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금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2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082)
사전(2,457)
- 금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상서호부에 속하였던 관서. [내용] 995년(성종 14)에 민관을 상서호부로 개칭할 때 민관의 속관인 금조를 상서금부로 바꾸었다. 기능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 수 없으며, 문종 이전에 소멸된 것으로 보인다. ...
- 金傅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3983 金傅 인물 車馬連亘, 香車, 寶馬 高麗 羅史 D_17_03_33 대동운부군옥 17권 3장 33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3장 3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金富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4023 金富 인물 庚癸之亂, 郞將, 大殺, 文臣, 天意, 人心, 衣冠, 通婚, 文吏 彦陽 就礪 D_17_04_36 대동운부군옥 17권 4장 36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4장 3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金傅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1745 金傅 인물 運盡, 歸化, 來降 新羅 崔承老 D_10_05_18 대동운부군옥 10권 5장 18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5장 1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金傅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1907 金傅 인물 泣下泫, 莫不嗚咽 新羅 甄萱, 麗太祖 牧隱雨, 羅史, 柳巷 D_11_04_14 대동운부군옥 11권 4장 14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1권 4장 1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1)
- 한국고전소설 등장인물사전-바금부터 뻐꾸기-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저자 : 조희웅(국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 | 출판사 : 지식을 만드는 지식 | 출판일 : 2012.10.30분야문학 | 유형단행본이 책은 등장인물의 일대기를 중심으로 서사 전개가 이루어지는 고전소설의 특성에 중점을 두어,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의 다양한 명칭을 정리하고 체계화해 표준화시킨 한국학 기초사전이다. 이 책에는 바금부터 뻐꾸기까지의 내용이 실려 있다.
논문(1)
- 1434년 辛保安 妻 鄭氏 分財記 연구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저자 : 손계영 | 게재정보 : 영남학
고서·고문서(6,947)
- 禽部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鄕藥集成方 第七十六 禽部 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111 禽部 鷄子凡急切要用勿便敲損恐得二十一日滿在內成形 空打損後無用若要用先於溫湯中試之若動是成形 也若不動卽敲損取淸者用黃卽去之內有自潰者亦 不用也一云知時子也雀糞凡使勿用雀兒糞其雀兒口黃未經淫者糞是蘇若서명鄕藥集成方 | 저자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금부 琴賦詞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4239 잡가 악부[고대본] 16001 1930년경 이용기 필사본 금부 琴賦詞 [173] 玉樓紗窓 花柳中에 白馬金鞭 少年드라 平生聞見 七絃琴을 알고 졀이 즐기다 知音을 못면셔 方物을 어이 알리 調音體法을 날다려 뭇계 되면 窮天地理...구분잡가 | 편저자이용기
- 義禁府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070 經世遺表 卷二 ITKC_MP_0597A_1070_020_0020 義禁府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經世遺表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禽部上品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鄕藥集成方 第八十二 禽部上品 禽部上品丹雄鷄 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111 禽部上品〔丹雄鷄〕味甘微溫微寒無毒主人崩中漏下赤白沃補虛溫中止血久傷乏瘡通神殺毒辟不 祥 孟詵云主患白虎可鋪飯於患處使鷄食之 良又取熱糞封之取熱使伏於患人牀下其 肝入補腎方中○日華子...서명鄕藥集成方 | 저자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禽部中品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鄕藥集成方 第八十二 禽部中品 禽部中品雀卵 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111 禽部中品〔雀卵〕味酸溫無毒主下氣男子陰痿不起強之 令熱多精有子○腦主耳聾 臣禹錫等謹按耳聾通用藥云雀腦平〔頭血〕主雀盲○雄雀屎(臣禹錫等謹按齒痛通 用藥云雄雀屎溫)療目痛決癰癤女子帶下...서명鄕藥集成方 | 저자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구술자료(27)
- 용이 된 김부대왕(金傅大王)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김부대왕이 용이 되어서 산을 쳐서 물길을 튼 이야기를 들려 달라고 하니, 안다고 하면서 시작했다. *조사일시1984-08-22 | 조사장소경상북도 월성군 현곡면 | 제보자이봉재
