으니, 이는 농사를 중히 여기고 민생을 후하게 하려는 것이다. 우마(牛馬)를 도살하는 신백정(新白丁)을 조사 색출하여 도성으로부...동의어황육(黃肉)
주제어사전(1)
-
금살도감 / 禁殺都監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우마의 도살방지를 관장하던 임시관서. 1361년(공민왕 10)에 개경을 함락한 홍건적이 농사에 필수적인 우마를 거의 잡아죽이자, 개경 수복 후인 이듬해 민생을 안정시키기 위한 농업정책의 일환으로 이 관청을 설치하여 우마의 도살을 금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