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금북정맥”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
사전(9)
- 금북정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있으며, 10대강의 유역을 가름하는 분수령들을 기본정맥으로 삼고 있어 대부분 그 이름이 강 이름과 관련되어 있다. [명칭 유래] 이 산줄기는 금강의 서북쪽을 지나므로 금북정맥이라 한 것이다. 이 산줄기를 분수령으로 하여 북사면으로는 안성천‧삽교천이 흐르고...
- 한남금북정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백두대간의 속리산(俗離山) 청황봉에서 갈라져 나와 충청북도 북부를 동서로 가르며 안성의 칠장산(七長山, 492m)까지 이어져 한강과 금강의 분수산맥을 이루며, 서북쪽으로 김포 문수산(文殊山)까지의 한남정맥과 서남쪽으로 태안반도 안흥까지의 금북정맥으로
- 해동산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淸南正脈)ㆍ해서정맥(海西正脈)ㆍ임진북예성남정맥(臨津北禮成南正脈)ㆍ한북정맥(漢北正脈)ㆍ낙동정맥(洛東正脈)ㆍ한남금북정맥(漢南錦北正脈)ㆍ한남정맥(漢南正脈)ㆍ금북정맥(錦北正脈)ㆍ금남호남정맥(錦南湖南正脈)ㆍ호남정맥(湖南正脈)으로 나누고 있다. 각 산맥은 시작하는 산에서...
- 산경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산(白雲山 : 安峽)으로부터 한강 이북과 임진강 이남 지역을, 낙동정맥(洛東正脈)은 태백산으로부터 경상도 동부‧서북부 지역을 포함한다. 그리고 한남금북정맥(漢南錦北正脈)은 속리산으로부터 충청북도 및 경기 일부 지역을, 한남정맥(漢南正脈)은 광교산(光敎山 : 수원...
- 여지편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향산맥에 해당할 것이다. 그리고 해서정맥‧임진북예성남정맥(臨津北禮成南正脈)‧한북정맥(漢北正脈)‧낙동정맥‧한남금북정맥(漢南錦北正脈)‧한남정맥‧금북정맥‧금남호남정맥(錦南湖南正脈)‧금남정맥‧호남정맥으로 나누고 있다. 따라서, 정맥은 하계의 유로와 밀접한 관계가...
주제어사전(2)
-
금북정맥 / 錦北正脈 [지리/자연지리]
산(知靈山, 218m) 등으로 그 길이가 약 295㎞에 이른다. 금북정맥에 걸친 1:50,000 도엽은 안성, 진천, 평택, 전의, 보령, 청양, 예산, 홍성, 당진, 서산, 근흥, 만리포 도엽 등이 포함된다.
-
속리산국립공원 / 俗離山國立公園 [지리/자연지리]
에서 한남금북정맥이 분기한다. 속리산국립공원은 속리산과 화양계곡, 선유계곡, 쌍곡계곡 등의 3개 계곡을 합하여 국립공원을 이룬다. 속리산은 1964년 6월 24일 사적 및 명승지 제4호로 지정되었으며, 1969년 1월 21일에 관광지로 지정되었다. 1970년 3월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