- 금부처가 나와 이름을 되찾은 사자사(獅子寺)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청중들이 많은 이야기를 아시는 분이라면서 조사를 많이 하고 가라고 하면서 나가셨다. 미륵산에 관련되어 있는 이야기를 부탁하자, ‘사자사(獅 子寺)’ 이야기를 하겠다면서 구연을 시작하였다. 구연이 끝나고 저녁시간이 되어서 다음 주에 만나기로 약속을 하고 집으로 모셔다...조사일시2011. 1. 14(금) | 조사장소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대조리 농협하나로마트 사무실 | 제보자김기철
- 복숭아 동자 모모타로 노래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しょう) 드려요 드려요 코레까라 오니노 세이바쯔니(これから鬼の征伐に) 지금부터 도깨비를 잡으러 쯔이떼 유쿠나라 아게마쇼오(ついて行くなら あげましょう) 같이 가면 드려요 뭐 이런 식으로. 내용은 모모타로상 모모타로상 아까 이야기했던 내용이에요. 이야기 내용. [조사자:국가일본 | 제보자코마츠 미호 [일본, 여, 1969년생, 결혼이주 20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이명월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본, 백령도, 목포, 진도, 의신(면), 북한, 빨갱이, 인민군, 구월부대, 수월부대, 해금부대, 미국, 장골, 볼지, 산나재, 녹새, 중간물, 남포, 김일성, 이승만, 민청(조선민주청년동맹), 레솔리니, 반동분자, 부산, 영등포, 김포, 포항, 인천, 용유도, 송화구술자이명월 | 직업주부 | 지역황해도
- 당나귀 귀를 가진 왕과 북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발사를 부르고 이발사의 부인을 불러서 추궁을 했다. 왕은 자신만 아는 잘생기고 못된 왕이지만, 브라만이 지금부터 일을 잘하면 사람들이 다시 왕을 좋아하게 될 거라고 말했다. 그 뒤로 귀를 보여주게 되었고 열심히 나라를 다스린 왕이 되었다. 파드마, 인도, 왕, 비밀,국가인도 | 제보자파드마바티차크라바르티 [인도, 여, 1992년생, 유학 3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3)
- 보험계약의 과도한 누적과 보험금부당청구에 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선정, 게재일 : 200108302 김선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경영법률학회 2001 보험계약의 과도한 누적과 보험금부당청구에 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유형논문 | 게재일2001
- 이익조정, 재무제표 재공시 및 추가적 세금부담효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우영, 게재일 : 201342003 김우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국제경상교육학회 2013 이익조정, 재무제표 재공시 및 추가적 세금부담효과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유형논문 | 게재일2013
- 情報通信技術擴散이 賃金不平等의 한 原因인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447960 한국연구재단 한국국제경제학회 2004 情報通信技術擴散이 賃金不平等의 한 原因인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449)
- 今不銓考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부에셔 죵금이후에 각디방관을 젼고시로 젼고규측을 반포얏거니와 각항감리와 군슈 폐지고 부윤을셜시기로 그관졔도 임의반포엿슨즉 항구에 관쟝이업는모양이라 시일이급박야부윤은젼고시겨를이업셔금일 졍부회의에 현임 감리군슈즁으로 부윤을 곳 셔임고 쥬 젼 ...게재일1906년 9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 請禁浮莎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탁지부고문관목하뎐씨가 동공원쟝에 일신게 쵸 닙히기위야 경무쳥에 물금쳬쳥야 일인력부로야금 남문외 젼뎐셔후록에셔 초 가일로 경리원에셔 부에야 경무쳥에 신칙기쳥얏 그 뎐셔후록젼부 희을먹여 길으곳이라 그관계가 별니 만일 쵸...게재일1907년 4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 照禁浮石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홍릉외 쳥년 부근에셔일본인이무란이암셕을파굴고로장례원의셔금지려즉졍고문부기승우륙랑씨가부건츅공역에슈용셕라칭고여상파굴난으로원에셔탁지부로죠회야 속히교셥금지라 얏다더라게재일1907년 2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欲禁不得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쳘산군슈 유진쳘씨가 군경에셔 아편장 일본인 일명을 잡아일헌병 츌장소로 압송고 징치금단으로 공함얏더니 그일헌병소에셔 엇더케금단다말은업고다만그일인이아편을만드러 판것이안이오 다른사에게 다가 방던것인즉 당쵸에아편만드러 파던놈을 잡은후에야 죠쳐다...게재일1906년 8월 3일 | 기사분류잡보
- 禁不可緩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근 한셩외에 무당 판슈들이경무쳥금령이 나렷다 말을듯고 엇데케금령인지 아지 못고 거의 지즙이되 긔미가 잇더니 일간에 경무쳥 금령이난지 오되 별단은 업고로 다시 졈졈머리를들고 나아오 모양이니 경무쳥 금령이 임명치못야 그러지 그무고들이 법을두려지...게재일1906년 6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50)
- 여인의 몸으로 세상을 다스리다: 善德‧眞德女王과 則天武后 2주차. 현실에 대한 고민을 史書에 담다 : 司馬光과 金富軾 3주차. 몰락한 왕조의 충신 : 文天祥과 鄭夢周 4주차. 새왕조의 기틀을 다지다 : 永樂帝와 太宗 5주차. 왕조 최후의 르네상스를 이끌다 : 乾隆帝와강좌제목한중 인물 비교사 | 강의자대림검, 황영원
- 여인의 몸으로 세상을 다스리다: 善德‧眞德女王과 則天武后 2주차. 현실에 대한 고민을 史書에 담다 : 司馬光과 金富軾 3주차. 몰락한 왕조의 충신 : 文天祥과 鄭夢周 4주차. 새왕조의 기틀을 다지다 : 永樂帝와 太宗 5주차. 왕조 최후의 르네상스를 이끌다 : 乾隆帝와강좌제목한중 인물 비교사 | 강의자대림검, 황영원
- 여인의 몸으로 세상을 다스리다: 善德‧眞德女王과 則天武后 2주차. 현실에 대한 고민을 史書에 담다 : 司馬光과 金富軾 3주차. 몰락한 왕조의 충신 : 文天祥과 鄭夢周 4주차. 새왕조의 기틀을 다지다 : 永樂帝와 太宗 5주차. 왕조 최후의 르네상스를 이끌다 : 乾隆帝와강좌제목한중 인물 비교사 | 강의자대림검, 황영원
- 여인의 몸으로 세상을 다스리다: 善德‧眞德女王과 則天武后 2주차. 현실에 대한 고민을 史書에 담다 : 司馬光과 金富軾 3주차. 몰락한 왕조의 충신 : 文天祥과 鄭夢周 4주차. 새왕조의 기틀을 다지다 : 永樂帝와 太宗 5주차. 왕조 최후의 르네상스를 이끌다 : 乾隆帝와강좌제목한중 인물 비교사 | 강의자대림검, 황영원
- 여인의 몸으로 세상을 다스리다: 善德‧眞德女王과 則天武后 2주차. 현실에 대한 고민을 史書에 담다 : 司馬光과 金富軾 3주차. 몰락한 왕조의 충신 : 文天祥과 鄭夢周 4주차. 새왕조의 기틀을 다지다 : 永樂帝와 太宗 5주차. 왕조 최후의 르네상스를 이끌다 : 乾隆帝와강좌제목한중 인물 비교사 | 강의자대림검, 황영원
기타자료(147)
- 금부척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6280 남한 경성 경성전기학교 1-15 졸업앨범 1942 0 금부척도 경상북도 김천군 개령면 양천동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전기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복권;金復權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9486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9면 김복권;金復權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부승;金副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5606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46면 김부승;金副勝 제12회 1934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부영;金富榮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4277 북한 경기 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3-13 好鐘 제10호 1937―12―20 152면 (2) 졸업생일람 김부영;金富榮 고보14회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부권;金富權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0426 남한 경성 휘문의숙 1-48 회원명부 1942―02―15 34면 김부권;金富權 경남 김해군 우부면 고서리;미상 제9회 1918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의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5)
-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 국립 칠레대학교 국제대학원에 한국학 프로그램 설치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Andres Borquez | University de Chile | 2024 | 국외 | 해외
-
《무예도보통지》의 동아시아 도검무예 교류사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곽낙현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3 | 국내 | 경기
-
한반도 문화예술 개념의 분단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성경 | 북한대학원대학교 | 2016 | 국내 | 서울
-
조선시대 文科 試券 複本의 수집 및 정리 사업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한문종 | 전북대학교 | 2019 | 국내 | 전북
-
일제 말(1937~1945) 조선인 국방헌납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인호 | 동의대학교 | 2022 | 국내 | 부산
주제어사전(158)
-
금부 / 金部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상서호부에 속하였던 관서. 995년(성종 14)에 민관을 상서호부로 개칭할 때 민관의 속관인 금조를 상서금부로 바꾸었다. 기능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 수 없으며, 문종 이전에 소멸된 것으로 보인다.
-
의금부 / 義禁府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특별사법 관청. 포도(捕盜)·순작(巡綽)·금란(禁亂)의 임무를 관장하였다. 의금부는 여말선초에 군사적 기능과 사법 기능을 가진 기구로 활동하면서 왕권에 밀착해 왕조 창립과 왕권 확립에 공헌하였다. 군사적 기능으로 순작·포도·금란이 있다. 그 뒤 조선왕조의
-
금부발관책 / 禁府發關冊 [역사/조선시대사]
개항기 의금부에서 각 도 감영과 육조 등으로 발송한 관문을 모아 엮은 책. 6책. 필사본. 1877년(고종 14) 2월부터 1894년 7월까지를 담고 있다. 관문의 작성형식에 있어서 제목은 없고 연월일·수신처·본문·당상관수결로 되어 있다. 많은 경우 관문 전달자의
-
지의금부사 / 知義禁府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금부에 설치한 정2품 관직. 1414년(태종 14) 의용순금사를 의금부로 격상, 개편하면서 둔 정2품 제조 뒤에 지사(知事)로 고쳐 지의금부사로 부르게 된 것이다. 정원은 종1품 판의금부사 및 종2품 동지의금부사와 합쳐 4인을 두게 하였으나, 판의금부사와
-
김복일 / 金復一 [종교·철학/유학]
1541(중종 36)∼1591(선조 24). 조선 중기의 문신. 김만근의 증손, 할아버지는 증 좌승지 김예범, 아버지는 생원 김진, 어머니는 민세경의 딸이다. 병마절도사 김성일의 아우이다. 이황의 문인이다. 1570년(선조 3)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학유·전적을